25.04.202507:08
주식 시황. 하루에 쏟아진 관세 전쟁 뉴스들 총정리. 중국도 관세 면제 추진. 비하인드 스토리 보니. 2년만에 나온 확률 100% 강세장 신호. 이번에도? 이제 차별화 장세 대비
방송 요약
하루에 쏟아진 관세 전쟁 뉴스들 총정리.
중국도 관세 면제 추진. 비하인드 스토리 보니.
외국인 순매수 전환 의미와 전망
2년만에 나온 확률 100% 강세장 신호. 이번에도?
이제 차별화 장세 대비
https://youtu.be/PxXsfxn7hxE
방송 요약
하루에 쏟아진 관세 전쟁 뉴스들 총정리.
중국도 관세 면제 추진. 비하인드 스토리 보니.
외국인 순매수 전환 의미와 전망
2년만에 나온 확률 100% 강세장 신호. 이번에도?
이제 차별화 장세 대비
https://youtu.be/PxXsfxn7hxE
24.04.202520:30
4월 25일 시황. 연준 '인하'할거야. 트럼프 '협상중'이야
◎ 해외 증시
반도체 강세, 금리인하 및 무역협상 기대에 상승
최근 3일간 나스닥 8%대, S&P500 6%, 다우 5% 상승
관세 이슈는 긍,부정적 요인 엇갈리며 반전 거급
개장 전 중국측은 매일 협상한다는 트럼프의 발언 부인
해결하고자 한다면 관세 철화하고 대화 해야한다고
전일 베센트의 선제적 관세 인하 없다는 점 재부각
베센트의 발언에 일종의 강한 대응 측면도
현재 대화는 없다는 평가에 개장 전 지수 선물 약세
자동차 관세 면제 보도 역시 트럼프는 아니라는 취지
캐나다에서 수입되는 자동차 25% 관세 인상 언급
반면 트럼프는 여전히 중국과 대화중이라고
심지어 오늘 오전에도 회의를 했다고 기자들에게 답변
중국은 공식적인 점. 미국은 물밑 협상을 의미하는 듯
베센트, 한국과의 합의 생각보다 빠르게 진전되었다고
이르면 다음주 원칙적 합의 기대한다고 발언
원칙적 합의는 계약, 협정 전 큰 틀의 합의를 의미
미국측 주장이라 구체적인 것은 이 후 파악 필요
연준 인사들의 연이은 금리인하 발언도 긍정적 영향
크리스토퍼 월러. 고용 시장 위축되면 연준 개입
관세 부과로 해고 증가시 노동자 보호 측면에서 인하
관세에 대해서는 여전히 일시적 영향으로 본다고
베스 해맥. 데이터가 명확하다면 6월에 인하할 수도
JP모건, UBS는 연준이 움직일 가능성 높아졌다고 평가
반도체주 큰 폭으로 오르며 지수 상승에 역할
아마존과 엔비디아가 AI 데이터 수요 여전히 강하다고
아마존. 장기적으로도 강한 수요 지속되고 있어.
일부 제기된 데이터센터 임대 보류설 강하게 일축
엔비디아. 투자 축소 움직임 없어. 컴퓨팅, 에너지 수요 강해
딥시크 AI 모델 등장에 따른 수요 변화 역시 전혀 없다고
AI 기업 앤트로픽, 새로운 전력 수요 폭발적으로 증가 중
TI. 램 리서치 호실적과 맞물려 반도체 지수 5% 이상 급등
Brent Schutte. 매일 바뀌는 뉴스 투자자들에게 부담
페퍼스톤. 계속 변하는 상황 셀 아메리카 흐름 못 막아
실제 트럼프는 2~3주 이내 관세율 낮출 수 있다고 발언
반면 베센트는 완전한 무역 협정 2~3년 걸린다고
UBP. 관세에서 얻으려 하는 것이 무엇인지 애매
중국 입장에서 실제 합의하기 어려운 이유가 될 수도
반면 트럼프의 태도 변화와 중국의 움직임은 긍정 요인
트럼프의 협상 언급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
금융 시장 자극 안하려는 태도 변화는 긍정적 평가
도이치뱅크. S&P500 전망 6,150p로 12% 하향
관세 영향이 기업들에게 부정적 영향 줄 것이 이유
번스타인. H20 수출 제한 중국 AI 개발 막는데 한계
화웨이 칩이 이미 엔비디아 H20 보다 우수하다는 평가
로스 캐피탈. 테슬라 목표가 하향하나 저가 매수 기회
BoA. 애플 장기적으로 비용 문제. 240달러 하향. 매수
IBM. 행정부 비용 절감에 정부 계약 줄어 매물
마감 후 실적 나온 알파벳, 예상 상회하며 시간 외 상승
3월 내구재 수주 전월 대비 9.2%. 예상 2.1% 상회
다만 보잉이 수주한 항공기 192대, 관세전 선구매 효과
신규실업수당 22.2만으로 예상 부합
◎ 주요 지표
달러인덱스 99.28 (-0.56%)
국제유가 62.72달러 (+0.72%)
변동성지수 26.47 (-6.96%)
10년물 금리 4.30%
MSCI 한국지수 +0.63%
야간선물 +1.30%
◎ 전망과 전략
미국 반도체 강세, 관세 협상 관련 소식 일단 긍정적
특히 중국과의 협상 진행 중이라는 점
금리인하 가능성 제기된 점은 아시아 증시에 우호적
최근 국내외 경기 상황만 보면 부정적 요인도 많은 편
미국 관세가 점차 실물 경제에 영향 주는 단계
전일 나온 베이지북에서 여행, 일부 소비에 영향 시작
우리나라 1분기 마이너스 성장 등 지표 부진 관찰
관건은 현재 상황이 큰 틀에서 수습되는 시점
트럼프가 추진하는 감세안 7월에 통과될 예정
그 전에 마무리되고 프레임을 부양으로 넘기려할 듯
그러기 위해서는 한 분기 통으로 관세로 날리지 않아야
즉, 4~5월 중 관세 국면이 큰 틀에서 마무리되야 가능
아직까지 심리 지표 대비 실물 지표는 버티는 상황
실물 지표까지 악화되기 전 수습하려고 할 듯
지금은 관세 전쟁 확대, 완벽한 해소 둘 다 아닌 상태
이번주들어 관세 전쟁이 협상으로 전환되는 조짐 확인
또 일부 자금 흐름에 변화도 감지
주중반 금 ETF에서 대규모 자금 유출 발생
안전 자산에서 자금이 나와 주식으로 이동하는지 주목
미 증시 경기 민감주 움직임으로 가늠
현재 거래 대금, 증시 자금 감안하면 차별화 장세 예상
최근 기관 매수 종목들의 수익률과 승률이 높은 편
관련 수급주들 지속 관심 가져가 볼 필요
◎ 해외 증시
반도체 강세, 금리인하 및 무역협상 기대에 상승
최근 3일간 나스닥 8%대, S&P500 6%, 다우 5% 상승
관세 이슈는 긍,부정적 요인 엇갈리며 반전 거급
개장 전 중국측은 매일 협상한다는 트럼프의 발언 부인
해결하고자 한다면 관세 철화하고 대화 해야한다고
전일 베센트의 선제적 관세 인하 없다는 점 재부각
베센트의 발언에 일종의 강한 대응 측면도
현재 대화는 없다는 평가에 개장 전 지수 선물 약세
자동차 관세 면제 보도 역시 트럼프는 아니라는 취지
캐나다에서 수입되는 자동차 25% 관세 인상 언급
반면 트럼프는 여전히 중국과 대화중이라고
심지어 오늘 오전에도 회의를 했다고 기자들에게 답변
중국은 공식적인 점. 미국은 물밑 협상을 의미하는 듯
베센트, 한국과의 합의 생각보다 빠르게 진전되었다고
이르면 다음주 원칙적 합의 기대한다고 발언
원칙적 합의는 계약, 협정 전 큰 틀의 합의를 의미
미국측 주장이라 구체적인 것은 이 후 파악 필요
연준 인사들의 연이은 금리인하 발언도 긍정적 영향
크리스토퍼 월러. 고용 시장 위축되면 연준 개입
관세 부과로 해고 증가시 노동자 보호 측면에서 인하
관세에 대해서는 여전히 일시적 영향으로 본다고
베스 해맥. 데이터가 명확하다면 6월에 인하할 수도
JP모건, UBS는 연준이 움직일 가능성 높아졌다고 평가
반도체주 큰 폭으로 오르며 지수 상승에 역할
아마존과 엔비디아가 AI 데이터 수요 여전히 강하다고
아마존. 장기적으로도 강한 수요 지속되고 있어.
일부 제기된 데이터센터 임대 보류설 강하게 일축
엔비디아. 투자 축소 움직임 없어. 컴퓨팅, 에너지 수요 강해
딥시크 AI 모델 등장에 따른 수요 변화 역시 전혀 없다고
AI 기업 앤트로픽, 새로운 전력 수요 폭발적으로 증가 중
TI. 램 리서치 호실적과 맞물려 반도체 지수 5% 이상 급등
Brent Schutte. 매일 바뀌는 뉴스 투자자들에게 부담
페퍼스톤. 계속 변하는 상황 셀 아메리카 흐름 못 막아
실제 트럼프는 2~3주 이내 관세율 낮출 수 있다고 발언
반면 베센트는 완전한 무역 협정 2~3년 걸린다고
UBP. 관세에서 얻으려 하는 것이 무엇인지 애매
중국 입장에서 실제 합의하기 어려운 이유가 될 수도
반면 트럼프의 태도 변화와 중국의 움직임은 긍정 요인
트럼프의 협상 언급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
금융 시장 자극 안하려는 태도 변화는 긍정적 평가
도이치뱅크. S&P500 전망 6,150p로 12% 하향
관세 영향이 기업들에게 부정적 영향 줄 것이 이유
번스타인. H20 수출 제한 중국 AI 개발 막는데 한계
화웨이 칩이 이미 엔비디아 H20 보다 우수하다는 평가
로스 캐피탈. 테슬라 목표가 하향하나 저가 매수 기회
BoA. 애플 장기적으로 비용 문제. 240달러 하향. 매수
IBM. 행정부 비용 절감에 정부 계약 줄어 매물
마감 후 실적 나온 알파벳, 예상 상회하며 시간 외 상승
3월 내구재 수주 전월 대비 9.2%. 예상 2.1% 상회
다만 보잉이 수주한 항공기 192대, 관세전 선구매 효과
신규실업수당 22.2만으로 예상 부합
◎ 주요 지표
달러인덱스 99.28 (-0.56%)
국제유가 62.72달러 (+0.72%)
변동성지수 26.47 (-6.96%)
10년물 금리 4.30%
MSCI 한국지수 +0.63%
야간선물 +1.30%
◎ 전망과 전략
미국 반도체 강세, 관세 협상 관련 소식 일단 긍정적
특히 중국과의 협상 진행 중이라는 점
금리인하 가능성 제기된 점은 아시아 증시에 우호적
최근 국내외 경기 상황만 보면 부정적 요인도 많은 편
미국 관세가 점차 실물 경제에 영향 주는 단계
전일 나온 베이지북에서 여행, 일부 소비에 영향 시작
우리나라 1분기 마이너스 성장 등 지표 부진 관찰
관건은 현재 상황이 큰 틀에서 수습되는 시점
트럼프가 추진하는 감세안 7월에 통과될 예정
그 전에 마무리되고 프레임을 부양으로 넘기려할 듯
그러기 위해서는 한 분기 통으로 관세로 날리지 않아야
즉, 4~5월 중 관세 국면이 큰 틀에서 마무리되야 가능
아직까지 심리 지표 대비 실물 지표는 버티는 상황
실물 지표까지 악화되기 전 수습하려고 할 듯
지금은 관세 전쟁 확대, 완벽한 해소 둘 다 아닌 상태
이번주들어 관세 전쟁이 협상으로 전환되는 조짐 확인
또 일부 자금 흐름에 변화도 감지
주중반 금 ETF에서 대규모 자금 유출 발생
안전 자산에서 자금이 나와 주식으로 이동하는지 주목
미 증시 경기 민감주 움직임으로 가늠
현재 거래 대금, 증시 자금 감안하면 차별화 장세 예상
최근 기관 매수 종목들의 수익률과 승률이 높은 편
관련 수급주들 지속 관심 가져가 볼 필요
22.04.202521:30
모닝 브리핑. 미 증시 급등한 이유. 베센트 장관의 발언. 백악관 코멘트 정리. 트럼프가 증시에 남기고 있는 기록들. 테슬라 실적과 영향. 한국 증시 흐름이 바뀔 고비 구간 진입
방송 요약
미 증시 급등한 이유.
베센트 장관의 발언. 백악관 코멘트 정리.
트럼프가 증시에 남기고 있는 기록들.
테슬라 실적과 영향
코스닥 올해 정말 중요한 시기
한국 증시 흐름이 바뀔 고비 구간 진입
https://youtu.be/YvksrGHTx58
방송 요약
미 증시 급등한 이유.
베센트 장관의 발언. 백악관 코멘트 정리.
트럼프가 증시에 남기고 있는 기록들.
테슬라 실적과 영향
코스닥 올해 정말 중요한 시기
한국 증시 흐름이 바뀔 고비 구간 진입
https://youtu.be/YvksrGHTx58
22.04.202506:36
마감 시황. 실적, 협상 기다리며 신중 모드 지속
미 금융 시장 불안은 변동성 요인
트럼프의 파월 압박, 더딘 무역협상 진행 문제
특히 트럼프가 파월 압박하면서 파장 커지는 중
통화 정책 독립성 훼손은 불확실성 유발
정책에 정치 개입하면 예측이 어렵게되는 측면
관세 협상에 뚜렷한 결론이 없는 점도
유예, 일부 한시적 면제 등 내용만 확인
현재까지 확정된 관세 협상 타결은 없음
경제 불확실성 여전하다는 점 부담
특히 미국의 모든 자산이 흔들리고 있다는 점도
주식 하락 외 금리 상승, 달러 하락 등
대선 공약주, 철강, 증권, 조선주 상승
반도체는 중국 화웨이 AI칩 출시 보도에 약세
외국인 초반 매수 보이기도 했으나 결국 매도
전체 매도 규모와 전기전자 매도 비슷
금속, 운송장비, 금융, 통신은 매수
기관은 전기전자 매도. 금융, 전기가스, 화학 등 매수
달러 약세는 몇 가지 변수가 될 수 있는 사안
미국에서 나와 다른 나라로 이동할 가능성도
반면 관세를 상쇄시켜줄 환율 효과가 없는 점
아직 시장이 판단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
테슬라 실적, 한미 협상 넘기며 점차 가늠될 듯
연준에 대한 불확실성 이어지나 주목할 변화도
트럼프의 파월에 대한 발언은 살짝 변화 감지
오늘의 경우 파월에 대한 해임 코멘트가 없었음
인하 안 한다. 정치적이다. 경기 나빠질 이유된다 등
해임설에 시장이 흔들린 점 의식한 것으로 보임
해임 보다 금리인하만 계속 코멘트하는지 주목
단기로는 수급 변화가 확인되지 않고 있음
외국인 매도 지속. 수출주 방향성 없는 상태
방향 보다 매물 소화하며 큰 일정 대기하는 국면
실적주들 중심으로 조정시 관심 가져 볼 필요
미 금융 시장 불안은 변동성 요인
트럼프의 파월 압박, 더딘 무역협상 진행 문제
특히 트럼프가 파월 압박하면서 파장 커지는 중
통화 정책 독립성 훼손은 불확실성 유발
정책에 정치 개입하면 예측이 어렵게되는 측면
관세 협상에 뚜렷한 결론이 없는 점도
유예, 일부 한시적 면제 등 내용만 확인
현재까지 확정된 관세 협상 타결은 없음
경제 불확실성 여전하다는 점 부담
특히 미국의 모든 자산이 흔들리고 있다는 점도
주식 하락 외 금리 상승, 달러 하락 등
대선 공약주, 철강, 증권, 조선주 상승
반도체는 중국 화웨이 AI칩 출시 보도에 약세
외국인 초반 매수 보이기도 했으나 결국 매도
전체 매도 규모와 전기전자 매도 비슷
금속, 운송장비, 금융, 통신은 매수
기관은 전기전자 매도. 금융, 전기가스, 화학 등 매수
달러 약세는 몇 가지 변수가 될 수 있는 사안
미국에서 나와 다른 나라로 이동할 가능성도
반면 관세를 상쇄시켜줄 환율 효과가 없는 점
아직 시장이 판단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
테슬라 실적, 한미 협상 넘기며 점차 가늠될 듯
연준에 대한 불확실성 이어지나 주목할 변화도
트럼프의 파월에 대한 발언은 살짝 변화 감지
오늘의 경우 파월에 대한 해임 코멘트가 없었음
인하 안 한다. 정치적이다. 경기 나빠질 이유된다 등
해임설에 시장이 흔들린 점 의식한 것으로 보임
해임 보다 금리인하만 계속 코멘트하는지 주목
단기로는 수급 변화가 확인되지 않고 있음
외국인 매도 지속. 수출주 방향성 없는 상태
방향 보다 매물 소화하며 큰 일정 대기하는 국면
실적주들 중심으로 조정시 관심 가져 볼 필요
11.04.202506:14
마감 시황. 빅3+자동차 하락. 사실상 증시는 상승
미중 갈등, 금리 부담되는 가운데 무난한 매물 소화
코스피 대형 업종 지수만 하락. 중소형 업종 지수 상승
코스닥은 상승 종목수가 세 배 가량 많았음
시총 빅3 + 현대, 기아 낙폭 기여가 -20p
이 종목군 제외하면 사실상 지수는 플러스
장조반은 하락한 미 증시 영향으로 매물
대중국 관세 145%, 미국 경기 둔화 우려 제기
특히 주요 증권사들이 일제히 침체 경고
골드만삭스. 아직 재료 정점 아니야. 추가 하락 가능성
미국 국채 금리 변동성도 불안 요인
안전 자산인 국채 금리 상승은 미국 경제 의구심
감세안 등으로 미국은 추가 국채 발행 불가피
자금 조달 비용 등 정부 재정 문제 불거질 수있음
트럼프가 이번에 반응했던 것도 증시 보다 채권 시장
금리 상승 배경으로 헤지펀드들 현금화 차원이라는 설
중국의 미국 국채 매각 가능성 등이 제기되는 중
어쨌든 금리가 오를 때 마다 증시 긴장도가 커지고 있음
장초반 10년물 금리 4.5%로 가면서 지수도 밀리기도
오전장 넘어가며 금리 4.44%대로 둔화되자 미선물 반등
또 중국측은 추가 대응이 없다는 점도 일단 안도감
우리 증시 역시 코스피 낙폭 축소. 코스닥 상승
10일까지 수출 13.7% 늘어난 점도 긍정적 영향
반도체, 자동차 등 수출 호조 영향으로 분석
물론 관세 전이긴 하나 2분기 실적 기대감으로 해석
반도체, 자동차등 주요 수출주들은 매물 나오며 부진
전일 급등 영향. 자동차는 증권사 실적 하향 여파
코스닥 반도체주들은 오후들어 매수 유입되며 상승
방산, 조선, 제약 등 상승, 코스닥 지수 상승 요인
외국인은 전기전자, 자동차 중심 매도
두 업종 제외하면 대부분 관망 수준
기관은 금융투자 매도, 연기금과 투신은 매수
부정적인 점은 경기 침체 주장이 늘어나고 있는 점
무역전쟁 이상의 파급적을 가질 수 있는 재료
반면 채권 불안 겹치며 트럼프 발언은 최근 톤 다운
어제 이 후 트럼프의 강경한 발언이 나오지 않고 있음
중국에 대해서도 대화할 준비되어 있다고 언급
물론 중국측 대응 등 불활실성 자체는 여전
그러나 트럼프의 시장 자극은 이전 대비 줄어들 수도
당분간 종목별 반등 시도는 이어질 가능성
외국인 선물 매도 풀리면 주요 수출주들
매도세 이어지면 관세 대비주들 엇갈리며 반응 예상
가격 부담은 물론 오히려 낙폭 커진 종목들 지속 주목
급락기에 기관들 매수 꾸준했던 종목들 관심 높여야
미중 갈등, 금리 부담되는 가운데 무난한 매물 소화
코스피 대형 업종 지수만 하락. 중소형 업종 지수 상승
코스닥은 상승 종목수가 세 배 가량 많았음
시총 빅3 + 현대, 기아 낙폭 기여가 -20p
이 종목군 제외하면 사실상 지수는 플러스
장조반은 하락한 미 증시 영향으로 매물
대중국 관세 145%, 미국 경기 둔화 우려 제기
특히 주요 증권사들이 일제히 침체 경고
골드만삭스. 아직 재료 정점 아니야. 추가 하락 가능성
미국 국채 금리 변동성도 불안 요인
안전 자산인 국채 금리 상승은 미국 경제 의구심
감세안 등으로 미국은 추가 국채 발행 불가피
자금 조달 비용 등 정부 재정 문제 불거질 수있음
트럼프가 이번에 반응했던 것도 증시 보다 채권 시장
금리 상승 배경으로 헤지펀드들 현금화 차원이라는 설
중국의 미국 국채 매각 가능성 등이 제기되는 중
어쨌든 금리가 오를 때 마다 증시 긴장도가 커지고 있음
장초반 10년물 금리 4.5%로 가면서 지수도 밀리기도
오전장 넘어가며 금리 4.44%대로 둔화되자 미선물 반등
또 중국측은 추가 대응이 없다는 점도 일단 안도감
우리 증시 역시 코스피 낙폭 축소. 코스닥 상승
10일까지 수출 13.7% 늘어난 점도 긍정적 영향
반도체, 자동차 등 수출 호조 영향으로 분석
물론 관세 전이긴 하나 2분기 실적 기대감으로 해석
반도체, 자동차등 주요 수출주들은 매물 나오며 부진
전일 급등 영향. 자동차는 증권사 실적 하향 여파
코스닥 반도체주들은 오후들어 매수 유입되며 상승
방산, 조선, 제약 등 상승, 코스닥 지수 상승 요인
외국인은 전기전자, 자동차 중심 매도
두 업종 제외하면 대부분 관망 수준
기관은 금융투자 매도, 연기금과 투신은 매수
부정적인 점은 경기 침체 주장이 늘어나고 있는 점
무역전쟁 이상의 파급적을 가질 수 있는 재료
반면 채권 불안 겹치며 트럼프 발언은 최근 톤 다운
어제 이 후 트럼프의 강경한 발언이 나오지 않고 있음
중국에 대해서도 대화할 준비되어 있다고 언급
물론 중국측 대응 등 불활실성 자체는 여전
그러나 트럼프의 시장 자극은 이전 대비 줄어들 수도
당분간 종목별 반등 시도는 이어질 가능성
외국인 선물 매도 풀리면 주요 수출주들
매도세 이어지면 관세 대비주들 엇갈리며 반응 예상
가격 부담은 물론 오히려 낙폭 커진 종목들 지속 주목
급락기에 기관들 매수 꾸준했던 종목들 관심 높여야
10.04.202520:32
4월 11일 시황. 대중국 관세, 침체 우려. 급등 후유증
◎ 해외 증시
전일 급등 매물, 중국 관세 내역, 경기 우려에 하락
5% 이상 오른 경우 다음날 상승 확률은 34%
이전 23회 중 상승 8회, 하락 15회. 하락 비율 높은 편
관세 유예 후 긍 부정적 뉴스 이어지는 모습
케빈 해셋. 몇 건의 협상 매우 진전되고 있다고.
EU는 관세 유예에 25% 보복 관세 일단 철회
다만 전일 급등으로 이미 반영된 재료
반면 대중국 145% 관세 내역 공개된 점은 악재로
알려진 125%에 펜타닐 관련 20% 추가된 것
또 800달러 이하 저가 상품 관세도 30%p 더한 120%
이 소식에 낙폭이 더 커진 것으로 보임
트럼프, 90일 후 관세 올리거나. 연장 모두 가능하다고
중국과의 협상 원한다며 양국 좋은 결과 기대한다고도
이 발언에 그나마 낙폭을 줄인 것으로 보임
미국 경제에 대한 불안도 증시 발목
여전한 중국과의 갈등, 최근 채권 시장 불안 등
FBB Capital. 기본 10%, 중국, 90일 후 관세 인상 등 부담
Givekal Research. 중국은 미국이 약점 잡힌 것으로 볼수도
Robeco Groep. 유예 하나로 되돌릴 수는 없어
모건스탠리. 유예는 우려는 줄이나 불확실성은 여전해
캐피털 이코노믹스. 시장 압박에 관세 유예된 것
특히 채권 시장 무너지며 변한 것. 유예 반복 할 것
El-Erian. 침체, 증시, 특히 채권 문제 트럼프에게 전해진 듯
에버코어, 관세 유예 불구 침체 우려 여전히 남아
JP모건. 미국 경제 건전성 의구심은 남아 있어
라보뱅크. 무역전쟁이 미중간 직접 대결로 변하는 중
블리클리, 인플레 우려에 각국 미국 국채 매도 유발
2월 CPI는 헤드라인 2.4%, -0.1% (예상 2.5%, 0.1%)
근원은 2.8%, 0.1% (예상 3.0%, 0.3%) 모두 예상 하회
다만 관세 부과 전이라는 점에 영향은 제한적
eToro. 물가 안정이 아니라 수요 둔화 조짐이라는 해석도
애플 -4%, 엔비디아 -5.9%, 테슬라 -7.3% 등 빅테크 약세
애플은 인도에서 아이폰 150만대 수송 계획 중이라고
항공편 전세. 통관 철차 단축 위해 로비를 했다고
UBS. 테슬라 가이던스 하향 예상. 225달러 → 190달러
제프리스, 관세 협상용 보잉 수혜 가능성. 다만 주가는 하락
코카콜라, 월마트, 유나이티드헬스 등 방어적 성향주 상승
◎ 주요 지표
달러인덱스 100.85 (-1.73%)
국제유가 60.26달러 (-3.34%)
변동성지수 40.72 (+21.12%)
10년물 금리 4.41%
MSCI 한국지수 -2.74%
야간선물 -2.06%
◎ 전망과 전략
상호 관세 유예는 일단 악재의 완화 수준
긍정적인 점은 협상 메인 주체가 베센트가 된 점
강경파와 달리 유연한 협상 및 관세 조율 가능성
반면 중국과의 갈등, 여전한 트럼프 리스크는 부담
관세 비롯 증시 흔든 발언은 대부분 트럼프였음
이 후에도 발언에 따라 산발적 변동성은 나올 듯
그러나 큰 고비는 일단 지나간 것으로 판단
전일 호재성 재료 불구 외국인 매수 제한적
공매도는 대폭 감소했으나 매수 강도는 낮았음
또 시총 1위 삼성전자의 경우 여전히 순매도
만기일 지난 오늘 시총 상위 종목 수급 변화 주목
또 역대급으로 누적된 선물 매도가 풀리는지도 체크
단기 반등 불구 여전히 낙폭 과대 상태
침체 가능성 낮다면 실적 대비 낙폭주들 주목해 볼만
증권사 평가 좋았고 기관 매수 누적된 종목
외국인, 기관 매도 이어지다 수급 바뀐 종목들 주목
◎ 해외 증시
전일 급등 매물, 중국 관세 내역, 경기 우려에 하락
5% 이상 오른 경우 다음날 상승 확률은 34%
이전 23회 중 상승 8회, 하락 15회. 하락 비율 높은 편
관세 유예 후 긍 부정적 뉴스 이어지는 모습
케빈 해셋. 몇 건의 협상 매우 진전되고 있다고.
EU는 관세 유예에 25% 보복 관세 일단 철회
다만 전일 급등으로 이미 반영된 재료
반면 대중국 145% 관세 내역 공개된 점은 악재로
알려진 125%에 펜타닐 관련 20% 추가된 것
또 800달러 이하 저가 상품 관세도 30%p 더한 120%
이 소식에 낙폭이 더 커진 것으로 보임
트럼프, 90일 후 관세 올리거나. 연장 모두 가능하다고
중국과의 협상 원한다며 양국 좋은 결과 기대한다고도
이 발언에 그나마 낙폭을 줄인 것으로 보임
미국 경제에 대한 불안도 증시 발목
여전한 중국과의 갈등, 최근 채권 시장 불안 등
FBB Capital. 기본 10%, 중국, 90일 후 관세 인상 등 부담
Givekal Research. 중국은 미국이 약점 잡힌 것으로 볼수도
Robeco Groep. 유예 하나로 되돌릴 수는 없어
모건스탠리. 유예는 우려는 줄이나 불확실성은 여전해
캐피털 이코노믹스. 시장 압박에 관세 유예된 것
특히 채권 시장 무너지며 변한 것. 유예 반복 할 것
El-Erian. 침체, 증시, 특히 채권 문제 트럼프에게 전해진 듯
에버코어, 관세 유예 불구 침체 우려 여전히 남아
JP모건. 미국 경제 건전성 의구심은 남아 있어
라보뱅크. 무역전쟁이 미중간 직접 대결로 변하는 중
블리클리, 인플레 우려에 각국 미국 국채 매도 유발
2월 CPI는 헤드라인 2.4%, -0.1% (예상 2.5%, 0.1%)
근원은 2.8%, 0.1% (예상 3.0%, 0.3%) 모두 예상 하회
다만 관세 부과 전이라는 점에 영향은 제한적
eToro. 물가 안정이 아니라 수요 둔화 조짐이라는 해석도
애플 -4%, 엔비디아 -5.9%, 테슬라 -7.3% 등 빅테크 약세
애플은 인도에서 아이폰 150만대 수송 계획 중이라고
항공편 전세. 통관 철차 단축 위해 로비를 했다고
UBS. 테슬라 가이던스 하향 예상. 225달러 → 190달러
제프리스, 관세 협상용 보잉 수혜 가능성. 다만 주가는 하락
코카콜라, 월마트, 유나이티드헬스 등 방어적 성향주 상승
◎ 주요 지표
달러인덱스 100.85 (-1.73%)
국제유가 60.26달러 (-3.34%)
변동성지수 40.72 (+21.12%)
10년물 금리 4.41%
MSCI 한국지수 -2.74%
야간선물 -2.06%
◎ 전망과 전략
상호 관세 유예는 일단 악재의 완화 수준
긍정적인 점은 협상 메인 주체가 베센트가 된 점
강경파와 달리 유연한 협상 및 관세 조율 가능성
반면 중국과의 갈등, 여전한 트럼프 리스크는 부담
관세 비롯 증시 흔든 발언은 대부분 트럼프였음
이 후에도 발언에 따라 산발적 변동성은 나올 듯
그러나 큰 고비는 일단 지나간 것으로 판단
전일 호재성 재료 불구 외국인 매수 제한적
공매도는 대폭 감소했으나 매수 강도는 낮았음
또 시총 1위 삼성전자의 경우 여전히 순매도
만기일 지난 오늘 시총 상위 종목 수급 변화 주목
또 역대급으로 누적된 선물 매도가 풀리는지도 체크
단기 반등 불구 여전히 낙폭 과대 상태
침체 가능성 낮다면 실적 대비 낙폭주들 주목해 볼만
증권사 평가 좋았고 기관 매수 누적된 종목
외국인, 기관 매도 이어지다 수급 바뀐 종목들 주목
25.04.202506:06
마감 시황. 압박에서 협상 국면으로 바뀐 관세
관세 전쟁 우려 완화되며 반등
우선 한미 관세 2+2 협의 종료되며 일부 기대감
구체적인 내용 보다 양측의 코멘트 자체에 일단 안도
미국측은 곧 원칙적 합의 언급했지만 시간 걸릴 듯
양측 긍정적 평가는 25% 보다 낮아짐 의미
미중 갈등 우려가 진정된 점도
전일 트럼프는 접촉 중이다. 중국은 아니다 갈림
그러나 트럼프는 오늘도 대화를 했다고 주장
일부 언론도 중국측 인사들이 만난 것으로 보인다고
중국이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일부 면제 검토 보도
자국 기업들의 피해를 고려해 면제를 고려한다는 것
특별히 부정하지 않고 있어 실행 가능성도
협상 타결 1호가 인도가 될 것이라는 기사도
관세가 압박에서 협상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
연준 인사들의 금리인하 발언도 긍정적 작용
관세, 인플레,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있다는 우려
연준이 움직여 방어 혹은 최소화될 것이라는 기대
미 증시에서 반도체가 큰 폭으로 오른 점도
AI 수요 강력하다는 점 재차 확인하며 종목들 강세
SK하이닉스 호실적과 맞물려 국내도 관련주 매수 유입
외국인 4월 10일 이 후 처음으로 코스피 순매수
비차익 매수가 강해 특정 업종이 아닌 시장 전체 매수
선물도 역시 4월 10일 이 후 최대 규모 순매수
특히 선물 매수는 매도 청산 보다 신규 매수로 보임
외국인 선물 매수에 기관도 코스피 매수로 집계
코스닥은 외국인 매수, 기관은 매도로
최근 트럼프의 지지율이 낮아지는 등 정치적 부담 커짐
전일은 강력한 지지자였던 켄 그리핀도 정책 비판
미국의 가치를 떨어지게 하고 있다고 주장
아직 실물 지표 반응 없으나 다음달 넘어가면 영향 예상
압박 보다 협상에 무게가 실리는 이유
다만 그 과정이 부드럽게 진행되지는 않을 것
산발적인 노이즈 역시 반복적으로 나올 가능성도
외국인 움직임에 변화가 생긴다면 대형주들 추세 주목
양시장 ADR은 어느 정도 과매수권 영역으로 진입
종목별 차별화가 커질 가능성 염두해야
업종별, 종목별 수급 변화 집중하며 선별적 접근 필요
관세 전쟁 우려 완화되며 반등
우선 한미 관세 2+2 협의 종료되며 일부 기대감
구체적인 내용 보다 양측의 코멘트 자체에 일단 안도
미국측은 곧 원칙적 합의 언급했지만 시간 걸릴 듯
양측 긍정적 평가는 25% 보다 낮아짐 의미
미중 갈등 우려가 진정된 점도
전일 트럼프는 접촉 중이다. 중국은 아니다 갈림
그러나 트럼프는 오늘도 대화를 했다고 주장
일부 언론도 중국측 인사들이 만난 것으로 보인다고
중국이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일부 면제 검토 보도
자국 기업들의 피해를 고려해 면제를 고려한다는 것
특별히 부정하지 않고 있어 실행 가능성도
협상 타결 1호가 인도가 될 것이라는 기사도
관세가 압박에서 협상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
연준 인사들의 금리인하 발언도 긍정적 작용
관세, 인플레,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있다는 우려
연준이 움직여 방어 혹은 최소화될 것이라는 기대
미 증시에서 반도체가 큰 폭으로 오른 점도
AI 수요 강력하다는 점 재차 확인하며 종목들 강세
SK하이닉스 호실적과 맞물려 국내도 관련주 매수 유입
외국인 4월 10일 이 후 처음으로 코스피 순매수
비차익 매수가 강해 특정 업종이 아닌 시장 전체 매수
선물도 역시 4월 10일 이 후 최대 규모 순매수
특히 선물 매수는 매도 청산 보다 신규 매수로 보임
외국인 선물 매수에 기관도 코스피 매수로 집계
코스닥은 외국인 매수, 기관은 매도로
최근 트럼프의 지지율이 낮아지는 등 정치적 부담 커짐
전일은 강력한 지지자였던 켄 그리핀도 정책 비판
미국의 가치를 떨어지게 하고 있다고 주장
아직 실물 지표 반응 없으나 다음달 넘어가면 영향 예상
압박 보다 협상에 무게가 실리는 이유
다만 그 과정이 부드럽게 진행되지는 않을 것
산발적인 노이즈 역시 반복적으로 나올 가능성도
외국인 움직임에 변화가 생긴다면 대형주들 추세 주목
양시장 ADR은 어느 정도 과매수권 영역으로 진입
종목별 차별화가 커질 가능성 염두해야
업종별, 종목별 수급 변화 집중하며 선별적 접근 필요


24.04.202511:56
불안한 소프트 데이터. 아직 버티는 하드 데이터. 시황맨
경제 지표를 두 가지로 나누는 방법이 있습니다.
심리 지표인 소프트 데이터와 실물 지표인 하드 데이터.
소프트 데이터는 말 그대로 심리 지표들인데. 가령 소비자신뢰지수, 흔히 PMI라고 하는 구매 관리자 지수 등이 있습니다.
하드 데이터는 실업률, GDP, 소매판매 등을 이야기합니다.
아무래도 지표의 특성상 소프트 데이터의 변동성이 더 요란합니다.
최근 미국 지표를 보면 주요 심리 지표들은 확연하게 꺾이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관세 전쟁으로 경제가 나빠질 것이라는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는거죠.
반면 실물 지표들은 아직은 견조한 편입니다. 지표상 고용이나 소비가 꺾였다는 발표는 아직까지는 없습니다.
다만 불안한 심리가 이어지면 지출 보다 저축을 늘리게 되면서 실제 소비가 축소되어 실물 지표가 나빠집니다.
또 정책 변화가 요란하면 기업들이 설비 투자나 신규 고용에 대한 계획을 세우기 어렵게 됩니다.
일부에서는 관세와 무역 갈등 여파로 제품 생산 계획에 차질이 있다는 보도도 있습니다.
가령 테슬라의 경우 휴머노이드 로봇 관절에 장착되는 모터의 공급 부족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모터에는 자석이 필수로 들어가는데. 이 자석을 만들기 위해서는 중국의 희토류가 필요합니다. 조달이 어렵게 되면 생산 자체가 불가능해지는거죠.
이렇듯 지금의 갈등을 한 분기 이내 해소되지 못하면 다음 분기에 나오는 하드 데이터들이 악화되기 시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5월 이내 어떤 결과물이 나오지 않으면 미국 경제 지표가 실제 나빠질 가능성도 있다고 봐야할 것 같네요.
최근 트럼프나 참모들의 발언이 달라진 이유겠죠.
경제 지표를 두 가지로 나누는 방법이 있습니다.
심리 지표인 소프트 데이터와 실물 지표인 하드 데이터.
소프트 데이터는 말 그대로 심리 지표들인데. 가령 소비자신뢰지수, 흔히 PMI라고 하는 구매 관리자 지수 등이 있습니다.
하드 데이터는 실업률, GDP, 소매판매 등을 이야기합니다.
아무래도 지표의 특성상 소프트 데이터의 변동성이 더 요란합니다.
최근 미국 지표를 보면 주요 심리 지표들은 확연하게 꺾이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관세 전쟁으로 경제가 나빠질 것이라는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는거죠.
반면 실물 지표들은 아직은 견조한 편입니다. 지표상 고용이나 소비가 꺾였다는 발표는 아직까지는 없습니다.
다만 불안한 심리가 이어지면 지출 보다 저축을 늘리게 되면서 실제 소비가 축소되어 실물 지표가 나빠집니다.
또 정책 변화가 요란하면 기업들이 설비 투자나 신규 고용에 대한 계획을 세우기 어렵게 됩니다.
일부에서는 관세와 무역 갈등 여파로 제품 생산 계획에 차질이 있다는 보도도 있습니다.
가령 테슬라의 경우 휴머노이드 로봇 관절에 장착되는 모터의 공급 부족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모터에는 자석이 필수로 들어가는데. 이 자석을 만들기 위해서는 중국의 희토류가 필요합니다. 조달이 어렵게 되면 생산 자체가 불가능해지는거죠.
이렇듯 지금의 갈등을 한 분기 이내 해소되지 못하면 다음 분기에 나오는 하드 데이터들이 악화되기 시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5월 이내 어떤 결과물이 나오지 않으면 미국 경제 지표가 실제 나빠질 가능성도 있다고 봐야할 것 같네요.
최근 트럼프나 참모들의 발언이 달라진 이유겠죠.
22.04.202520:37
4월 23일 시황. 오늘은 베센트가 해결사
◎ 해외 증시
미중 무역 갈등이 곧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에 급등
베센트. 가까운 미래에 중국과의 무역갈등 해소 전망
현재 상태 지속될 수 없다며 상황 해결되야함 강조
다만 협상이 시작된 것은 아니고 긴 여정이 될 것
레빗 백악관 대변인도 중국과의 협상 마련하고 있다고
트럼프는 잠재적인 무역합의 잘 진행되고 있다 전했다고
아울러 이번주에만 34개국과 논의가 예정되어 있다고 발언
파월 문제는 이 날 새로 불거진 것은 없었음
다만 해고될 수 없다는 분석이 현재까지는 우세
시장 불확실성인 해고 리스크는 과하다는 의견
트럼프의 파월 압박에 대해서는 월가 대부분 경고
르네상스 매크로. 채권 시장 뒤흔들 사건
야데니. 예측하기 어려운 정책에 경제 상황 불확실
FS인베스트. 달러, 채권, 주식 모두 공격 당하고 있어
뉴욕 멜론. 연준 압박은 안전 자산의 지위 낮추는 결과
올리 렌 ECB 정책위원. 독립성 의문은 신뢰도 약화 초래
XTB. 정치 변수가 미국 자산에 위험 요인으로 작용 중
ING. 당분간 주식은 중립. 무슨 일이 벌어질지 모르는 상황
BCA. 관세 이어지면 기업들 이익 압박 불가피
Vital Knowledge. 증시 반등 가능성 높아
5,100p 지지, 미국-인도 협상, 파월의 정치적 독립 확인 등
파이퍼 샌들러. 미국 가구의 60%가 주식 보유
침체시 증시 하락률 평균 -30%. 이 손실은 GDP 60% 수준
정책 당국자들이 그대로 방치하기는 어려울 것
CNBC. 달러 약세로 각국 금리인하 가능성 높아져
골드만삭스, 헤지펀드들 임의소비재 주식 매도
경기 침체 가능성을 우려한 움직임으로 해석
IMF. 주요국 성장 전망 일제히 하향. 세계 3.3%→2.8%,
미국 2.7%→1.8%. 한국 2.0%→1.0%.
마감후 나온 테슬라 실적은 예상 크게 하회
매출 $193.4억, EPS 0.27. 예상 $211억, 0.39 하회
한편 올해 공매도 투자자들 수익만 115억달러라고
올해 공매도만 1000만주 증가. 명목 포지션 176억달러
현재 공매도 포지션 $엔비디아 246억 애플 $222억,
록히드 마틴. 3M 등 예상 상회하는 실적 공개.
도이치. 중국 수출 규제에 엔비디아 135 → 125 하향
다만 아마존 데이터 센터 임대 연기설 부인에 상승
아마존 측은 용량 최적화 과정의 일상적 조정이라고
UBS. 칩 규제 부담되나 기술주 긍정적 요인 남아있어
AI 성장 스토리 견고. AI 채택률 지속 높아질 것
BoA. 아마존, 관세 국면에서 규모 큰 업체 유리할 것
모건스탠리는 목표가 245달러 낮추나 탑픽은 유지
버라이존. 고객들 저렴한 요금제 갈아타기 우려에 매물
◎ 주요 지표
달러인덱스 98.97 (+0.71%)
국제유가 64.2달러 (+1.78%)
변동성지수 30.57 (-9.61%)
10년물 금리 4.39%
MSCI 한국지수 +0.77%
야간선물 +0.61%
◎ 전망과 전략
일단 미중 갈등 우려 진정은 긍정적인 요인
현재 상태 초장기화 가능성을 낮춰주는 대목
물론 현재까지 구체적인 협상 단계는 아닌 듯
그러나 적어도 협상 주체인 베센트의 발언이라는 점 의미
최근 미 증시 약세에도 우리 증시는 선전하는 편
미국이 하락하는 날 우리가 더 빠진 경우는 없음
미국 자산 약세를 전세계 동반 약세로 연결은 안하는 것
실제 트럼프 취임 이 후 MSCI 기준 플러스 국가가 더 많음
-10% 이상은 대만. 미국, 인니, 터키, 이스라엘, 태국 정도
관세에 대해서는 두 가지 시각이 있는 것
하나는 실제 부담이 있어 관련주 매수는 주저하는 모습
또 하나는 결국에는 타결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
이 때문에 지수는 선전하나 수출주는 부진한 것
테슬라 실적, 한미 협상으로 이어지는 일정이 고비
특히 협상에서 양측의 긍정적 메세지 나오는지 주목
결과는 없겠지만 메세지로 추가 관세 우려 희석 가능성
그 전까지는 큰 흐름 보다 종목별 장세 형태 예상
당장은 대선 공약 관련주들이 두드러진 모습
장기 정책주 외 실적, 수급 누적된 종목들도 지속 관심 필요
◎ 해외 증시
미중 무역 갈등이 곧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에 급등
베센트. 가까운 미래에 중국과의 무역갈등 해소 전망
현재 상태 지속될 수 없다며 상황 해결되야함 강조
다만 협상이 시작된 것은 아니고 긴 여정이 될 것
레빗 백악관 대변인도 중국과의 협상 마련하고 있다고
트럼프는 잠재적인 무역합의 잘 진행되고 있다 전했다고
아울러 이번주에만 34개국과 논의가 예정되어 있다고 발언
파월 문제는 이 날 새로 불거진 것은 없었음
다만 해고될 수 없다는 분석이 현재까지는 우세
시장 불확실성인 해고 리스크는 과하다는 의견
트럼프의 파월 압박에 대해서는 월가 대부분 경고
르네상스 매크로. 채권 시장 뒤흔들 사건
야데니. 예측하기 어려운 정책에 경제 상황 불확실
FS인베스트. 달러, 채권, 주식 모두 공격 당하고 있어
뉴욕 멜론. 연준 압박은 안전 자산의 지위 낮추는 결과
올리 렌 ECB 정책위원. 독립성 의문은 신뢰도 약화 초래
XTB. 정치 변수가 미국 자산에 위험 요인으로 작용 중
ING. 당분간 주식은 중립. 무슨 일이 벌어질지 모르는 상황
BCA. 관세 이어지면 기업들 이익 압박 불가피
Vital Knowledge. 증시 반등 가능성 높아
5,100p 지지, 미국-인도 협상, 파월의 정치적 독립 확인 등
파이퍼 샌들러. 미국 가구의 60%가 주식 보유
침체시 증시 하락률 평균 -30%. 이 손실은 GDP 60% 수준
정책 당국자들이 그대로 방치하기는 어려울 것
CNBC. 달러 약세로 각국 금리인하 가능성 높아져
골드만삭스, 헤지펀드들 임의소비재 주식 매도
경기 침체 가능성을 우려한 움직임으로 해석
IMF. 주요국 성장 전망 일제히 하향. 세계 3.3%→2.8%,
미국 2.7%→1.8%. 한국 2.0%→1.0%.
마감후 나온 테슬라 실적은 예상 크게 하회
매출 $193.4억, EPS 0.27. 예상 $211억, 0.39 하회
한편 올해 공매도 투자자들 수익만 115억달러라고
올해 공매도만 1000만주 증가. 명목 포지션 176억달러
현재 공매도 포지션 $엔비디아 246억 애플 $222억,
록히드 마틴. 3M 등 예상 상회하는 실적 공개.
도이치. 중국 수출 규제에 엔비디아 135 → 125 하향
다만 아마존 데이터 센터 임대 연기설 부인에 상승
아마존 측은 용량 최적화 과정의 일상적 조정이라고
UBS. 칩 규제 부담되나 기술주 긍정적 요인 남아있어
AI 성장 스토리 견고. AI 채택률 지속 높아질 것
BoA. 아마존, 관세 국면에서 규모 큰 업체 유리할 것
모건스탠리는 목표가 245달러 낮추나 탑픽은 유지
버라이존. 고객들 저렴한 요금제 갈아타기 우려에 매물
◎ 주요 지표
달러인덱스 98.97 (+0.71%)
국제유가 64.2달러 (+1.78%)
변동성지수 30.57 (-9.61%)
10년물 금리 4.39%
MSCI 한국지수 +0.77%
야간선물 +0.61%
◎ 전망과 전략
일단 미중 갈등 우려 진정은 긍정적인 요인
현재 상태 초장기화 가능성을 낮춰주는 대목
물론 현재까지 구체적인 협상 단계는 아닌 듯
그러나 적어도 협상 주체인 베센트의 발언이라는 점 의미
최근 미 증시 약세에도 우리 증시는 선전하는 편
미국이 하락하는 날 우리가 더 빠진 경우는 없음
미국 자산 약세를 전세계 동반 약세로 연결은 안하는 것
실제 트럼프 취임 이 후 MSCI 기준 플러스 국가가 더 많음
-10% 이상은 대만. 미국, 인니, 터키, 이스라엘, 태국 정도
관세에 대해서는 두 가지 시각이 있는 것
하나는 실제 부담이 있어 관련주 매수는 주저하는 모습
또 하나는 결국에는 타결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
이 때문에 지수는 선전하나 수출주는 부진한 것
테슬라 실적, 한미 협상으로 이어지는 일정이 고비
특히 협상에서 양측의 긍정적 메세지 나오는지 주목
결과는 없겠지만 메세지로 추가 관세 우려 희석 가능성
그 전까지는 큰 흐름 보다 종목별 장세 형태 예상
당장은 대선 공약 관련주들이 두드러진 모습
장기 정책주 외 실적, 수급 누적된 종목들도 지속 관심 필요
14.04.202521:35
모닝 브리핑. 미 증시 상승 이끈 두 개의 재료. 트럼프가 또 내놓은 관세 메세지, 연준 인사 또 등판. 공매도 치던 외국인이 달라졌다. 코스닥 강세 배경. 한국 증시 현재 랭킹은
방송 요약
미 증시 상승 이끈 두 개의 재료.
트럼프가 또 내놓은 관세 메세지,
연준 인사 또 등판. 관련 발언 영향은
공매도 치던 외국인이 달라졌다.
코스닥 강세 배경. 한국 증시 현재 랭킹
https://youtu.be/o4fY3vdfpeA
방송 요약
미 증시 상승 이끈 두 개의 재료.
트럼프가 또 내놓은 관세 메세지,
연준 인사 또 등판. 관련 발언 영향은
공매도 치던 외국인이 달라졌다.
코스닥 강세 배경. 한국 증시 현재 랭킹
https://youtu.be/o4fY3vdfpeA
11.04.202504:26
오늘 야후에 나온 분석인데 읽어 보면 공부가 좀 됩니다. 요약을 해 보면
◎ 4차원 딜메이커 트럼프의 진짜 목표는 중국
◎ 고집 센 시진핑도 당장은 물러설 생각이 없어
◎ 미국과 동등한 초강대국으로 생각하고 있는 중
◎ 시진핑의 강점(?)은 관세가 미국인 피해가 크다는 점
◎ 특히 증시 하락은 미국 경제 미래를 예측하는 수단
◎ 증시 급락으로 트럼프가 받는 타격은 큰 상태
◎ 톰 리. 증시 하락하면 트럼프는 협상 레버리지 잃어
◎ 채권 시장 불안은 더 큰 문제점 유발
◎ 달러 하락 포함 모든 미국 자산 매도세 진행 중 암시
◎ 트럼프가 압박 받고 90일 유예한 이유로 보임
◎ 혹 중국이 의도적으로 국채 팔아 금리 급등 시킬 경우
◎ 유동성에 영향을 주면서 신용 경색. 나아가 금융 위기 우려
◎ 다만 중국 수출 제품 구매국 없어져 자국 피해도 막대
◎ 트럼프의 감세안도 중요한 변수가 될 것
◎ 국채 발행 늘려야 하는 상황에 금리가 올라 버린 것
◎ 관세 → 경제 타격 → 외국인 이탈 → 금리 상승
◎ 선거가 없는 시진핑은 유리하다 장기적으로 불리
◎ 중국 제품 구매할 대상이 타격 받는 것 자체가 부담
◎ 트럼프는 미국과 중국 경제를 분리하는데 진심
◎ 무역전쟁 초점을 중국으로 압축가고 있어
글에 결론은 없지만 제가 느끼기에는 '이러다 다 죽어..' 모드라. 어느 순간 대화하는 시점이 오지 않을까..결국 그렇게 되야되는 상황인 것 같네요.
https://finance.yahoo.com/news/commentary-china-knows-trumps-breaking-point-213645787.html
◎ 4차원 딜메이커 트럼프의 진짜 목표는 중국
◎ 고집 센 시진핑도 당장은 물러설 생각이 없어
◎ 미국과 동등한 초강대국으로 생각하고 있는 중
◎ 시진핑의 강점(?)은 관세가 미국인 피해가 크다는 점
◎ 특히 증시 하락은 미국 경제 미래를 예측하는 수단
◎ 증시 급락으로 트럼프가 받는 타격은 큰 상태
◎ 톰 리. 증시 하락하면 트럼프는 협상 레버리지 잃어
◎ 채권 시장 불안은 더 큰 문제점 유발
◎ 달러 하락 포함 모든 미국 자산 매도세 진행 중 암시
◎ 트럼프가 압박 받고 90일 유예한 이유로 보임
◎ 혹 중국이 의도적으로 국채 팔아 금리 급등 시킬 경우
◎ 유동성에 영향을 주면서 신용 경색. 나아가 금융 위기 우려
◎ 다만 중국 수출 제품 구매국 없어져 자국 피해도 막대
◎ 트럼프의 감세안도 중요한 변수가 될 것
◎ 국채 발행 늘려야 하는 상황에 금리가 올라 버린 것
◎ 관세 → 경제 타격 → 외국인 이탈 → 금리 상승
◎ 선거가 없는 시진핑은 유리하다 장기적으로 불리
◎ 중국 제품 구매할 대상이 타격 받는 것 자체가 부담
◎ 트럼프는 미국과 중국 경제를 분리하는데 진심
◎ 무역전쟁 초점을 중국으로 압축가고 있어
글에 결론은 없지만 제가 느끼기에는 '이러다 다 죽어..' 모드라. 어느 순간 대화하는 시점이 오지 않을까..결국 그렇게 되야되는 상황인 것 같네요.
https://finance.yahoo.com/news/commentary-china-knows-trumps-breaking-point-213645787.html


10.04.202511:32
미국 5% 급등 다음 날. 시황맨
미국 선물이 하락 중인데. 통계적으로 보면 당연한 측면이 있습니다.
1950년 이 후 S&P500 지수가 5% 이상 경우는 이번 제외 총 23회 있었습니다.
이 중 다음날 오른 경우는 8회, 하락은 15회였습니다. 평균 상승률은 -0.7%
다음날 오를 확률은 34.8% 정도 되는 겁니다.
미국 선물이 하락 중인데. 통계적으로 보면 당연한 측면이 있습니다.
1950년 이 후 S&P500 지수가 5% 이상 경우는 이번 제외 총 23회 있었습니다.
이 중 다음날 오른 경우는 8회, 하락은 15회였습니다. 평균 상승률은 -0.7%
다음날 오를 확률은 34.8% 정도 되는 겁니다.
25.04.202504:50
중국, 미국산 제품 관세 일부 면제? 시황맨
중국은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125% 관세 면제 검토. 기업들에게 어떤 것이 필요한지 자체 요청서를 제출해 달라고
백신, 화학제품, 항공기 엔진, 반도체 등 131개 목록이 돌았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목록 확인은 불가
이런 조치는 디플레이션 상황에 빠져있는 중국 경제를 고려한 것이라고
관세로 타격 받은 수출 업체들에게 내수 시장으로의 전환을 유도했지만 수익성과 수요가 약해 어렵다는 평가.
양측의 압박을 덜어내는 계기가 될 가능성
https://finance.yahoo.com/news/china-considers-exempting-goods-us-043426233.html
중국은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125% 관세 면제 검토. 기업들에게 어떤 것이 필요한지 자체 요청서를 제출해 달라고
백신, 화학제품, 항공기 엔진, 반도체 등 131개 목록이 돌았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목록 확인은 불가
이런 조치는 디플레이션 상황에 빠져있는 중국 경제를 고려한 것이라고
관세로 타격 받은 수출 업체들에게 내수 시장으로의 전환을 유도했지만 수익성과 수요가 약해 어렵다는 평가.
양측의 압박을 덜어내는 계기가 될 가능성
https://finance.yahoo.com/news/china-considers-exempting-goods-us-043426233.html
24.04.202507:08
주식 시황. 실적, 관세 등 호재 불구 시장 반응이 왜? 이제 증시는 이런 국면으로 전환. 금에서 자금 이탈? 유동성 흐름에 변화가. 머스크가 싸우고 다니는 이유. 특징주 분석
방송 요약
실적, 관세 등 호재 불구 시장 반응이 왜?
1분기 성장률 문제와 해설
이제 증시는 이런 국면으로 전환.
금에서 자금 이탈? 유동성 흐름에 변화가.
머스크가 싸우고 다니는 이유.
특징주 분석
https://youtu.be/0zPf2REAHgc
방송 요약
실적, 관세 등 호재 불구 시장 반응이 왜?
1분기 성장률 문제와 해설
이제 증시는 이런 국면으로 전환.
금에서 자금 이탈? 유동성 흐름에 변화가.
머스크가 싸우고 다니는 이유.
특징주 분석
https://youtu.be/0zPf2REAHgc


22.04.202512:02
현재까지 트럼프가 만든 기록들. 시황맨
① 취임 후 S&P500 -14%. 역대 대통령 중 취임 후 100일 최저 수익률. 심지어 아직 취임 100일 되려면 한달 남아 있음.
② 1974년 이 후. 취임 후 63일 지점에서 달러인덱스 하락폭 1위.
③ 연초 후 74거래일 S&P500 낙폭 역대 3위
④ 올해 S&P500 지수 -1% 이상 하락한 날이 총 19일. 작년 전체와 동률
① 취임 후 S&P500 -14%. 역대 대통령 중 취임 후 100일 최저 수익률. 심지어 아직 취임 100일 되려면 한달 남아 있음.
② 1974년 이 후. 취임 후 63일 지점에서 달러인덱스 하락폭 1위.
③ 연초 후 74거래일 S&P500 낙폭 역대 3위
④ 올해 S&P500 지수 -1% 이상 하락한 날이 총 19일. 작년 전체와 동률
12.04.202523:11
증시 전망대. 관세 유예로 흐름 바뀐 증시, 이번주 전망은? 반도체, 스마트폰까지 제외. 왜? 트럼프 마음 바꾼 비하인드 스토리. 최근 수급 특징, 본격적인 대선 국면, 증시 영향
방송 요약
관세 유예로 흐름 바뀐 증시, 이번주 전망은?
반도체, 스마트폰까지 제외. 왜?
트럼프 마음 바꾼 비하인드 스토리.
최근 수급 특징과 주요 특징주
본격적인 대선 국면, 증시 영향
https://youtu.be/8wer1GmtUw4
방송 요약
관세 유예로 흐름 바뀐 증시, 이번주 전망은?
반도체, 스마트폰까지 제외. 왜?
트럼프 마음 바꾼 비하인드 스토리.
최근 수급 특징과 주요 특징주
본격적인 대선 국면, 증시 영향
https://youtu.be/8wer1GmtUw4


10.04.202523:27
2000년 이 후 코스피 상승률 Top10. 시황맨
2000년 이 후 코스피 하루 상승률 Top 10 순위를 살펴 봤습니다. 어제 6.6% 올랐는데 10위였네요.
이전 기록을 보니 다음날 상승 7회, 하락 2회.
그리고 그 다음주를 보니 8회 오르고 하락은 2000년 3월 한 번뿐이었습니다.
보통 이렇게 지수가 급등하는 것은 급락 후 나오는 급반등 경우가 대부분이라 조금 더 흐름이 이어졌던 것 같습니다.
이번의 경우 재료나 수급 보다 트럼프의 SNS나 발언 하나 하나에 민감한 시기라. 통계대로 될지는 두고 봐야죠.
2000년 이 후 코스피 하루 상승률 Top 10 순위를 살펴 봤습니다. 어제 6.6% 올랐는데 10위였네요.
이전 기록을 보니 다음날 상승 7회, 하락 2회.
그리고 그 다음주를 보니 8회 오르고 하락은 2000년 3월 한 번뿐이었습니다.
보통 이렇게 지수가 급등하는 것은 급락 후 나오는 급반등 경우가 대부분이라 조금 더 흐름이 이어졌던 것 같습니다.
이번의 경우 재료나 수급 보다 트럼프의 SNS나 발언 하나 하나에 민감한 시기라. 통계대로 될지는 두고 봐야죠.
10.04.202507:07
주식 시황. 증시 급반등 이끈 다 아는 재료와 숨은 호재 두 가지. 트럼프의 변심 이유. 아직 하나 남은 잔불. 또 터질 가능성은? 이 기회에 보는 인간 지표 하나. 외국인 컴백?
방송 요약
증시 급반등 이끈 다 아는 재료와 숨은 호재 두 가지.
트럼프의 변심 이유.
아직 하나 남은 잔불. 또 터질 가능성은?
이 기회에 보는 인간 지표 하나.
외국인 컴백한 것일까?
https://youtu.be/oLYEAGcxS-w
방송 요약
증시 급반등 이끈 다 아는 재료와 숨은 호재 두 가지.
트럼프의 변심 이유.
아직 하나 남은 잔불. 또 터질 가능성은?
이 기회에 보는 인간 지표 하나.
외국인 컴백한 것일까?
https://youtu.be/oLYEAGcxS-w
24.04.202521:31
모닝 브리핑. 미 증시 또 상승. 끌어 올린 연준, 반도체, 관세 이슈 총정리. 급해진 트럼프. 그럼 증시는? 한미 관세 협의 결과와 영향 분석. 이제 우리 증시는 이런 장세 준비
방송 요약
미 증시 또 상승. 끌어 올린 재료들
연준, 반도체, 관세 이슈 총정리.
급해진 트럼프. 그럼 증시는?
한미 관세 협의 결과와 영향 분석.
이제 우리 증시는 이런 장세 준비
https://youtu.be/hBRJZzc8Jpc
방송 요약
미 증시 또 상승. 끌어 올린 재료들
연준, 반도체, 관세 이슈 총정리.
급해진 트럼프. 그럼 증시는?
한미 관세 협의 결과와 영향 분석.
이제 우리 증시는 이런 장세 준비
https://youtu.be/hBRJZzc8Jpc
24.04.202506:16
마감 시황. 트럼프, 실적, 관세 협상. 성장 둔화
트럼프의 완화된 관세 발언. GDP 역성장 겹치며 혼조
연이은 트럼프의 유화적 언급은 지수 방어 요인
중국 관세 2~3주 이내 결정될 것이라고 언급
또 거의 매일 협상을 하고 있다고 발언
자동차 부품에 대한 일부 면제 보도도 나옴
다만 전일 일부 반영된 재료라 영향은 제한적
또 오늘 한미 관세 협상 앞둔 점도 신중 요인
어쨌든 트럼프의 발언 수위 변화는 주목해야
1분기 GDP 전분기 대비 -0.2% 역성장은 부담 요인
국내 경기 둔화와 관세라는 외부 변수
당분간 성장 회복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점
경기 부양 가능성도 높아졌다는 점에 이 영향도 제한
SK하이닉스는 예상 상회. 현대차 예상 부합 실적 공개
관세 이슈 전 실적은 일단 대체로 선방하는 중
이 후 협상 결과에 따라 주가 반응은 달라질 듯
원전 등 정책 관련주 대선 공약에 반응하며 상승
조선주는 실적 호조에 오후장 강세
중국 소비 기대에 화장품 관련주 상승
외국인 전기전자, 제약, 화학 등 순매도
음식료, 금융, 전기가스, 통신 등 방어적 대응
기관은 화학, 기계, 금융, 건설 매수. 전기전자, 제약 매도
코스닥은 양주체 모두 순매도
외국인은 제약, 기관은 기계 업종 매수 우위
금융 시장 혼란 이 후 관세 정책은 일부 완화
대중국 메세지 완화, 주요 품목 관세 완화 혹은 면제
파월 압박도 참모들 설득에 톤다운했다는 보도
다만 아직 구체적인 협상이 나온 것은 없는 상태
월가의 불안함이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라는 점
머스크의 테슬라 경영 참여 이슈도 주목해 볼만
중국의 자석 수출 금지로 휴머노이드 로봇 생산 문제
로봇은 많은 모터가 들어가 작동을 하게되는 기계
모터에는 반드시 자석이 들어 가야함
기업인들이 느끼는 체감적 상황이 악화되는 상황
이 과정에서 경기 우려. 협상 기대 반복되며 변동성 예상
아직 우리 증시에 주도적인 매수 주체는 없는 상태
다양한 상승 요인에도 외국인은 지속 매도 중
이 점 해소되지 않으면 기술적 반등 후 눈치 보가 반복
또 양시장 이제는 과매도권 보다 과매수권에 더 가까워짐
이 후 종목별 차별화 가능성이 높은 구간 진입할 듯
대부분 재료 노출된 상태라 추세적 하락 가능성은 낮아보임
차별적 종목 장세 감안해 기관 매수로 돌린 종목군
이미 누적된 상태에서 주가 주춤한 종목들 관심 지속
트럼프의 완화된 관세 발언. GDP 역성장 겹치며 혼조
연이은 트럼프의 유화적 언급은 지수 방어 요인
중국 관세 2~3주 이내 결정될 것이라고 언급
또 거의 매일 협상을 하고 있다고 발언
자동차 부품에 대한 일부 면제 보도도 나옴
다만 전일 일부 반영된 재료라 영향은 제한적
또 오늘 한미 관세 협상 앞둔 점도 신중 요인
어쨌든 트럼프의 발언 수위 변화는 주목해야
1분기 GDP 전분기 대비 -0.2% 역성장은 부담 요인
국내 경기 둔화와 관세라는 외부 변수
당분간 성장 회복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점
경기 부양 가능성도 높아졌다는 점에 이 영향도 제한
SK하이닉스는 예상 상회. 현대차 예상 부합 실적 공개
관세 이슈 전 실적은 일단 대체로 선방하는 중
이 후 협상 결과에 따라 주가 반응은 달라질 듯
원전 등 정책 관련주 대선 공약에 반응하며 상승
조선주는 실적 호조에 오후장 강세
중국 소비 기대에 화장품 관련주 상승
외국인 전기전자, 제약, 화학 등 순매도
음식료, 금융, 전기가스, 통신 등 방어적 대응
기관은 화학, 기계, 금융, 건설 매수. 전기전자, 제약 매도
코스닥은 양주체 모두 순매도
외국인은 제약, 기관은 기계 업종 매수 우위
금융 시장 혼란 이 후 관세 정책은 일부 완화
대중국 메세지 완화, 주요 품목 관세 완화 혹은 면제
파월 압박도 참모들 설득에 톤다운했다는 보도
다만 아직 구체적인 협상이 나온 것은 없는 상태
월가의 불안함이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라는 점
머스크의 테슬라 경영 참여 이슈도 주목해 볼만
중국의 자석 수출 금지로 휴머노이드 로봇 생산 문제
로봇은 많은 모터가 들어가 작동을 하게되는 기계
모터에는 반드시 자석이 들어 가야함
기업인들이 느끼는 체감적 상황이 악화되는 상황
이 과정에서 경기 우려. 협상 기대 반복되며 변동성 예상
아직 우리 증시에 주도적인 매수 주체는 없는 상태
다양한 상승 요인에도 외국인은 지속 매도 중
이 점 해소되지 않으면 기술적 반등 후 눈치 보가 반복
또 양시장 이제는 과매도권 보다 과매수권에 더 가까워짐
이 후 종목별 차별화 가능성이 높은 구간 진입할 듯
대부분 재료 노출된 상태라 추세적 하락 가능성은 낮아보임
차별적 종목 장세 감안해 기관 매수로 돌린 종목군
이미 누적된 상태에서 주가 주춤한 종목들 관심 지속
22.04.202507:08
주식 시황. 한국 증시 현재 상황 정리. 외국인 알고 보니 이 것만 열심히 매수 중. 증시 수급 80% 잠식한 두 종목. 트럼프 또 긴장했다? 근거와 전망. 메인 이벤트 이제 돌입
방송 요약
한국 증시 현재 상황 정리.
외국인 알고 보니 이 것만 열심히 매수 중.
증시 수급 80% 잠식한 두 종목.
트럼프 또 긴장했다? 근거와 전망.
메인 이벤트 이제 돌입
https://youtu.be/L80J9mtqZEc
방송 요약
한국 증시 현재 상황 정리.
외국인 알고 보니 이 것만 열심히 매수 중.
증시 수급 80% 잠식한 두 종목.
트럼프 또 긴장했다? 근거와 전망.
메인 이벤트 이제 돌입
https://youtu.be/L80J9mtqZEc
11.04.202507:03
주식 시황. 미 증시 하락, 우리 증시는 달랐던 이유. 채권 시장 변동성이 왜 문제가 되나. 트럼프의 급변심 원인 알고 보니. 이제 이 날 딱 하루가 중요. 오늘의 특징주 분석
방송 요약
미 증시 하락, 우리 증시는 달랐던 이유.
채권 시장 변동성이 왜 문제가 되나.
트럼프의 급변심 원인 알고 보니.
이제 이 날 딱 하루가 중요.
오늘의 특징주 분석
https://youtu.be/qeq1GSVNqKs
방송 요약
미 증시 하락, 우리 증시는 달랐던 이유.
채권 시장 변동성이 왜 문제가 되나.
트럼프의 급변심 원인 알고 보니.
이제 이 날 딱 하루가 중요.
오늘의 특징주 분석
https://youtu.be/qeq1GSVNqKs
10.04.202521:32
모닝 브리핑. 미 증시 하락 유발한 뉴스 세 가지. 특히 이 뉴스 뜨자 급락. 월가의 관세 유예 평가와 증시 전망. 우리 증시 저점 찍었을까? 통계 보니. 3주간 기관 매수한 종목
방송 요약
미 증시 하락 유발한 뉴스 세 가지.
특히 이 뉴스 뜨자 급락.
월가의 관세 유예 평가와 증시 전망.
우리 증시 저점 찍었을까? 통계 보니.
3주간 기관이 매수한 종목들
https://youtu.be/OMVgfnN772Q
방송 요약
미 증시 하락 유발한 뉴스 세 가지.
특히 이 뉴스 뜨자 급락.
월가의 관세 유예 평가와 증시 전망.
우리 증시 저점 찍었을까? 통계 보니.
3주간 기관이 매수한 종목들
https://youtu.be/OMVgfnN772Q
10.04.202506:12
마감 시황. 트럼프는 원래 이랬다.
관세 유예 소식에 글로벌 증시 동반 급등
중국 제외한 국가들 관세 10%만 부과
협상 시간 벌었다는 점에 안도감
금융 시장 불안에 따른 대책으로 보임
주식 시장에 이어 채권까지 불안정해지면서 부담
또 중국이 미국 동맹국들과 관세 대오 형성 시도한 점
우방국과 중국이 이해관계가 맞는 상황이 되고 있었음
주말에 나온 빌 애크먼의 SNS 글 현실화
또 협상 메인 주체가 온건파로 바뀌었다는 점도
러트닉, 나바로 강경파에서 베센트, 그리어 온건파로
베센트는 관세 부과 후 협상 통해 내린다고 주장
이 후 결국 관세 낮아질 것임을 암시하는 대목
다만 여전히 마무리 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운 점도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와 경고가 남아 있음
미중 협상 또는 대화 전까지 맞보복 반복 가능성
이 경우 산발적인 노이즈로 작용 예상
2018년도 무역전쟁은 미중간 문제였음
당시 그 문제만으로 글로벌 증시에 부담
외국인 공매도 재개 이 후 처음 양시장 순매수
다만 매수 확대가 아닌 매도의 대폭 감소
공매도가 오늘 주춤했던 것으로 보임
선물 역시 대규모로 매수 전환
기관도 양시장 동반 순매수
트럼프는 1기 때도 이런 형태를 반복했었음
완전 파괴적 단계로 갔다가 직전에 방향 틀어 돌리는
이번 역시 결과적으로 같은 양상이 반복된 것
이 후에도 비슷한 벼량끝 전술은 이어질 전망
이 후 증시는 두 가지 시나리오로 전개될 전망
부정적인 경우 남아 있는 미중 보복 반복
이 경우 미국발 인플레이션 우려 일부 부각 가능성도
완전한 해소라기 보다 큰 불이 꺼진 정도로 보임
반면 협상의 단계로 넘어가는 점은 긍정적
협상을 통해 관세 낮춰지는 첫 번째 국가 등장 예상
또 우리는 대통령 선거 이 후까지 시간을 벌게 되었음
확실한 협상 주체가 등장하게 된 점 다행스러운 대목
또 하나 변수는 트럼프와 시진핑 혹은 고위급 접촉
이런 딜이 샘플로 나올 경우 관세 리스크 크게 축소
일단 공매도 원인 중 일부 크게 완화된 상태
그 사이 나온 삼성전자 실적 같은 긍정적 요인 작용 시기
낙폭이 컸던 실적주들 계속 주목해 봐야 하는 시기
관세 유예 소식에 글로벌 증시 동반 급등
중국 제외한 국가들 관세 10%만 부과
협상 시간 벌었다는 점에 안도감
금융 시장 불안에 따른 대책으로 보임
주식 시장에 이어 채권까지 불안정해지면서 부담
또 중국이 미국 동맹국들과 관세 대오 형성 시도한 점
우방국과 중국이 이해관계가 맞는 상황이 되고 있었음
주말에 나온 빌 애크먼의 SNS 글 현실화
또 협상 메인 주체가 온건파로 바뀌었다는 점도
러트닉, 나바로 강경파에서 베센트, 그리어 온건파로
베센트는 관세 부과 후 협상 통해 내린다고 주장
이 후 결국 관세 낮아질 것임을 암시하는 대목
다만 여전히 마무리 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운 점도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와 경고가 남아 있음
미중 협상 또는 대화 전까지 맞보복 반복 가능성
이 경우 산발적인 노이즈로 작용 예상
2018년도 무역전쟁은 미중간 문제였음
당시 그 문제만으로 글로벌 증시에 부담
외국인 공매도 재개 이 후 처음 양시장 순매수
다만 매수 확대가 아닌 매도의 대폭 감소
공매도가 오늘 주춤했던 것으로 보임
선물 역시 대규모로 매수 전환
기관도 양시장 동반 순매수
트럼프는 1기 때도 이런 형태를 반복했었음
완전 파괴적 단계로 갔다가 직전에 방향 틀어 돌리는
이번 역시 결과적으로 같은 양상이 반복된 것
이 후에도 비슷한 벼량끝 전술은 이어질 전망
이 후 증시는 두 가지 시나리오로 전개될 전망
부정적인 경우 남아 있는 미중 보복 반복
이 경우 미국발 인플레이션 우려 일부 부각 가능성도
완전한 해소라기 보다 큰 불이 꺼진 정도로 보임
반면 협상의 단계로 넘어가는 점은 긍정적
협상을 통해 관세 낮춰지는 첫 번째 국가 등장 예상
또 우리는 대통령 선거 이 후까지 시간을 벌게 되었음
확실한 협상 주체가 등장하게 된 점 다행스러운 대목
또 하나 변수는 트럼프와 시진핑 혹은 고위급 접촉
이런 딜이 샘플로 나올 경우 관세 리스크 크게 축소
일단 공매도 원인 중 일부 크게 완화된 상태
그 사이 나온 삼성전자 실적 같은 긍정적 요인 작용 시기
낙폭이 컸던 실적주들 계속 주목해 봐야 하는 시기
Shown 1 - 24 of 778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