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BK Tech Insight - 바바리안 리서치 avatar
BK Tech Insight - 바바리안 리서치
BK Tech Insight - 바바리안 리서치 avatar
BK Tech Insight - 바바리안 리서치
02.05.202511:50
[ GTA6, 내년 출시로 연기되었지만 공식 출시일은 정해짐 ]

- Take-Two Interactive 는 GTA 6가 올해 가을에서 내년으로 연기되었다고 발표

- 이에 Take-Two Interactive 주가는 장전 8% 넘게 하락

- 하지만 다행힌 점은 내년 5월 26일로 출시일이 정해짐에 따라 낙폭은 제한되었음
30.04.202520:19
[ Microsoft (MSFT) FY25 Q3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 발표 후 5% 넘게 상승 ]

📈 실적 요약 (YoY)
- 매출: $701억 (+13%, 환율영향 제외 시 +15%, 컨센서스를 16.2억 달러 상회))
- 영업이익: $320억 (+16%, 환율영향 제외 시 +19%)
- 순이익: $258억 (+18%, 환율영향 제외 시 +19%)
- 희석 EPS: $3.46 (+18%, 환율영향 제외 시 +19%, 컨센서스를 0.24달러 상회)

☁️ 클라우드 실적
- Microsoft Cloud 매출: $424억 (+20%, 환율영향 제외 시 +22%)
- 클라우드 강세 지속, Azure와 AI 중심 성장

🔹 부문별 매출 상세 (YoY)

1️⃣ Productivity and Business Processes ($299억, +10%)
- Microsoft 365 Commercial: +11% (클라우드 +12%)
- Microsoft 365 Consumer: +10% (클라우드 +10%)
- LinkedIn: +7%
- Dynamics 제품 및 클라우드 서비스: +11%
- Dynamics 365: +16%

2️⃣ Intelligent Cloud ($268억, +21%)
- 서버 제품 및 클라우드 서비스: +22%
- Azure 및 기타 클라우드 서비스: +33%

3️⃣ More Personal Computing ($134억, +6%)
- Windows OEM 및 장치: +3%
- Xbox 콘텐츠 및 서비스: +8%
- 검색 및 뉴스 광고 매출 (트래픽 획득 비용 제외): +21%

💰 주주환원
- 배당 및 자사주 매입으로 총 $97억 주주환원 실시

📊 재무 상태표 주요 지표
- 총 자산: $5626억 (전년말 $5122억 대비 증가)
- 현금 및 단기투자자산: $796억

📌 기타 하이라이트
- 클라우드 및 AI 서비스 전반에 걸쳐 강력한 성장 지속
- Azure 매출 33% 증가, 지속적 성장 동력 유지
- AI 및 클라우드 인프라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 중
- 환율 영향이 없었다면 모든 주요 지표 더 높은 성장률 기록

🔍 향후 전망
- 상세한 포워드 가이던스는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제공 예정

📢 CEO 코멘트 (Satya Nadella)
- “클라우드와 AI는 모든 비즈니스의 필수 요소이며, 고객의 생산성 향상, 비용 절감, 성장을 가속화하는 핵심 요소로 혁신을 이어갈 것.”

📌 CFO 코멘트 (Amy Hood)
- “차별화된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 수요 덕분에 강력한 실적을 달성했다. Microsoft Cloud는 전년 대비 20% 성장했다.”

📑 제품 및 서비스 주요 출시/강화
- 지속적 R&D 투자를 통해 클라우드, AI 중심 제품과 서비스 강화 지속 중

소결론
- 컨콜에서 가이던스를 얼마나 주는지 봐야하지만
- 최근 OpenAI 와의 관계가 멀어지고 있고 매크로 우려 속에 클라우드 컨센서스가 지속 하향되었음에도 긍정적인 수치가 나온 점이 인상적
- 마이크로소프트의 호실적 발표로 비메모리 기업들도 장후 시장에서 일제히 반등중
04.04.202500:59
[ Nvidia GB300 레퍼런스 디자인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딜레이 가능성 높음 ]

GB300 연말이나 내년 출시로 딜레이 가능성 높음

- Nvidia, 고급 AI 서버 GB300을 GTC 2025에서 공식 발표

- 초기 목표는 2025년 3분기 출시

- 현재 시장은 설계 결정 미확정 및 공급망 문제로 출시 지연 가능성 전망 (2025년 말~2026년 초 예상)

- 전원 관련 솔루션의 디자인 확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추정됨

- JPM, 대만 언론들이 모두 같은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을 고려할 때 지연 가능성 높아 예의 주시 필요
10.03.202504:58
안녕하세요 바바리안 리서치 BK 입니다

최근 IT 하드웨어 기업들의 주가가 안 좋을 뿐만 아니라 변동성이 큰 상황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빅테크들이 CAPEX 효율화를 본격적으로 추구함에 따라 ASIC 설계도 복잡하게 여러 기업들에게 발주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최근 ASIC 발주 및 상황이 어떤지 구체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전체적인 상황도 알기 좋은 CoWoS 캐파도 어떤 상황인지 정리해보았습니다

그리고 IT 하드웨어 에서 가장 중요한 행사 중 하나인 Nvidia 의 GTC 2025 에 대한

프리뷰도 작성했습니다

Nvidia 의 Blackwell 이 왜 구조적으로 이슈가 많이 생길 수 밖에 없었는지

차세대 Rubin 은 그래서 무엇을 개선해서 준비했는지 정리했습니다

Nvidia 가 Rubin 은 Blackwell 과 다르게 많은 준비를 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이번 GTC 행사는 다시 한 번 크게 중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의 글을 참고해주세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310004255945ks
12.02.202521:29
[ Dutch Bros, 어닝 서프라이즈로 장후 시장에서 26% 넘게 상승]

4분기 주요 실적
- 매출: $3.428억 (+34.9% YoY) (컨센서스 : 3.19억 달러를 크게 상회)
- 동일 매장 매출 성장률: 시스템 전체 +6.9%, 회사 운영 매장 +9.5%
- 동일 매장 거래 건수: 시스템 전체 +2.3%, 회사 운영 매장 +5.2%
- 순이익: $640만 (전년 동기 순손실 $380만에서 개선)

2024년 연간 실적
- 매출: $12.6억 (+33.8% YoY)
- 동일 매장 매출 성장률: 시스템 전체 +4.5%, 회사 운영 매장 +6.8%
- 동일 매장 거래 건수: 시스템 전체 +0.4%, 회사 운영 매장 +2.6%
- 순손실: $1,000만 (전년 순손실 $3,100만에서 개선)
- 조정 EBITDA: $1.7억 (+45.1% YoY)

📌 2025년 전망
- 매출 예상: $15.0억~$15.5억 (컨세서스 : 15.3억 달러)
- 동일 매장 매출 성장: 중간 한 자릿수 성장 예상
- 신규 매장 오픈: 150~170개 매장 추가
- 조정 EBITDA: $2.25억$2.35억

💬 CEO 크리스틴 바론 코멘트:
혁신적인 전략과 로열티 프로그램 덕분에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도 긍정적인 성장을 기대합니다!” 🚀

소결론
- Dutch Bros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하는 실적 발표로 장후 시장에서 급등
- 내년에도 신규 매장 오픈이 지속되며 동일 매장 매출 성장 또한 올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는 측면이 긍정적
- 최근 조사 결과에 따르면 Dutch Bros 는 아침 점심 저녁 시간대 모두 균형 잡힌 매출이 나오는 것이 특징적
- 최근 주가 상승을 많이 했음에도 트렌드가 꾸준히 좋아 계속 주목할 소비재 기업
10.02.202521:18
[ Astera Labs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과 가이던스 발표에도 장후 시장에서 8% 넘게 급락 ]

2024년 4분기 실적
- 매출: $1억 4,110만 (전 분기 대비 +25%, 전년 동기 대비 +179%)
(컨센서스 : 1억 2,791만 달러)
- GAAP(일반 회계 기준) 영업 이익: $10만 (영업 이익률 0.1%)
- Non GAAP(조정 후) 영업 이익: $4,840만 (영업 이익률 34.3%)
- Non GAAP 희석 주당순이익(EPS): $0.37 (0.26 달러)

2024 회계연도 연간 실적
- 연간 매출: $3억 9,630만 (전년 대비 +242%)
- Non GAAP 영업 이익: $1억 1,960만 (영업 이익률 30.2%)
- Non GAAP 순이익: $1억 4,330만
- Non GAAP 희석 주당순이익: $0.84

주요 비즈니스 하이라이트
1. AI 인프라용 Scorpio Smart Fabric Switch 포트폴리오 출시
- PCIe Gen 6 연결을 위한 P-Series, AI 가속기 클러스터 확장을 위한 X-Series 개발
- 현재 사전 생산 단계에서 출하 중
2. Ultra Accelerator Link Consortium (UALink) 이사회 합류
- AI 가속기 간 고속 연결을 위한 기술 개발 주도
3. 업계 최초 PCIe 광 연결 솔루션 시연
- GPU 클러스터 확장용 PCIe/CXL 광 연결 솔루션 제공
4. Aries PCIe/CXL Smart DSP Retimer 포트폴리오 확장
- Aries 6 Retimer 출시 (업계 최저 전력 PCIe 6.x/CXL 3.x 리타이머)
5. AI 인프라용 Aries PCIe/CXL 스마트 케이블 모듈 출하
- 7m 길이의 유연한 구리 케이블을 통한 GPU 클러스터 확장 지원
6. PCIe 6.x 스위치 및 SSD 간 상호 운용성 첫 공개 시연
- Scorpio P-Series 스위치와 Micron PCIe 6.x SSD 간 26GB/s 이상의 읽기 속도 달성

2025 회계연도 1분기 전망
- 예상 매출: $1억 5,100만 ~ $1억 5,500만 (컨센서스 : 1억 3,392만 달러)
- GAAP 영업 비용: $1억 1,300만 ~ $1억 1,400만
- Non GAAP 주당순이익(EPS): $0.28 ~ $0.29 (0.25 달러)

결론

- 기존에 기대되었던 제품 출시와 기술 개발이 예상대로 진행되었고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하였지만 장후 시장에서 급락
- 실적 발표 직후에는 주가가 급등했지만 상승폭을 금방 반납
- 자세한 이유 확인 컨퍼런스콜에서 확인 필요
01.05.202520:37
[ 유니버설 디스플레이 (OLED) 2025년 1분기 실적 서프라이즈와 블루 인광 기대 속 12% 넘게 상승 ]

📌 1분기 실적 요약

- GAAP EPS: $1.35 (예상치 $0.27 상회)
- 매출: $166.3M (전년 동기 대비 +0.6%, 예상치 대비 $10.22M 상회)

📌 주요 재무 세부 사항

- 재료 판매 매출: 8,615만 달러 (전년 동기 9,328만 달러)
- 감소 원인: 방출 재료(emitter materials)의 판매량 감소, 일부 고객 구성 변화에 따라 부분적으로 상쇄됨.
- 로열티 및 라이선스 수익: 7,357만 달러 (전년 동기 6,827만 달러)
- 증가 원인: 고객 구성 변화, 부분적으로는 재료 판매량 감소로 상쇄됨.
- 연구 계약 서비스 매출: 655만 달러 (전년 동기 371만 달러)
- 총 마진율: 77% (전년 동기 78%)

- 영업 이익: 6,967만 달러 (전년 동기 6,287만 달러)
- 순이익: 6,444만 달러 (전년 동기 5,685만 달러)

📌 2025년 연간 가이던스

- 매크로 경제 환경 불확실성 증가에도 이전 매출 가이던스 유지
- 예상 연간 매출: 6억 4,000만 달러 ~ 7억 달러 (컨센서스: 6억 6,669만 달러)

📌 배당금 정보

2분기 배당금: 주당 0.45달러 지급 (6월 30일 지급 예정)

📌 회사 코멘트

- OLED 시장의 장기 성장 전망에 지속적인 자신감을 표명
-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에도 기술 리더십 및 혁신 전략을 강화하고 있으며, 탄력적인 공급망과 재무적 안정성을 기반으로 변화에 빠르게 대응 중

📌 블루 인광
- 전일 국내 기사를 통해 LGD와 UDC 가 블루 인광 상용화에 성공하였다고 코멘트
- LGD 는 블루 인광이 적용된 OLED TV 를 오는 11일 미국 디스플레이 학회에서 공개할 예정
- 상용화 성공시 9~12개월 안에 실제 매출 발생할 것이라고 UDC는 코멘트
- 현재 고가 라인업인 그린 인광보다 프리미엄 가격이 채택될 예정이며 물량도 비슷한 수준일 것이라고 과거 컨콜에서 코멘트
- UDC의 최근 주가 급락은 블루 인광과 관세 우려였던 만큼 어닝콜이나 11일 디스플레이 학회에서 실제 상용화 여부 코멘트하는지 주목할 필요

📌소결론
- 블루인광이 실제 상용화될 경우 동사의 리레이팅 기대해볼 수 있음
- 가장 가격이 비싸면서 물량은 다른 색깔처럼 나갈 수 있기 때문
- 밸류에이션 또한 PER 30 배 이내로 저렴해진 상태인 점도 긍정적
- 내년 OLED 맥북 출시로 노트북 시장에서의 OLED 출하도 급격히 늘어나고 8.6 세대 OLED 공장들도 가동될 예정인 점도 동사에게 긍정적
- 구조적 OLED 수요 / 공급 증가 + 블루 인광 상용화 + 저렴해진 밸류에이션 속에서 Universal Display 재주목 필요

참고 기사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38/0002195742
30.04.202512:16
[ Western Digital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가이던스 발표로 장전 10% 넘게 상승 ]

📌 Western Digital (WDC) FY3Q25 실적 발표

✅ 주요 실적 (QoQ)
- 매출: $2.29B (-5% QoQ)
- 클라우드: $2.01B (-4%)
- 클라이언트: $137M (-2%)
- 소비자: $150M (-13%)
- GAAP EPS: $2.11 (+66%)
- Non-GAAP EPS: $1.36 (+15%)
- Gross Margin (Non-GAAP): 40.1% (+1.7%p)

✅ 주요 실적 (YoY)
- 매출: +31%
- 클라우드 매출: +38% (bit 출하량 +32%)
- 소비자 매출: -4% (가격 하락 영향)

✅ 4Q 가이던스
- 매출: $2.45B ± $150M (가이던스 2.35B 상회)
- Non-GAAP EPS: $1.45 ± $0.20
- Gross Margin (Non-GAAP): 40.0~41.0%

✅ 배당 프로그램 신설
- 분기당 현금배당: 주당 $0.10 (배당일: 6월 18일)

✅ 재무현황
- 영업활동 현금흐름: $508M
- 현금보유액: $3.48B

✅ 주요 코멘트
- 데이터 수요 증가로 HDD 제품군 강세 지속 예상
- 클라우드 제품군의 견조한 가격 상승(+5%) 및 제품 포트폴리오 강점 강조

✅ 기타 특이사항
- 플래시 사업부 분리(Sandisk) 완료 (2025년 2월 21일)

✅ WDC 코멘트
"Western Digital은 회계연도 3분기에 가이던스 범위의 높은 수준의 매출과 40% 이상의 총 마진을 달성하면서 좋은 성과를"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변화하는 관세 역학으로 특징지어지는 세계에서도 한 가지 변하지 않는 것은 데이터의 기하급수적인 증가"
"데이터를 대규모로 저장하는 데 있어 HDD의 비용 효율성과 신뢰성에 필적할 수 있는 기술은 없음"

짧은 결론
- 데이터 저장 수요가 매크로 이슈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음
- 데이터 센터 발 데이터 저장 수요가 호조를 지속하며 컨센서스를 5% 가량 상회하는 가이던스 발표
26.03.202508:45
[ Micron, 가격 인상 공지 250325 ]

마이크론 가격 인상 공지
- AI 관련 기술 및 수요 증가에 따라 제품 수요 상승 중
- 긴축된 시장 상황 대응 위해 Micron 제품 가격 인상 예정
- 구체적 인상률은 별도 메모 통해 채널 파트너들에게 안내됨

대응 권장 사항
- 고객 및 파트너들에 장기적 수요 예측 및 주문 계획 권장
- 주문 백로그 수요를 포함한 장기적 전망 공유 요청

Micron HBM
- 2025년 HBM 생산량 이미 '완전 매진'
- 2026년 수요 급증 예상, 고객사 계약 논의 중

시장 회복 및 가격 인상
- 메모리 및 스토리지 시장, 2025-2026년 본격적 회복세 진입
- Micron, 공급 긴축 및 AI 수요 증가로 '가격 인상 추진'
- 예상 인상률: 최대 11% (정확한 수치는 미공개)
- 주요 원인: 1월 싱가포르 공장 정전 사태로 인한 공급 부족

다른 기업 가격 인상 현황
- 샌디스크: 4월 1일부터 '10% 이상' 인상 예정
- 중국 YMTC: 4월 내 '10% 이상' 인상 가능성
- 삼성·SK하이닉스: 다음 달 NAND 웨이퍼 가격 인상 준비 중

🔸 DRAM/NAND 가격 전망 (TrendForce)
DRAM
- 기존 DRAM 가격: 2Q25 전분기 대비 0~5% 하락 예상
- 평균 DRAM 가격 (HBM 포함): '3~8% 상승' 전망 (HBM3e 12hi 출하량 증가 영향)

NAND
- NAND 웨이퍼 가격: '10~15% 상승' 전망
- 클라이언트 SSD 가격: '3~8% 상승' 전망
- 2Q25부터 NAND 가격 안정화 기대

주요 원인 및 이슈
- AI 수요 증가가 메모리 가격 상승 주도
- 미국의 관세 인상 및 재고 감소 영향, 공급 긴축 심화 중
[ Datadog, 약한 가이던스 전망에 장전 7% 넘게 하락 ]

> 전반적인 클라우드 산업 경기 조심해야할수도


- 클라우드 모니터링 기업인 Datadog 의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

- 문제는 2025년 연간 가이던스가 컨센서스를 하회하며 장전 시장에서 주가 하락

- AI 로 컴퓨팅 / 데이터 수요가 증가하면서 동사가 수혜 받는 부분이 존재

-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이던스가 약한 것은 AI 수혜 분보다 전통 클라우드 경기가 현재 컨센서스보다 약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

- Datadog 은 IT 모니터링 시장에서 가장 선도적인 기업으로 Datadog 의 가이던스 부진은 올해 클라우드 산업이 예상보다 부진할 수도 있음을 의미

- 다음 분기 비트하며 다시 가이던스를 올리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대비하여 클라우드 산업 부진에 대한 경계와 팔로우업 필요

- 컨콜에서 의미있는 내용이 나오는지 주의 필요!
12.02.202521:22
[ Applovin, 또 다시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과 가이던스를 발표하며 장후 시장에서 15% 넘게 상승 ]

📊 2024년 4분기 실적
- 총 매출 : 13.728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 (컨센서스 : 1.26억 달러를 크게 상회)
- 광고 부문 매출: 9.995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
- 앱 부문 매출 3.73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1% 감소)
- 순이익 5.992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248% 증가)

💡 주요 비즈니스 하이라이트
- 자사주 매입: 4분기 동안 160만 주, 연간 총 2,570만 주를 $2.1억 달러에 매입

📈 2025년 1분기 재무 전망
- 총 매출: 13.55~13.85억 달러 (컨센서스 : 13.2억 달러)
- 광고 부문 매출: 10.30~10.50억 달러
- 앱 부문 매출: 3.25억~3.35억 달러
- 조정 EBITDA: 8.55억~8.85억 달러

호실적 원인 추정
- Applovin이 공식적으로 아직 이번 호실적에 대해서 언급한 것은 없지만 최근 조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은 이유로 추정됨
- AppLovin 2025년 애드테크 공급 시장 점유율 +3.67% 상승
- MAX 플랫폼 이용 고객들의 CPM(1,000회 노출당 비용) 증가


소결론
- 애드테크 대장주인 Applovin 은 또다시 호실적을 발표하며 장후 시장에서 급등
- 실적, 가이던스 모두 높아진 컨센서스 조차 상회
- AI 를 통한 애드테크 수혜 + 애드 테크 내에서도 계속 확장되는 동사의 사업성 계속해서 주목 필요
10.02.202508:52
-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초대형 AI 인프라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를 발표했다. 정부 임기 초반 정책 드라이브의 초점이 AI 인프라 전력 사업에 있음을 시사한다

- 소형모듈원전인 SMR 기업으로 눈을 돌리는 게 조금 더 현실적입니다. SMR은 건설 비용이 대형 원전의 5분의 1에 불과하고 건설 시간이 짧아 원자력발전소 신규 확보보다 훨씬 더 빨리 구동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아마존웹서비스(AWS)는 지난해 도미니언에너지 등 3곳과 소형 원자로 개발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고, 구글도 원전 스타트업 카이로스파워에서 향후 가동할 SMR 에너지를 자신들이 쓰겠다고 구매계약을 맺은 것

SMR 상용화 진도가 가장 빠른 것은 뉴스케일이라 함께 주목할 필요가 있다!

https://m.mk.co.kr/news/stock/11236471
Reposted from:
루팡 avatar
루팡
01.05.202512:50
백악관 경제 고문 케빈 해셋

오늘 하루가 끝나기 전에 관세 관련 뉴스가 나올 것으로 예상합니다.

우리는 중국과의 관계 개선에 진전을 이루고 있다

우리는 20개국 이상으로부터 제안을 받았습니다.
11.04.202514:01
[ HII, Goldman Sachs가 투자의견 이례적 상향(매도 → 매수) ]

- 종목: Huntington Ingalls Industries(HII)

- 투자의견: 매도(Sell) → 매수(Buy)

- 목표가: $145 → $234 (상향📈)

📌 상향 배경

- 미 해군의 함정 건조가 중기적으로 국방 예산 내에서 높은 우선순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

-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행정명령을 통해 미국 내 해양 노동력, 공급망 및 생산 역량이 강화될 전망

- 향후 조선소 지원 및 노동력 관련 추가 입법(Shipyard Accountability and Workforce Support)이 도입될 가능성 존재

- 위 정책 추진 시 HII의 마진 확대(이익률 상승) 효과 기대
17.03.202513:54
[ 디인포, 미디어텍의 구글 차세대 TPU 수주 언급 관련 코멘트 ]

- 디인포메이션이 미디어텍이 구글의 차세대 TPU 를 수주했다는 기사를 내며 브로드컴이 장초 하락

간략한 생각

- 미디어텍의 구글 차세대 TPU 수주는 이미 많이 알려진 소식

- 디인포에서 새로운 내용은 없었음

- 구글 차세대 TPU 는 학습, 추론 두 가지로 나올 가능성이 높으며 미디어텍은 추론의 I/O 부분만 담당할 가능성이 높음

- I/O 파트가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 코어 컴퓨팅 부분의 설계는 여전히 학습-브로드컴, 추론-구글 자체일듯

- 미디어텍 수주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추론 코어 설계는 빅테크가 내재화하고 있고 부가가치 낮은 부분은 대만에 외주를 주며 전반적인 ASIC 설계 효율화를 추구하고 있는 점

- ASIC 설계를 지원하는 팹리스들의 시장 파이가 학습용 ASIC으로 축소되는 모습이 관찰되고 있음

- 빅테크의 CAPEX 성장률은 둔화되지만 더 많은 컴퓨팅 자원을 확보하려는 노력은 지속되는 만큼 CAPEX 효율화 방법들은 계속해서 나올 것으로 예상됨
[ Crocs, 오랜만에 호실적 발표하며 장전 시장에서 16% 넘게 급등 ]

- 4분기 기대 이상 실적 기록 (매출 및 주당 순이익 예상치 상회)

- 1분기 및 2025년 연간 전망에서 HEYDUDE 브랜드의 매출 감소 예상

- Crocs 브랜드는 안정적인 성장세 유지 (2025년 연간 +4.5% 성장 예상).

- 외화 및 관세로 인해 마진 감소 영향이 존재하지만 견조한 이익률 유지
12.02.202521:11
[ The Trade Desk,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실적과 가이던스를 발표하며 장후 시장에서 20% 넘게 급락 ]

📊 2024년 4분기 및 연간 실적 요약
- 매출 : 7.41억달러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 (컨센서스 : 7.6억 달러)
- 순이익 1.82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88% 증가)

2025년 1분기 가이던스
- 매출 : 5.75억 달러 (컨센서스 : 5.827억 달러)
- 조정 EBITDA : 1.45억 달러

🚀 주요 비즈니스 하이라이트
- 플랫폼 총 지출: 2024년 총 $12억 달러로 기록적인 지출 달성
- 고객 유지율: 11년 연속 95% 이상의 높은 유지율 유지
- Unified ID 2.0 지원 확대:
- iHeartMedia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광고 파트너들에게 효과적인 타겟팅 및 정확한 측정 도구 제공
- FreeWheel, Index Exchange, Magnite, PubMatic 등 주요 공급 측 플랫폼과의 통합을 통해 유럽 통합 ID(EUID) 지원 강화

📈 주식 환매 프로그램 확대
- The Trade Desk는 클래스 A 보통주에 대한 주식 환매 승인 금액을 총 $10억 달러로 확대

💡 CEO 코멘트

- “2024년에 $24억 달러의 매출을 달성하며 디지털 광고의 거의 모든 부문을 능가했습니다. 2025년과 그 이후에도 데이터 기반 광고를 통해 고객들이 비즈니스 성장과 브랜드 충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독특한 위치에 있습니다.“

소결론
- 애드테크 기업들이 거의 모두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TTD 가 실적과 가이던스 모두 컨센서스를 하회하며 어닝 쇼크 발표
- 실제 컨콜에서 TTD 만 애드 테크에서 부진한 이유 확인 필요
06.02.202514:04
#연수르 #미국주식 #코치 #Tapestry

연수르는 진짜 히트레이트 높네요~!!
미국에는 진짜 잼있는 주식들이 참~ 많은 것 같습니다 ㅎㅎ

Coach 트렌드의 매출화, 아래 영상에서 확인하세요~!

https://youtu.be/s9dDyRYHSu8?si=vns6toRGoAeNI6n1
30.04.202520:37
[ Meta (META) FY25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 CAPEX 상향 ]

📈 실적 요약 (YoY)
- 매출: $423.1억 (+16%, 환율영향 제외 +19%, 컨센서스를 0.95억 달러 상회)
- 영업이익: $175.6억 (+27%)
- 순이익: $166.4억 (+35%)
- 희석 EPS: $6.43 (+37%, 컨센서스를 1.21 달러 상회)

📊 주요 운영 지표
- 일일활성 사용자(DAP): 34.3억명 (+6%)
- 광고 노출(impressions): +5%
- 평균 광고 단가: +10%

🔸 부문별 매출
- Family of Apps(광고 중심): $419억 (+16%)
- Reality Labs(메타버스 및 AR/VR): $4.12억 (-6%)

💰 비용 및 투자
- 총 비용 및 지출: $247.6억 (+9%)
- 자본지출(CapEx): $136.9억
- 데이터센터 및 AI 인프라 중심 투자 증가 중

💵 현금 흐름
- 영업현금흐름: $240.3억
-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 $103.3억

💳 자본 환원 (주주환원)
- 자사주 매입: $134억
- 배당금 지급: $13.3억

👥 직원 수
- 76,834명 (+11%)

📌 CFO 전망 코멘트
- 2025년 2분기 예상 매출: $425억~$455억
(현재 환율 기준, 환율은 매출성장률에 약 +1% 긍정적 영향 예상)
- 2025년 연간 비용 예상: $1130억~$1180억 (기존 전망보다 하향)
- 2025년 연간 자본지출: $640억~$720억 (기존 전망보다 상향 조정; AI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 때문)
- 2025년 예상 세율: 12~15%

⚠️ 리스크 요인
- EU 디지털시장법(DMA) 관련 규제 이슈로 유럽의 무광고 구독모델에 제재,
- 2025년 3분기부터 유럽지역 사용자 경험 및 매출에 상당한 부정적 영향 가능성 존재.

🔹 CEO 코멘트 (Mark Zuckerberg)
- “중요한 한 해의 시작을 강하게 열었다. 커뮤니티는 계속 성장하고 있으며, AI 안경과 Meta AI는 이제 월간 활성 사용자 약 10억 명에 도달했다.”

🌐 사업 방향 및 주요 이슈
- AI 기반 기술 투자 강화 (특히 AI 데이터센터 및 Reality Labs)
- Reality Labs 지속적 손실 확대 (영업손실: $42억 vs 전년 $38억)

소결론
- Meta 가 매크로 우려와 중국 이커머스 향 광고 매출 하락 우려에도 불구하고 깜짝 실적 서프라이즈를 발표
- 이번 호실적의 원인을 컨콜에서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
- 그에 더해 전체 비용 가이던스는 하향했지만 2025년 연간 CAPEX를 상향한 점이 긍정적
- 장후 시장에서 엔비디아 2%, ARM 3.6%, TSMC 2.7%, 브로드컴 2.7% 상승중
07.04.202515:22
[ 미국 군함 조선소 HII, 한국 HD 현대중공업과 MOU 체결 ]

📅 일자: 2025년 4월 7일

📍 장소: Sea Air Space 해양박람회, 미국 메릴랜드주 내셔널하버

🔖 핵심 내용

- 미국 최대 방산 조선기업 HII와 한국의 HD현대중공업(HHI)이 함정 및 상선 건조 협력을 위한 MOU 체결

- 양사는 방산 및 상업용 선박 건조 가속화, 생산 효율성 증대, 기술 혁신을 목표로 협력 추진

- 미-한 양국의 해양 산업기반 강화 및 글로벌 방산 경쟁력 확대 기대

🎤 양사 주요 인사 발언

HII 브라이언 블란쳇(Brian Blanchette) 부사장:

"이번 협약은 미국 국가안보 강화를 위한 조선 역량 확대에 큰 기여가 될 것"

HD현대중공업 주원호 특수선사업부 대표:

"HII와의 협력을 통해 조선 분야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고객 가치를 극대화할 것"

🌏 기대 효과

- 양국의 방위 산업 역량 강화

- HII 의 생산속도 향상 및 첨단기술 개발 촉진
17.03.202513:42
[ Intel, 신임 CEO 의 파운드리 / AI 전략 개편 계획이 로이터 발 보도되며 강세 ]

- 리푸 탄 CEO, 인텔의 제조 역량 강화 및 AI 전략 재정비 추진

- 중간관리층 축소 등 조직 구조조정 계획

- 파운드리 사업 강화 및 AI 서버용 칩 생산 확대 계획

- 탄 CEO, 고객 및 기술 서비스 개선 목표로 경쟁사(TSMC)에 적극 대응 방침

- 출처 기사 링크 : https://www.reuters.com/technology/intels-new-ceo-plots-overhaul-manufacturing-ai-operations-2025-03-17/

간략한 생각

- Intel 의 향후 전략이 신임 CEO 이후 JV 보다는 자체 역량 강화와 구조 개선에 집중할 듯

- Intel 의 가장 주력 공정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18A 공정이 예상보다 잘 나올 가능성이 높음

- 문제는 수율인데 연말까지 수율 개선에 집중해 개선될 경우 인텔의 턴어라운드 정책이 어느 정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됨

- 정부의 지원 및 18A 공정을 내세운 턴어라운드 계획이 올해 실행될 수 있는지 지속 주목 필요
12.02.202521:42
[ Cisco, AI 로 수요 호조가 이어지며 어닝 서프라이즈 발표. 장후 시장에서 6% 넘게 상승 ]

2분기 2025년 주요 실적:
- 매출: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한 $140억
- Non-GAAP 순이익: $38억으로,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
- Non-GAAP 주당순이익(EPS): $0.94로,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
- 제품 주문량: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했으며, Splunk를 제외하면 11% 증가했습니다.
- AI 인프라 주문량: 이번 분기에 $3.5억을 기록하여, 2025 회계연도 상반기 총 $7억을 달성했습니다.

3분기 2025년 가이던스:
- 매출: $139억에서 $141억 사이로 예상됩니다.
- Non-GAAP 주당순이익(EPS): $0.90에서 $0.92 사이로 예상

2025 회계연도 전체 가이던스:
- 매출: $560억에서 $565억 사이로 예상
- 이전 예상치인 $553억에서 $563억보다 상향 조정
- Non-GAAP 주당순이익(EPS): $3.68에서 $3.74 사이로 예상

추가 사항:
- 배당금 인상: 분기별 배당금을 주당 $0.41로 3% 인상
-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 추가로 $150억을 승인하여, 총 승인된 자사주 매입 규모를 약 $170억으로 확대

CEO인 척 로빈스 코멘트
- AI가 더욱 보편화됨에 따라, 우리는 고객들이 네트워크 인프라를 확장하고 데이터 용량 요구를 증가시키며, 최고 수준의 AI 보안을 채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소결론
- 전일 Vertiv 까지 아쉬운 실적을 발표하며 IT 하드웨어 기업들이 이제는 쉽게 돈을 벌 수 없다는 사례가 계속 많아지고 있음
- 이제 AI 하드웨어 파이가 줄어서보다 다수의 영역에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기 때문
-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 섹터는 기본적으로 가장 어닝 서프라이즈가 많이 나오고 있음
- AI 로 요구되는 네트워크 스펙이 계속 상향되고 있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아시아 기업들과의 경쟁이 자유로운 덕분으로 추정됨
- 800G 사이클은 이제 시작이며 1.6T 싸이클도 바로 올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네트워크 밸류체인들에 대한 팔로우업 지속 필요
10.02.202521:45
[ Fluence Energy,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실적과 가이던스 하향으로 장후 시장에서 35% 넘게 급락 ]

🔹 1분기 실적 요약 (2024년 12월 31일 종료 분기)

- 매출: 약 1억 8,680만 달러 (전년 동기 대비 49% 감소) (컨센서스 : 1억 8,673만 달러)
- GAAP 기준 총이익률: 11.4% (전년 동기 10.0%)
- 조정 총이익률: 12.5% (전년 동기 10.5%)
- 순손실: 약 5,700만 달러 (전년 동기 2,560만 달러)
- 조정 EBITDA: -4,970만 달러 (전년 동기 -1,830만 달러)
- 신규 수주: 7억 7,800만 달러
- 수주 잔고: 51억 달러 (역대 최고치)

🔹 재무 현황

- 총 현금 보유액: 6억 5,440만 달러 (2024년 9월 대비 1억 3,570만 달러 증가)
- 전환사채 발행: 2024년 12월, 4억 달러 규모 (2.25%, 2030년 만기)

🔹 2025년 연간 실적 전망 하향 조정

- 매출 전망: 31~37억 달러 (기존 36~44억 달러에서 하향 조정)
- 조정 EBITDA 전망: 7,000만
~1억 달러 (기존 1억 6,000만~2억 달러에서 하향 조정)
- 연간 반복 수익 (ARR) 전망: 1억 4,500만 달러 유지

🔍 이유:
- 호주 계약 지연
- 경쟁 심화로 인한 마진 감소

🔹 CEO 발언 (Julian Nebreda)

🗣️ “고객 계약 체결이 지연되면서 연간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해야 했지만,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배터리 저장 시장은 여전히 강력합니다.”
🗣️ “51억 달러의 수주 잔고는 우리의 시장 경쟁력을 보여줍니다.”
🗣️ “2026년부터 더 나은 재무 성과를 기대합니다.”

📌 소결론
- Fluence Energy는 2025년 1분기 실적에서 매출 감소 및 순손실 확대를 발표하며 연간 실적 전망을 하향 조정
- 테슬라의 에너지 사업부는 사업 호조를 보여주고 있지만 그 이외 업체들은 중국, 테슬라와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쉽지 않은 상황이 지속되고 있음
06.02.202507:12
닛토 방직 (Nitto Boseki) 2024년 3분기 실적 및 가이던스 요약

1. 실적 개요 (2024년 3분기, 2024년 4월~12월)
- 매출: 815억 엔 (+19.8% YoY)
- 영업이익: 118억 엔 (+107.1% YoY)
- 경상이익: 132억 엔 (+94.8% YoY)
- 순이익: 94억 엔 (+75.6% YoY)
- ROE (자기자본이익률): 57.5% (전년 대비 +1.8%)

>> 닛토 방직은 전년 대비 크게 성장했으며, 특히 전자재료(특수유리) 및 의료 사업이 실적 개선을 견인

📌 핵심 포인트

- 전자재료 부문이 AI 서버 및 반도체 기판용 특수 유리 판매 호조로 실적 급등.
- 의료 부문은 안정적인 성장세 유지.
- 복합재료 및 소재 솔루션 부문은 원가 상승과 설비 유지보수 영향으로 수익성 악화.
- 단열재 부문은 원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고성능 단열재 판매 증가로 선방.

2. 가이던스 상향 (2025년 3월 기준 연간 전망)
- 매출 목표: 1,090억 엔 (+16.9% YoY)
- 영업이익 목표: 160억 엔 (+90.8% YoY) (기존 150억 엔 → 160억 엔 상향)
- 경상이익 목표: 170억 엔 (+74.3% YoY) (기존 160억 엔 → 170억 엔 상향)
- 순이익 목표: 115억 엔 (+57.6% YoY) (기존 105억 엔 → 115억 엔 상향)
- 주당순이익 (EPS) 전망: 315.87엔 (기존 288.40엔 → 315.87엔 상향)

📌 핵심 포인트
- 전자재료 부문에서 AI 서버 및 반도체 기판용 특수유리 판매 지속 증가 전망.
- 의료 부문은 안정적인 매출 유지하며 연구개발 및 인력 확충 계획.
- 복합재료 부문은 하반기 회복 예상되나 원가 부담 지속.
- 소재 솔루션 부문은 신제품 개발에 집중하는 준비 단계.
- 단열재 부문은 원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고성능 제품 수요 증가 예상.

3. 주주환원 정책
- 기본 배당 정책: 연간 87엔 (전년 55엔 → 증가)
- 중간 배당 27.5엔 → 기말 배당 59.5엔
- 배당성향: 30% 유지 목표

📌 핵심 포인트:
- 안정적인 배당정책 유지 및 전년 대비 배당 확대.
- 수익 증가에 따라 주주환원 강화 기조 유지.

4. 종합 요약

- 2024년 3분기 실적 호조, 특히 전자재료 (특수유리) 부문이 강한 성장을 보이며 매출 및 이익이 크게 증가.
- 2025년 3월 연간 가이던스 상향, 특히 영업이익과 순이익 전망이 상향 조정됨.
- AI 서버, 반도체 기판 시장의 특수유리 수요가 지속 증가, 이에 따라 전자재료 부문이 향후 실적을 견인할 전망.
- 배당도 증가하며 주주 환원 정책 강화.

📌 결론: 닛토 방직은 반도체 및 AI 서버 시장 성장에 힘입어 실적 개선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가이던스도 상향 조정되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가능.

바바리안 이전 니토 보세키 글입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205103430341bz
Shown 1 - 24 of 89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