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4.202513:02
또한 SKYGG는 Hyperliquid 팀의 요청으로 국내 주요 플레이어들과 해외 빌더들이 함께하는 HypurrCorea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HyperEVM 상에서 빌딩하며 다른 빌더들과의 교류를 희망하시는 프로젝트는 @jarry0110로 연락 주시면 자세한 안내를 드리겠습니다.
아울러 HypurrCorea: SKYGG x Despread 밸리데이터에 HYPE 토큰을 위임해 주시는 분들을 위한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개발 중이며, 세부 내용은 확정되는 대로 별도 공지를 통해 전달해 드릴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리며, Hyperliquid 생태계의 성장과 활성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yperliquid
HyperEVM 상에서 빌딩하며 다른 빌더들과의 교류를 희망하시는 프로젝트는 @jarry0110로 연락 주시면 자세한 안내를 드리겠습니다.
아울러 HypurrCorea: SKYGG x Despread 밸리데이터에 HYPE 토큰을 위임해 주시는 분들을 위한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개발 중이며, 세부 내용은 확정되는 대로 별도 공지를 통해 전달해 드릴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리며, Hyperliquid 생태계의 성장과 활성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yperliquid


16.04.202509:18
Hyperliquid에서 Octis Divers NFT와 플립 게임 808flip을 운영 중인 Octis 팀이 SKYGG 채널 구독자분들을 위해 무료 플립 슬롯을 제공해주었습니다.
HyperEVM에서 작동하는 플립 앱(https://octis.ai/flip)에서 0.1 HYPE 가치의 무료 플립 기회를 30분께 드린다고 하니, 재미로 해보실 분들은 참여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7일 낮 12시에 마감하고 지갑 전달하도록 하겠습니다.
설문 링크
SKYGG 채널
TG 공지방 | X | Substack
HyperEVM에서 작동하는 플립 앱(https://octis.ai/flip)에서 0.1 HYPE 가치의 무료 플립 기회를 30분께 드린다고 하니, 재미로 해보실 분들은 참여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7일 낮 12시에 마감하고 지갑 전달하도록 하겠습니다.
설문 링크
SKYGG 채널
TG 공지방 | X | Substack
Reposted from:
동남풍이 분다 | Eastern Wind

09.04.202513:17
HYPE 근황
가격이 계속 빠지고 있음에도 향후 7일 간 언스테이킹 물량은 350만개 가량으로 감소세에 접어들고 있음
(직전 7일은 480만개)
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600만개를 매도 압력이 거세지는 기준으로 잡고 있는데,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언스테이킹이 줄어들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
그러나 트럼프가 마음을 바꾸거나 파월이 개입하지 않는 한 (그럴리 없음), 여기가 바닥이라고 생각하지 않음
개인적으로 포트폴리오가 반반무많이 상태라서 여기서 기적적으로 반등해도 좋고, 곡소리조차 안 나올 때 올인 박을 준비도 되어있기에 관망하고 있는 상태
+ 번외로, 최근 해외 트위터에서 HYPE 바이백에 대해 이제야 알게 된 계정들을 빈번하게 목격하고 있음
하락장이 예상보다 급격하게 찾아오면서 그간 무시당하던 현금흐름+주주환원이 더 주목받고 있다고 느껴짐
이런 식으로 조금씩 지지자가 늘어난다면 CEX 대비 거래대금/OI 비율만 계속해서 잘 유지해준다면 장 분위기가 바뀌었을 때 이전보다 더 큰 원동력을 얻지 않을까 기대함
가격이 계속 빠지고 있음에도 향후 7일 간 언스테이킹 물량은 350만개 가량으로 감소세에 접어들고 있음
(직전 7일은 480만개)
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600만개를 매도 압력이 거세지는 기준으로 잡고 있는데,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언스테이킹이 줄어들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
그러나 트럼프가 마음을 바꾸거나 파월이 개입하지 않는 한 (그럴리 없음), 여기가 바닥이라고 생각하지 않음
개인적으로 포트폴리오가 반반무많이 상태라서 여기서 기적적으로 반등해도 좋고, 곡소리조차 안 나올 때 올인 박을 준비도 되어있기에 관망하고 있는 상태
+ 번외로, 최근 해외 트위터에서 HYPE 바이백에 대해 이제야 알게 된 계정들을 빈번하게 목격하고 있음
하락장이 예상보다 급격하게 찾아오면서 그간 무시당하던 현금흐름+주주환원이 더 주목받고 있다고 느껴짐
이런 식으로 조금씩 지지자가 늘어난다면 CEX 대비 거래대금/OI 비율만 계속해서 잘 유지해준다면 장 분위기가 바뀌었을 때 이전보다 더 큰 원동력을 얻지 않을까 기대함
31.03.202501:23
🔥 4월 1주차 Hyperliquid Focus 🔥
1️⃣ 선물 시장 점유율
Hyperliquid의 선물 시장 점유율이 지난주 대비 1.9%p 증가한 53.7%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OI(미체결약정)는 $0.21B 감소하여 총 $2.86B로 집계되었습니다.
2️⃣ 거래소 수익
한 주간 Hyperliquid의 총 거래소 수익은 3.2% 감소한 $3.32M을 기록했습니다.
3️⃣ HyperEVM 브릿지 현황
HyperCore에서 HyperEVM으로 브릿지된 $HYPE 물량은 613만 개로, 이는 지난주 대비 104% 증가한 수치이며 전체 유통량의 0.9%를 차지합니다. HyperEVM으로의 유동성 이동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4️⃣ 유동화 스테이킹 토큰(LST) 발행 현황
stHYPE: 313만 개 발행 / LHYPE: 102만 개 발행 / mHYPE: 11만 개 발행
총 LST/HYPE 비율: 69.5%
5️⃣ HyperEVM DeFi TVL 현황
현재 HyperEVM 기반 주요 DeFi 애플리케이션의 TVL(Total Value Locked)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SKYGG 채널
TG 공지방 | X | Substack
1️⃣ 선물 시장 점유율
Hyperliquid의 선물 시장 점유율이 지난주 대비 1.9%p 증가한 53.7%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OI(미체결약정)는 $0.21B 감소하여 총 $2.86B로 집계되었습니다.
2️⃣ 거래소 수익
한 주간 Hyperliquid의 총 거래소 수익은 3.2% 감소한 $3.32M을 기록했습니다.
3️⃣ HyperEVM 브릿지 현황
HyperCore에서 HyperEVM으로 브릿지된 $HYPE 물량은 613만 개로, 이는 지난주 대비 104% 증가한 수치이며 전체 유통량의 0.9%를 차지합니다. HyperEVM으로의 유동성 이동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4️⃣ 유동화 스테이킹 토큰(LST) 발행 현황
stHYPE: 313만 개 발행 / LHYPE: 102만 개 발행 / mHYPE: 11만 개 발행
총 LST/HYPE 비율: 69.5%
5️⃣ HyperEVM DeFi TVL 현황
현재 HyperEVM 기반 주요 DeFi 애플리케이션의 TVL(Total Value Locked)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HypurrFi: $30.7M (Total market size)
Kittenswap: $26.63M
loopedHYPE: $12.55M
HyperSwap: $11.05M
HyperLend: $6.87M
Mizu Vaults: $5.43M
Laminar: $4.94M
Harmonix: $2.7M (HYPE Delta Neutral Vault)
Keiko Finance: $2.2M
Hyperpie: $1.75M
Sentiment: $740.2K
HyperYield: $300.1K
Timeswap: $190.1K
SKYGG 채널
TG 공지방 | X | Substack
26.03.202512:56
looped HYPE Phase 2는 곧 출시할 예정이며, 관련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할당량: 전체 토큰 공급량의 3%
- 초기 상한: 2,000,000 HYPE
- 최소 예치금: 제한 없음
- 최대 예치금: 69,000 HYPE
해당 링크에서 HYPE를 예치하시면 얼리 어답터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토큰 공급량의 3% 중 일부를 할당받으실 수 있습니다.
링크: https://www.stakingrewards.com/stake-app?input=hyperliquid&best-deal=true&validator=skygg&locked=true
- 할당량: 전체 토큰 공급량의 3%
- 초기 상한: 2,000,000 HYPE
- 최소 예치금: 제한 없음
- 최대 예치금: 69,000 HYPE
해당 링크에서 HYPE를 예치하시면 얼리 어답터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토큰 공급량의 3% 중 일부를 할당받으실 수 있습니다.
링크: https://www.stakingrewards.com/stake-app?input=hyperliquid&best-deal=true&validator=skygg&locked=true
24.03.202501:48
🔥 3월 4주차 Hyperliquid Focus 🔥
1️⃣ 선물 시장 점유율
Hyperliquid의 선물 시장 점유율이 지난주 대비 3.7% 감소하여 53.7%를 기록했습니다. OI(미체결약정) 또한 $0.2B 감소하여 총 $3.02B로 집계되었습니다.
2️⃣ 거래소 수익
한 주간 Hyperliquid의 총 거래소 수익은 31% 감소한 $3.43M을 기록했습니다.
3️⃣ $HYPE 언스테이킹 및 스테이킹 동향
이번 주 464만 개의 $HYPE 언스테이킹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지난주에도 480만 개의 언스테이킹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스테이킹 물량이 150만 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추세를 고려했을 때, 매도 압력보다는 HyperEVM으로의 자금 이동 및 유동화 스테이킹 활성화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4️⃣ HyperEVM 브릿지 현황
HyperCore에서 HyperEVM으로 브릿지된 $HYPE 물량은 300만 개로, 이는 지난주 대비 78.5% 증가한 수치이며 전체 유통량의 0.9%를 차지합니다.
5️⃣ 유동화 스테이킹 토큰(LST) 발행 현황
stHYPE: 177만 개 발행 → HyperEVM 내 stHYPE/HYPE 비율: 59%
LHYPE: 50만 개 발행 → 유통되는 LHYPE/HYPE 비율: 16.7%
총 LST/HYPE 비율: 75.7%
지난주 신규 유입된 자금은 유동화 스테이킹보다는 DEX 유동성 공급 및 에어드랍 활동으로 유입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6️⃣ HyperEVM DeFi TVL 현황
현재 HyperEVM 기반 주요 DeFi 애플리케이션의 TVL(Total Value Locked)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HypurrFi: $18.97M (Total market size)
Kittenswap: $12.26M
HyperSwap: $9.63M
loopedHYPE: $8.08M
Harmonix: $2.85M (HYPE Delta Neutral Vault)
Keiko Finance: $2.1M
Sentiment: $928.2K
Hyperpie: $882.3K
Timeswap: $301.8K
HyperYield: $88.5K
SKYGG 채널
TG 공지방 | X | Substack
1️⃣ 선물 시장 점유율
Hyperliquid의 선물 시장 점유율이 지난주 대비 3.7% 감소하여 53.7%를 기록했습니다. OI(미체결약정) 또한 $0.2B 감소하여 총 $3.02B로 집계되었습니다.
2️⃣ 거래소 수익
한 주간 Hyperliquid의 총 거래소 수익은 31% 감소한 $3.43M을 기록했습니다.
3️⃣ $HYPE 언스테이킹 및 스테이킹 동향
이번 주 464만 개의 $HYPE 언스테이킹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지난주에도 480만 개의 언스테이킹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스테이킹 물량이 150만 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추세를 고려했을 때, 매도 압력보다는 HyperEVM으로의 자금 이동 및 유동화 스테이킹 활성화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4️⃣ HyperEVM 브릿지 현황
HyperCore에서 HyperEVM으로 브릿지된 $HYPE 물량은 300만 개로, 이는 지난주 대비 78.5% 증가한 수치이며 전체 유통량의 0.9%를 차지합니다.
5️⃣ 유동화 스테이킹 토큰(LST) 발행 현황
stHYPE: 177만 개 발행 → HyperEVM 내 stHYPE/HYPE 비율: 59%
LHYPE: 50만 개 발행 → 유통되는 LHYPE/HYPE 비율: 16.7%
총 LST/HYPE 비율: 75.7%
지난주 신규 유입된 자금은 유동화 스테이킹보다는 DEX 유동성 공급 및 에어드랍 활동으로 유입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6️⃣ HyperEVM DeFi TVL 현황
현재 HyperEVM 기반 주요 DeFi 애플리케이션의 TVL(Total Value Locked)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HypurrFi: $18.97M (Total market size)
Kittenswap: $12.26M
HyperSwap: $9.63M
loopedHYPE: $8.08M
Harmonix: $2.85M (HYPE Delta Neutral Vault)
Keiko Finance: $2.1M
Sentiment: $928.2K
Hyperpie: $882.3K
Timeswap: $301.8K
HyperYield: $88.5K
SKYGG 채널
TG 공지방 | X | Substack


17.04.202514:58
이번 장 알트는 어떻게 선별해야 될까?
모두가 1월까지의 불장에서 느끼셨겠지만 이번 사이클은 모든 코인이 같이 폭발적으로 올라가는 상승장이 아닌 몇몇 알트들만이 계속해서 오를 가능성이 계속해서 높아지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알트를 선별하는 기준은 어떻게 잡아야 할까요?
물론 자신만의 기준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겠지만 시작점은 0xENAS (aka 비둘기) 가 제시한 기준에서 출발해도 좋을 듯 합니다.
- 프로젝트의 성공이 토큰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토큰 바이백이나 홀더들과 수수료 공유 등의 모델들이 있겠죠)
- 프로젝트가 제시한 방향성과 결정들이 토큰 홀더들의 포지션에 잠재적으로 해가 될 수 있는지
- 초기 토큰 분배가 핵심 기여자들에게 잘 배분이 되었는지 등
- 프로젝트의 펀더멘탈과 관련된 기준인데 “프로젝트가 돈을 벌고 있는가”의 질문을 넘어 지속적인 수익을 내거나 이로 발전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는지
- 불장에 한탕하고 엑싯하는 것이 아닌 장기적 플랜을 제시할 수 있는지
- 웹3 버블에 갇히지 않고 더 넓은 시장을 겨냥할 수 있는지 등
- 이 기준은 DYOR을 아무리 한다고 해도 일반 리테일 기준에서는 파악하기 어렵지만 가장 중요한 기준이라고 생각합니다.
- 팀의 과거 프로젝트들이나 행적, 실행 능력, 소통 등을 염두에 두고 볼 수 있겠네요.
첨부한 표는 Bitcoineo라는 친구의 표에서 몇가지만 제가 수정한 버전인데 가볍게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이런 식으로 본인만의 알트를 선정하는 기준을 만들어 나갈 수 있으면 주변 노이즈를 줄이고 홀딩하는 코인들에 대한 컨빅션을 가질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모두가 1월까지의 불장에서 느끼셨겠지만 이번 사이클은 모든 코인이 같이 폭발적으로 올라가는 상승장이 아닌 몇몇 알트들만이 계속해서 오를 가능성이 계속해서 높아지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알트를 선별하는 기준은 어떻게 잡아야 할까요?
물론 자신만의 기준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겠지만 시작점은 0xENAS (aka 비둘기) 가 제시한 기준에서 출발해도 좋을 듯 합니다.
1. 프로젝트가 토큰 홀더들을 최우선에 두고 있는가?
- 프로젝트의 성공이 토큰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토큰 바이백이나 홀더들과 수수료 공유 등의 모델들이 있겠죠)
- 프로젝트가 제시한 방향성과 결정들이 토큰 홀더들의 포지션에 잠재적으로 해가 될 수 있는지
- 초기 토큰 분배가 핵심 기여자들에게 잘 배분이 되었는지 등
2. 프로젝트가 하락장에도 버틸 수 있는 견고한 BM을 가지고 있는가?
- 프로젝트의 펀더멘탈과 관련된 기준인데 “프로젝트가 돈을 벌고 있는가”의 질문을 넘어 지속적인 수익을 내거나 이로 발전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는지
- 불장에 한탕하고 엑싯하는 것이 아닌 장기적 플랜을 제시할 수 있는지
- 웹3 버블에 갇히지 않고 더 넓은 시장을 겨냥할 수 있는지 등
3. 팀이 프로젝트를 앞으로 나아가게 할 수 있는 역량이 있는가?
- 이 기준은 DYOR을 아무리 한다고 해도 일반 리테일 기준에서는 파악하기 어렵지만 가장 중요한 기준이라고 생각합니다.
- 팀의 과거 프로젝트들이나 행적, 실행 능력, 소통 등을 염두에 두고 볼 수 있겠네요.
첨부한 표는 Bitcoineo라는 친구의 표에서 몇가지만 제가 수정한 버전인데 가볍게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이런 식으로 본인만의 알트를 선정하는 기준을 만들어 나갈 수 있으면 주변 노이즈를 줄이고 홀딩하는 코인들에 대한 컨빅션을 가질 수 있는 것 같습니다.
14.04.202501:31
🔥4월 3주차 Hyperliquid Focus🔥
1️⃣ 선물 시장 점유율
Hyperliquid의 선물 시장 점유율이 2주 전 대비 8.1%p 증가한 61.8%를 기록했습니다. OI(미체결약정)는 $0.36B가 증가하여 $3.22B를 기록하였습니다.
2️⃣ 거래소 수익
한 주간 Hyperliquid의 총 거래소 수익은 2주 전 대비 162% 증가한 $8.54M을 기록했으며, $7.94M가 AF(Assistance Fund)로 유입되었습니다.
AF가 바이백한 HYPE는 약 2천만 개이며, 이는 총 공급량의 2%, 유통량의 6%에 해당합니다.
3️⃣ HyperEVM 브릿지 현황
HyperCore에서 HyperEVM으로 브릿지된 $HYPE 물량은 1494만 개로, 이는 2주 전 대비 143% 증가한 수치이며 전체 유통량의 4.5%를 차지합니다.
4️⃣ 유동화 스테이킹 토큰(LST) 발행 현황
stHYPE: 530만 개 발행 / LHYPE: 107만 개 발행 / mHYPE: 20만 개 발행
총 LST/HYPE 비율: 44%
5️⃣ HyperEVM DeFi TVL 현황
현재 HyperEVM 기반 주요 DeFi 애플리케이션의 TVL(Total Value Locked)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SKYGG 채널
TG 공지방 | X | Substack
1️⃣ 선물 시장 점유율
Hyperliquid의 선물 시장 점유율이 2주 전 대비 8.1%p 증가한 61.8%를 기록했습니다. OI(미체결약정)는 $0.36B가 증가하여 $3.22B를 기록하였습니다.
2️⃣ 거래소 수익
한 주간 Hyperliquid의 총 거래소 수익은 2주 전 대비 162% 증가한 $8.54M을 기록했으며, $7.94M가 AF(Assistance Fund)로 유입되었습니다.
AF가 바이백한 HYPE는 약 2천만 개이며, 이는 총 공급량의 2%, 유통량의 6%에 해당합니다.
3️⃣ HyperEVM 브릿지 현황
HyperCore에서 HyperEVM으로 브릿지된 $HYPE 물량은 1494만 개로, 이는 2주 전 대비 143% 증가한 수치이며 전체 유통량의 4.5%를 차지합니다.
4️⃣ 유동화 스테이킹 토큰(LST) 발행 현황
stHYPE: 530만 개 발행 / LHYPE: 107만 개 발행 / mHYPE: 20만 개 발행
총 LST/HYPE 비율: 44%
5️⃣ HyperEVM DeFi TVL 현황
현재 HyperEVM 기반 주요 DeFi 애플리케이션의 TVL(Total Value Locked)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Felix: $87.6M
HyperLend: $51.17M
HypurrFi: $33.51M
Kittenswap: $26.25M
loopedHYPE: $16.69M
Mizu Vaults: $16.3M
HyperSwap: $15.39M
Laminar: $6.68M
Hyperbeat Ultra HYPE: $4.7M
Sentiment: $3.81M
Keiko Finance: $3.8M
Hyperpie: $3.08M
Harmonix: $2.6M (HYPE Delta Neutral Vault)
Valantis: $2.15M
SKYGG 채널
TG 공지방 | X | Substack
05.04.202500:44
5. 커뮤니티와 커뮤니케이션
-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부족함을 인지하고 있으며 개선 필요
- 외부 시선에서 Hyperliquid 커뮤니티가 공격적으로 보일 수 있으나, 실제로는 진정한 커뮤니티의 열정이 반영된 모습
- 개인적으로는 좀 더 친절하고 포용적인 분위기를 추구
6. HYPE 토큰에 대한 장기적 시각
- HYPE는 장기적 비전을 기반으로 토큰을 설계한 드문 사례 중 하나
- 단기적인 가격에 집중하기보다는, 온체인 금융 인프라 구축이라는 큰 그림을 바라봐야 함
- 비전이 실현될 경우, 지금의 가격 논쟁은 본질적인 이슈가 아님
7. 스테이블코인 및 HyperEVM의 역할
- HyperEVM의 존재 이유 중 하나는 네이티브 스테이블코인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것
- 현재는 USDC만 사용 가능하지만, 미래에는 완전히 중립적인 구조로 전환될 예정
- 일부 팀들은 Hyperliquid 전 스택을 활용해, 채권 수익 기반 스테이블코인 등 다양한 실험을 진행 중
Hyperliquid
SKYGG 채널
TG 공지방 | X | Substack
-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부족함을 인지하고 있으며 개선 필요
- 외부 시선에서 Hyperliquid 커뮤니티가 공격적으로 보일 수 있으나, 실제로는 진정한 커뮤니티의 열정이 반영된 모습
- 개인적으로는 좀 더 친절하고 포용적인 분위기를 추구
6. HYPE 토큰에 대한 장기적 시각
- HYPE는 장기적 비전을 기반으로 토큰을 설계한 드문 사례 중 하나
- 단기적인 가격에 집중하기보다는, 온체인 금융 인프라 구축이라는 큰 그림을 바라봐야 함
- 비전이 실현될 경우, 지금의 가격 논쟁은 본질적인 이슈가 아님
7. 스테이블코인 및 HyperEVM의 역할
- HyperEVM의 존재 이유 중 하나는 네이티브 스테이블코인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것
- 현재는 USDC만 사용 가능하지만, 미래에는 완전히 중립적인 구조로 전환될 예정
- 일부 팀들은 Hyperliquid 전 스택을 활용해, 채권 수익 기반 스테이블코인 등 다양한 실험을 진행 중
Hyperliquid
SKYGG 채널
TG 공지방 | X | Substack
27.03.202515:43
HYPE에 인생을 건 투자를 하고 있는 입장이지만 어제의 사건이 이득이라고 하기에는 출혈이 꽤나 컸기에 약간의 정신승리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있습니다 (그만큼 마음이 아팠습니다..)
1) 어쨋든 sose님이 적어주신 대로 탈중앙화가 무조건 최우선이어야 한다는 의견에는 저 역시 동의하지 않습니다. 아직까지 완벽한 탈중앙화는 이상에 가까운 개념이고, 현재 프로젝트들이 말하는 탈중앙화는 실질적으로는 마케팅 용어에 가까우니까요. 개인적으로는 ‘탈중앙화’라는 단어를 포함한 모든 표현들을 그냥 ‘온체인’이라고 치환하면 더 깔끔하다고 생각합니다.
2) 개인적으로 프로젝트는 언제나 코어 유저들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적어도 제 기준에서는 평판이 깎이더라도 현실적으로 있는 선택지 안에서 최선의 결정을 내렸다고 생각합니다.
3) 이번 사건을 통해 명확히 드러난 건 두 가지라고 생각합니다.
1. Hyperliquid를 향한 시장의 대형 플레이어들의 시선
2. Hyperliquid가 폭발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핵심 요소 중 하나였던 pump.fun 출신 토큰들의 선물 리스팅과 관련한 리스크 관리가 부족했다는 점
1번 같은 경우 파이를 더 키우기 위한 플레이보다 이미 존재하는 파이를 빼앗기지 않으려는 견제가 아쉽기는 합니다. 하지만 취약점을 드러낸 놈은 물어뜯기는 이 생태계에서 이러한 견제 역시 비즈니스고 game is game이라고 생각합니다.
2번 같은 경우 신경을 썼다면 대비할 수 있었던 부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오히려 더 뒷맛이 쓰네요. 며칠 내에
- 유동성/시총 기반 dynamic OI
- 자동 자산 청산 (ADL)
- 리스팅 시점 대비 유동성/시총 기준 미달 토큰들의 디리스팅
등의 조치들이 취해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4) 결국 Hyperliquid의 최종 목표이자 가치는 단순히 'Onchain Binance'가 아닌 'House of all Onchain Finance'이기 때문에 어제의 사건이 Hyperliquid에게 좋은 성장통으로 작용했으면 합니다. 또 개인적으로는 충분히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저력이 있는 팀이라고 믿기에 앞으로도 계속 응원하겠습니다.
Hyperliquid
1) 어쨋든 sose님이 적어주신 대로 탈중앙화가 무조건 최우선이어야 한다는 의견에는 저 역시 동의하지 않습니다. 아직까지 완벽한 탈중앙화는 이상에 가까운 개념이고, 현재 프로젝트들이 말하는 탈중앙화는 실질적으로는 마케팅 용어에 가까우니까요. 개인적으로는 ‘탈중앙화’라는 단어를 포함한 모든 표현들을 그냥 ‘온체인’이라고 치환하면 더 깔끔하다고 생각합니다.
2) 개인적으로 프로젝트는 언제나 코어 유저들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적어도 제 기준에서는 평판이 깎이더라도 현실적으로 있는 선택지 안에서 최선의 결정을 내렸다고 생각합니다.
3) 이번 사건을 통해 명확히 드러난 건 두 가지라고 생각합니다.
1. Hyperliquid를 향한 시장의 대형 플레이어들의 시선
2. Hyperliquid가 폭발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핵심 요소 중 하나였던 pump.fun 출신 토큰들의 선물 리스팅과 관련한 리스크 관리가 부족했다는 점
1번 같은 경우 파이를 더 키우기 위한 플레이보다 이미 존재하는 파이를 빼앗기지 않으려는 견제가 아쉽기는 합니다. 하지만 취약점을 드러낸 놈은 물어뜯기는 이 생태계에서 이러한 견제 역시 비즈니스고 game is game이라고 생각합니다.
2번 같은 경우 신경을 썼다면 대비할 수 있었던 부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오히려 더 뒷맛이 쓰네요. 며칠 내에
- 유동성/시총 기반 dynamic OI
- 자동 자산 청산 (ADL)
- 리스팅 시점 대비 유동성/시총 기준 미달 토큰들의 디리스팅
등의 조치들이 취해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4) 결국 Hyperliquid의 최종 목표이자 가치는 단순히 'Onchain Binance'가 아닌 'House of all Onchain Finance'이기 때문에 어제의 사건이 Hyperliquid에게 좋은 성장통으로 작용했으면 합니다. 또 개인적으로는 충분히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저력이 있는 팀이라고 믿기에 앞으로도 계속 응원하겠습니다.
Hyperliquid
26.03.202512:50
Dive into Hyperliquid Ecosystem dApp #2 / loopedHYPE
loopedHYPE은 HyperEVM 생태계에서 $HYPE를 예치받아 스테이킹 및 DeFi 플랫폼에서 수익률 차이를 활용한 자동화된 루핑 전략을 수행하여 연간 10%의 수익률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loopedHYPE만의 차별점은 복잡한 DeFi 과정을 단순화하여 모든 $HYPE 보유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이며, 네트워크 보상, MEV 및 에어드랍을 자동화된 솔루션으로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금일 오후 10시에 얼리 어답터 프로그램 - Phase 2를 출시할 예정이니 투자하기 전에 어떠한 프로젝트인지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한국어 아티클 전문
영문 아티클 전문
SKYGG 채널
TG 공지방 | X | Substack
loopedHYPE은 HyperEVM 생태계에서 $HYPE를 예치받아 스테이킹 및 DeFi 플랫폼에서 수익률 차이를 활용한 자동화된 루핑 전략을 수행하여 연간 10%의 수익률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loopedHYPE만의 차별점은 복잡한 DeFi 과정을 단순화하여 모든 $HYPE 보유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이며, 네트워크 보상, MEV 및 에어드랍을 자동화된 솔루션으로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금일 오후 10시에 얼리 어답터 프로그램 - Phase 2를 출시할 예정이니 투자하기 전에 어떠한 프로젝트인지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한국어 아티클 전문
영문 아티클 전문
SKYGG 채널
TG 공지방 | X | Substack


22.03.202504:32
이제 HYPE 뿐만 아니라 PURR 또한 HyperCore <> HyperEVM 간의 Native Transfer 기능이 적용되었습니다.
아직 HYPE과 같이 HyperCore 거래소의 'Transfer to EVM' 기능은 적용되지 않았지만, 0x2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1 주소로 PURR를 보냄으로써 HyperEVM으로 옮길 수 있습니다.
PURR가 항상 새로운 기능이 출시되었을 때 HYPE 다음으로 적용되는 경향이 있어, 많은 홀더들이 PURR를 놓지 못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KittenSwap같은 경우 WHYPE/PURR 풀에 10배 포인트 멀티플라이어를 적용시킨 만큼, 다른 DeFi 앱들에서도 PURR의 활용처를 늘릴 것으로 보입니다.
아직 HYPE과 같이 HyperCore 거래소의 'Transfer to EVM' 기능은 적용되지 않았지만, 0x2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1 주소로 PURR를 보냄으로써 HyperEVM으로 옮길 수 있습니다.
PURR가 항상 새로운 기능이 출시되었을 때 HYPE 다음으로 적용되는 경향이 있어, 많은 홀더들이 PURR를 놓지 못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KittenSwap같은 경우 WHYPE/PURR 풀에 10배 포인트 멀티플라이어를 적용시킨 만큼, 다른 DeFi 앱들에서도 PURR의 활용처를 늘릴 것으로 보입니다.
17.04.202509:01
신청해주신 분들 모두 무료로 동전 던지실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제출해주신 지갑으로 참여해서 많은 HYPE를 얻으시면 좋겠습니다
중독성이 강하니 모든 HYPE를 탕진하지 않게 유의하셔야 합니다😅
octis.ai/flip
제출해주신 지갑으로 참여해서 많은 HYPE를 얻으시면 좋겠습니다
중독성이 강하니 모든 HYPE를 탕진하지 않게 유의하셔야 합니다😅
octis.ai/flip


10.04.202519:28
Megatruther
MegaETH에서 힙한척 하면서 몇 주 전부터 어그로 끌던 프로젝트인데 최근 팀 코어 멤버들도 아는척 하더니 공식 계정 샤라웃까지 받았네요.
예전 이더 메인넷에서 Asterix가 했던 캠페인과 비슷하게 온라인/온체인 퍼즐들을 며칠 간격으로 내고 있고 현재 에포치 3: Sokoban 이 진행중입니다.
퍼즐을 풀면 ITS 리더보드 점수와 함께 디스코드에서 Megamind 롤을 받을 수 있으니 자신 있는 분들은 츄라이 해보세요 :)
MegaETH에서 힙한척 하면서 몇 주 전부터 어그로 끌던 프로젝트인데 최근 팀 코어 멤버들도 아는척 하더니 공식 계정 샤라웃까지 받았네요.
예전 이더 메인넷에서 Asterix가 했던 캠페인과 비슷하게 온라인/온체인 퍼즐들을 며칠 간격으로 내고 있고 현재 에포치 3: Sokoban 이 진행중입니다.
퍼즐을 풀면 ITS 리더보드 점수와 함께 디스코드에서 Megamind 롤을 받을 수 있으니 자신 있는 분들은 츄라이 해보세요 :)


05.04.202500:43
1. 시장과 Hyperliquid의 개발 스탠스
- 최근 시장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Hyperliquid는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음. 오히려 가격이 급락할 때 거래량이 증가하는 특성이 있음
- 팀은 여전히 바쁘게 개발 중이며, 시장 상황에 일희일비하기보다는 제품 완성에 집중하고 있음
2. Hyperliquid = HyperCore + HyperEVM
- 단순한 거래소가 아닌, 누구도 만들지 못한 새로운 금융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
- HyperEVM은 단순한 고성능 EVM 체인이 아니라, 이더리움이나 솔라나와 경쟁하는 것이 아닌 HyperCore(Perp/Spot 등)를 프로그래머블하게 확장하기 위한 컴포넌트
- 곧 메인넷에 반영될 예정인 HyperCore <> HyperEVM 간의 강력한 연결성 (Precompile) 기능을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 하나만 배포하더라도 Hyperliquid의 대규모 유동성 레이어와 직접 상호작용 가능
- Hyperliquid는 단순한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글로벌 금융을 수용할 수 있는 인프라 레이어로 자리매김 중
3. HLP 전략과 유동성 공급
- Alameda, CEX 스타일의 내부자 유동성이 아닌, 완전히 탈중앙화된 유동성 공급 구조를 지향
- 현재 유동성 상황이 좋아 대부분의 포지션은 오픈북 참여자들이 처리하며, HLP의 역할은 시간이 지날수록 축소됨
- 예전처럼 HLP를 노린 공격이 플랫폼을 위협하는 구조는 더 이상 아님
- Jelly 사건의 문제를 인정하며, 중요한 점은 모든 거래 내역이 온체인으로 투명하게 기록되었다는 점
4. 글로벌 자산의 온체인화
- 주식, 원자재, 외환(FX) 등 실물 자산이 Hyperliquid 상에 존재하게 될 것
- Hyperliquid 팀은 직접 상품을 제공하지 않으며, AWS처럼 인프라를 제공하고 유능한 팀들이 상품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


27.03.202511:38
HyperCore에서 HyperEVM으로의 $HYPE 이동 및 DeFi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HyperEVM의 Uniswap, Raydium을 노리는 AMM DEX들이 등장하고 경쟁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재 가장 많은 TVL을 확보한 프로젝트는 KittenSwap과 HyperSwap입니다.
두 프로젝트는 각각 Velodrome V1, Uniswap V2/V3 모델을 차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유동성 공급자(LP), 사용자 전략의 장단점이 존재합니다. 또한 양쪽 모두 토큰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으므로 토크노믹스와 토큰의 출시 후 역할도 지켜볼 요소입니다.
하지만 얼리어답터가 항상 최후의 승자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Hyperliquid의 가장 큰 장점인 오더북 기반 DEX의 유동성을 HyperEVM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인프라 및 DEX를 구축하고 있는 Laminar가 추후 대항마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최후의 승자가 누가 될지 함께 지켜보시죠.
한국어 아티클 전문
영문 아티클 전문
SKYGG 채널
TG 공지방 | X | Substack
두 프로젝트는 각각 Velodrome V1, Uniswap V2/V3 모델을 차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유동성 공급자(LP), 사용자 전략의 장단점이 존재합니다. 또한 양쪽 모두 토큰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으므로 토크노믹스와 토큰의 출시 후 역할도 지켜볼 요소입니다.
하지만 얼리어답터가 항상 최후의 승자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Hyperliquid의 가장 큰 장점인 오더북 기반 DEX의 유동성을 HyperEVM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인프라 및 DEX를 구축하고 있는 Laminar가 추후 대항마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최후의 승자가 누가 될지 함께 지켜보시죠.
한국어 아티클 전문
영문 아티클 전문
SKYGG 채널
TG 공지방 | X | Substack
26.03.202502:10
이번에 발표된 Mizu의 HyperEVM Vaults는 이전 HypurrCollective의 AMA에 언급된 적이 있는 Pre-deposit 프로그램의 일환입니다.
Pre-deposit은 이더리움 체인에서 BTC, ETH, 스테이블코인과 파생 자산들(LST, LRT, 랩토큰)을 예치 받아 LayerZero, Stargate를 통해 HyperEVM으로 유동성을 가져옴과 동시에 파트너십을 맺은 다양한 팀들에게 유동성을 공급함으로써 HyperEVM 프로젝트들의 부양과 볼트 예치자들에게 이자율(APY)와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HyperEVM에서 중요한 프로그램입니다.
HyperEVM 생태계를 잘 몰라도 자산 예치만 하면 연관된 프로젝트들의 보상을 가져갈 수 있으니 외부 자금을 가져오는 데 효과적일 것 같습니다. 현재는 이더리움 체인에서만 예치 가능하지만, 추후 타 EVM 체인 그리고 HyperEVM 내에서도 UBTC, UETH, HYPE 등 자산 예치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발표된 생태계 파트너인 HyperLend/HarmoniX/HypurrFi/TimeSwap/Silhouette/HyperSwap/을 포함하여 추후 HyperFlash, Sentiment, Cluster, Hyperdelta가 합류하고 해당 보상도 노릴 수 있을 것 같네요.
Mizu X(트위터) 공지
SKYGG 채널
TG 공지방 | X | Substack
Pre-deposit은 이더리움 체인에서 BTC, ETH, 스테이블코인과 파생 자산들(LST, LRT, 랩토큰)을 예치 받아 LayerZero, Stargate를 통해 HyperEVM으로 유동성을 가져옴과 동시에 파트너십을 맺은 다양한 팀들에게 유동성을 공급함으로써 HyperEVM 프로젝트들의 부양과 볼트 예치자들에게 이자율(APY)와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HyperEVM에서 중요한 프로그램입니다.
HyperEVM 생태계를 잘 몰라도 자산 예치만 하면 연관된 프로젝트들의 보상을 가져갈 수 있으니 외부 자금을 가져오는 데 효과적일 것 같습니다. 현재는 이더리움 체인에서만 예치 가능하지만, 추후 타 EVM 체인 그리고 HyperEVM 내에서도 UBTC, UETH, HYPE 등 자산 예치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발표된 생태계 파트너인 HyperLend/HarmoniX/HypurrFi/TimeSwap/Silhouette/HyperSwap/을 포함하여 추후 HyperFlash, Sentiment, Cluster, Hyperdelta가 합류하고 해당 보상도 노릴 수 있을 것 같네요.
Mizu X(트위터) 공지
SKYGG 채널
TG 공지방 | X | Substack


22.03.202504:24
Felix는 CDP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로, HYPE/BTC/ETH 등의 자산을 담보로 맡기고 feUSD 스테이블코인을 대출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대출받은 스테이블코인의 활용처로는 Felix Stability Pools 예치, 즉 담보대출 풀에 예치하여 대출자의 이자율의 일부를 가져가고 청산 프로세스에 참여하여 청산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능이 언급되었습니다.
오늘 Felix 팀의 Charlie가 X(Twitter)에서 맛보기로 공개한 자료에 의하면, HyperCore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Precompiles 기술을 활용하여 Felix 내에서 feUSD를 HLP 예치 / 현물 자산과 선물 포지션 트레이딩을 바로 진행할 수 있도록 자동화하는 기능을 추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통해 유저들이 복잡한 과정을 일일히 진행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 경험을 추상화하여 접근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조만간 테스트 버전이 오픈될 것으로 보이고, HyperEVM 생태계에서 가장 기대되는 프로젝트 중 하나이므로 관심있게 지켜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좀 더 구체적인 정보를 원하신다면 이전에 작성한 Dive into Hyperliquid Ecosystem dApp #1 / Felix Protocol 글을 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대출받은 스테이블코인의 활용처로는 Felix Stability Pools 예치, 즉 담보대출 풀에 예치하여 대출자의 이자율의 일부를 가져가고 청산 프로세스에 참여하여 청산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능이 언급되었습니다.
오늘 Felix 팀의 Charlie가 X(Twitter)에서 맛보기로 공개한 자료에 의하면, HyperCore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Precompiles 기술을 활용하여 Felix 내에서 feUSD를 HLP 예치 / 현물 자산과 선물 포지션 트레이딩을 바로 진행할 수 있도록 자동화하는 기능을 추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통해 유저들이 복잡한 과정을 일일히 진행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 경험을 추상화하여 접근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조만간 테스트 버전이 오픈될 것으로 보이고, HyperEVM 생태계에서 가장 기대되는 프로젝트 중 하나이므로 관심있게 지켜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좀 더 구체적인 정보를 원하신다면 이전에 작성한 Dive into Hyperliquid Ecosystem dApp #1 / Felix Protocol 글을 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16.04.202515:03
Moneybull님의 초대로 MegaMafia 프로젝트인 Showdown을 플레이해봤습니다.
게임 개요
- Showdown은 포커에 TCG 요소를 섞은 방식으로 100개의 칩을 먼저 모으면 승리하는 규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 라운드(Hand) 가 시작될 때 마다 포커 카드 2장, 액션 카드 3장 혹은 두장을 받습니다. (첫 번째 Hand에서는 3장, 그 이후에는 2장씩)
- 액션 카드는 본인의 패를 강화하거나 상대 패를 방해, 혹은 상대의 칩을 훔치는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모든 액션카드에는 칩 포인트가 정해져 있고 카드를 사용하면 해당 라운드의 판돈에 적혀진 칩의 수만큼 추가됩니다. 액션 카드들은 게임이 진행되는 동안 5장까지 누적해서 보유할 수 있고 현재 액션 카드 덱의 종류는 Rebel, Protector, Gambler, Cheater 4가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한 라운드는 3개의 단계(Street) 로 진행됩니다
Preflop - 초록색의 액션카드를 사용하거나 패스(Check)할 수 있는 단계
Flop - 공유 카드 3장을 오픈하고 빨간색의 액션 카드 사용 및 체크 혹은 폴드를 선택하는 단계, Flop부터 항복(Fold) 이 가능하며 폴드 시 팟에 있는 칩 포인트는 상대방이 전부 가져감, 둘다 콜할시 팟에 있는 칩 포인트는 두배가 됨
River - 공유 카드 2장 추가 공개 후 파란색의 액션 카드 사용 및 쇼다운으로 승부를 결정하는 단계
- 회색 액션 카드는 어느 단계에서든 사용이 가능합니다.
- 마지막 쇼다운에서는 자신의 패 2장, 공유 카드 5장 중 가장 높은 족보의 5장 조합으로 승부를 하고 이긴 사람이 팟의 칩 전부를 가져가고 비기면 스플릿을 하는 구조입니다.
플레이 후기
- 사람 매칭이 안되서 봇이랑 몇판 돌렸는데 조작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패가 잘붙음, 말도 안되는 욕심을 부리지 않는 한 거의 다 승리했던것 같음 (초심자 배려 모드..?)
- 굳이 웹3여야 될까? 이 프로젝트가 MegaETH의 인프라를 사용했을때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무엇일까? 다른 필드의 MegaMafia 프로젝트인 GTE나 Noise 같은 프로젝트들은 MegaETH여야 되는 이유가 존재했는데 Showdown은 같은 논리로 접근하기가 어려운것 같음
- 게임 자체는 재밌는 보드게임 정도의 수준은 충분히 되지만 개인적으로 Showdown이 MegaETH 게이밍 섹터의 간판인 점은 살짝 놀랍다고 생각이 듬
- MegaETH의 인프라를 가장 잘 이용할 수 있는 장르는 풀 온체인 게임이라고 생각하는데 Showdown은 FOCG TCG의 노선을 탈것 같지도, FOCG여야 되는 이유도 굳이 찾기 어렵지 않을까 싶네요
- 그리고 이미 웹3 TCG 시장은 과포화 상태이기 때문에 잘 되기 위해서는 정말 특별한 엣지가 필요하지 않을까..
게임 개요
- Showdown은 포커에 TCG 요소를 섞은 방식으로 100개의 칩을 먼저 모으면 승리하는 규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 라운드(Hand) 가 시작될 때 마다 포커 카드 2장, 액션 카드 3장 혹은 두장을 받습니다. (첫 번째 Hand에서는 3장, 그 이후에는 2장씩)
- 액션 카드는 본인의 패를 강화하거나 상대 패를 방해, 혹은 상대의 칩을 훔치는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모든 액션카드에는 칩 포인트가 정해져 있고 카드를 사용하면 해당 라운드의 판돈에 적혀진 칩의 수만큼 추가됩니다. 액션 카드들은 게임이 진행되는 동안 5장까지 누적해서 보유할 수 있고 현재 액션 카드 덱의 종류는 Rebel, Protector, Gambler, Cheater 4가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한 라운드는 3개의 단계(Street) 로 진행됩니다
Preflop - 초록색의 액션카드를 사용하거나 패스(Check)할 수 있는 단계
Flop - 공유 카드 3장을 오픈하고 빨간색의 액션 카드 사용 및 체크 혹은 폴드를 선택하는 단계, Flop부터 항복(Fold) 이 가능하며 폴드 시 팟에 있는 칩 포인트는 상대방이 전부 가져감, 둘다 콜할시 팟에 있는 칩 포인트는 두배가 됨
River - 공유 카드 2장 추가 공개 후 파란색의 액션 카드 사용 및 쇼다운으로 승부를 결정하는 단계
- 회색 액션 카드는 어느 단계에서든 사용이 가능합니다.
- 마지막 쇼다운에서는 자신의 패 2장, 공유 카드 5장 중 가장 높은 족보의 5장 조합으로 승부를 하고 이긴 사람이 팟의 칩 전부를 가져가고 비기면 스플릿을 하는 구조입니다.
플레이 후기
- 사람 매칭이 안되서 봇이랑 몇판 돌렸는데 조작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패가 잘붙음, 말도 안되는 욕심을 부리지 않는 한 거의 다 승리했던것 같음 (초심자 배려 모드..?)
- 굳이 웹3여야 될까? 이 프로젝트가 MegaETH의 인프라를 사용했을때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무엇일까? 다른 필드의 MegaMafia 프로젝트인 GTE나 Noise 같은 프로젝트들은 MegaETH여야 되는 이유가 존재했는데 Showdown은 같은 논리로 접근하기가 어려운것 같음
- 게임 자체는 재밌는 보드게임 정도의 수준은 충분히 되지만 개인적으로 Showdown이 MegaETH 게이밍 섹터의 간판인 점은 살짝 놀랍다고 생각이 듬
- MegaETH의 인프라를 가장 잘 이용할 수 있는 장르는 풀 온체인 게임이라고 생각하는데 Showdown은 FOCG TCG의 노선을 탈것 같지도, FOCG여야 되는 이유도 굳이 찾기 어렵지 않을까 싶네요
- 그리고 이미 웹3 TCG 시장은 과포화 상태이기 때문에 잘 되기 위해서는 정말 특별한 엣지가 필요하지 않을까..


09.04.202513:18
Artemis 기준 Annualized Revenue Top 5 L1 체인 비교
Fees / Market Cap 기준 상대 가치 (높을수록 좋음)
1. 2024년 4분기
- ETH: 1 (기준)
- TRX: 6.9
- SOL: 1.9
- BSC: 0.3
- Hyperliquid: 14.7
2. 2025년 1분기
- ETH: 1 (기준)
- TRX: 12.1
- SOL: 5.2
- BSC: 1
- Hyperliquid: 34.8
3. 2025년 2분기 추정치 (4월 1일 ~ 8일 데이터 유지 시)
- ETH: 1 (기준)
- TRX: 24.2
- SOL: 5.3
- BSC: 3.3
- Hyperliquid: 95.6
결론: Hyperliquid가 주요 L1 체인들 대비 저평가되어 있다.
SKYGG 채널
TG 공지방 | X | Substack
Fees / Market Cap 기준 상대 가치 (높을수록 좋음)
1. 2024년 4분기
- ETH: 1 (기준)
- TRX: 6.9
- SOL: 1.9
- BSC: 0.3
- Hyperliquid: 14.7
2. 2025년 1분기
- ETH: 1 (기준)
- TRX: 12.1
- SOL: 5.2
- BSC: 1
- Hyperliquid: 34.8
3. 2025년 2분기 추정치 (4월 1일 ~ 8일 데이터 유지 시)
- ETH: 1 (기준)
- TRX: 24.2
- SOL: 5.3
- BSC: 3.3
- Hyperliquid: 95.6
결론: Hyperliquid가 주요 L1 체인들 대비 저평가되어 있다.
SKYGG 채널
TG 공지방 | X | Substack
01.04.202506:33
Hyperliquid Discord에 거버넌스 채널이 생성되었으며, 게시 권한은 밸리데이터(or 지명)에 한정됩니다. 추후 HYPE 토큰 스테이킹의 혜택으로 확장될 것으로 보입니다.
첫 번째 논의는 Hyperliquid 선물 상장 폐지 자산 선정이며, 간단히 요약해보겠습니다.
- 자산의 시장 건전성과 유동성을 100점 만점으로 평가
- 평가 항목은 ▲시가총액 ▲스팟 거래량 ▲선물 거래량 ▲Hyperliquid 내 거래 활동 ▲Hyperliquid 내 유동성 5가지
- 각 항목당 20점씩 배분 & Hyperliquid 스팟에 상장된 자산에는 5점 보너스
- 외부 시장 지표와 내부 거래 데이터를 종합해, 조작 위험이 높거나 유동성이 부족한 자산을 선별하는 기준으로 활용
Proposal 전문
SKYGG 채널
TG 공지방 | X | Substack
첫 번째 논의는 Hyperliquid 선물 상장 폐지 자산 선정이며, 간단히 요약해보겠습니다.
1️⃣ Validator(B-Harvest) 제안
- 시총·거래량 기준의 상장폐지 위험성 지적
- DEX의 핵심은 수요 기반 상장, 혁신·커뮤니티 보호
- 대신, 유동성 깊이(슬리피지, 오더북 회복력) 중심 평가 제안
- HLP 제외 시 유동성도 별도로 측정 필요
2️⃣ Jeff (Founder)
- B-Harvest 입장 존중하나, Perp 시장의 조작 리스크 방지가 우선
- Stalequant 방법론은 출발점으로 충분, 명확히 기준 미달 자산은 상장폐지 투표 가능
- 일부 자산은 격리 Perp 전환도 고려 가능
- 평가 지표 개선 제안:
1. CEX 집합 1티어 제한
2. 기하평균 → 직관적 평균 사용
3. 글로벌 유동성도 일부 반영
3️⃣ 다른 Validator
- 유동성은 결국 수요의 함수.
- 수요 없고 외부 유동성도 낮은 자산에 유동성 유지 강제는 비효율·위험
- HLP 리스크 최소화 위해 상장폐지 필요
Stalequant 방법론이란?
- 자산의 시장 건전성과 유동성을 100점 만점으로 평가
- 평가 항목은 ▲시가총액 ▲스팟 거래량 ▲선물 거래량 ▲Hyperliquid 내 거래 활동 ▲Hyperliquid 내 유동성 5가지
- 각 항목당 20점씩 배분 & Hyperliquid 스팟에 상장된 자산에는 5점 보너스
- 외부 시장 지표와 내부 거래 데이터를 종합해, 조작 위험이 높거나 유동성이 부족한 자산을 선별하는 기준으로 활용
Proposal 전문
SKYGG 채널
TG 공지방 | X | Substack
Reposted from:
크립토 오프로드 (DYOR)

27.03.202507:29
개인적으로 젤리젤리 사건은 하이퍼리퀴드에게 이득이라고 생각
요즘 일이 바쁘고, 베라체인만 보느냐고 채널에 다양한 이야기를 하기는 어렵지만, 이번 하이퍼리퀴드 사건에 대해서 대부분 하이퍼리퀴드의 탈중앙화, 신뢰성에 문제로 베어리쉬한 관점을 많이 이야기하는 것 같아서 다른 관점에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함.
하이퍼리퀴드는 원래 탈중앙화를 강점으로 가져가려는 프로젝트는 아니였음. 심지어 계속해서 중앙화 리스크를 꾸준히 의심 받았고, 이번에도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 이런 단점은 개선할 수 있는 부분들이 충분히 있으며, 일단은 돈을 벌고 살아남는게 더 중요한 과제.
이번 젤리젤리 사건으로 인해 하이퍼리퀴드는 바이낸스가 견재할 만큼 거대한 플레이어 이미지가 생김. 그만큼 거래량도 많이 올라왔었고, 퍼프덱스 플레이도 잘하고 있었음.
상폐는 중앙화된 선택이었지만, 결국 유저 자금을 지키기 위한 빠른 선택을 한 것은 코어 유저들을 위한 정책이라 나쁘지 않았다고 생각함. 솔직히 완전한 탈중앙화 프로젝트가 나오기전에는 이런 이슈는 계속 나올 것이라서 제대로 된 탈중앙화 프로젝트가 나오는게 먼저라고 생각함. (가장 최근은 크립토닷컴의 재발행 거버넌스 논란)
크립토는 결국 관심이 꾸준히 지속되어야 된다고 생각하고 체급을 올려서 다양한 기회를 만들어야 된다고 생각하는데, 하이퍼리퀴드는 No VC 프로젝트로서 바이낸스의 견재를 받는 것은 충분히 의미가 있음. 이러한 관심은 HypEVM 생태계에까지 이어질 수 있음.
결국 하이퍼리퀴드는 모든 프로젝트에서 이야기 나오고 있는, 차후에 개선하면 되는 탈중앙화에 대한 문제가 다시 한 번 언급된 느낌이고, 그 외에는 관심도도 올라갔고, 바이낸스 견재로 체급이 올라갔다는 느낌도 보여주고, 문제도 빠르게 대처 잘한 것 같아서 이번 사건으로만 생각하면 이득이지 않을까? 생각.
참고로 저는 현재 HYPE를 포함한 하이퍼리퀴드 생태계에 투자하고 있지 않습니다.
요즘 일이 바쁘고, 베라체인만 보느냐고 채널에 다양한 이야기를 하기는 어렵지만, 이번 하이퍼리퀴드 사건에 대해서 대부분 하이퍼리퀴드의 탈중앙화, 신뢰성에 문제로 베어리쉬한 관점을 많이 이야기하는 것 같아서 다른 관점에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함.
하이퍼리퀴드는 원래 탈중앙화를 강점으로 가져가려는 프로젝트는 아니였음. 심지어 계속해서 중앙화 리스크를 꾸준히 의심 받았고, 이번에도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 이런 단점은 개선할 수 있는 부분들이 충분히 있으며, 일단은 돈을 벌고 살아남는게 더 중요한 과제.
이번 젤리젤리 사건으로 인해 하이퍼리퀴드는 바이낸스가 견재할 만큼 거대한 플레이어 이미지가 생김. 그만큼 거래량도 많이 올라왔었고, 퍼프덱스 플레이도 잘하고 있었음.
상폐는 중앙화된 선택이었지만, 결국 유저 자금을 지키기 위한 빠른 선택을 한 것은 코어 유저들을 위한 정책이라 나쁘지 않았다고 생각함. 솔직히 완전한 탈중앙화 프로젝트가 나오기전에는 이런 이슈는 계속 나올 것이라서 제대로 된 탈중앙화 프로젝트가 나오는게 먼저라고 생각함. (가장 최근은 크립토닷컴의 재발행 거버넌스 논란)
크립토는 결국 관심이 꾸준히 지속되어야 된다고 생각하고 체급을 올려서 다양한 기회를 만들어야 된다고 생각하는데, 하이퍼리퀴드는 No VC 프로젝트로서 바이낸스의 견재를 받는 것은 충분히 의미가 있음. 이러한 관심은 HypEVM 생태계에까지 이어질 수 있음.
결국 하이퍼리퀴드는 모든 프로젝트에서 이야기 나오고 있는, 차후에 개선하면 되는 탈중앙화에 대한 문제가 다시 한 번 언급된 느낌이고, 그 외에는 관심도도 올라갔고, 바이낸스 견재로 체급이 올라갔다는 느낌도 보여주고, 문제도 빠르게 대처 잘한 것 같아서 이번 사건으로만 생각하면 이득이지 않을까? 생각.
참고로 저는 현재 HYPE를 포함한 하이퍼리퀴드 생태계에 투자하고 있지 않습니다.
21.03.202500:54
Hyperliquid Names가 화이트리스트 단계에 이어, Phase 2인 페어 런치 - 경매 단계를 시작했습니다!
이제 누구나 원하는 .hl 이름을 얻기 위해 경매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Hyperliquid Names 측의 요청으로 한글 가이드를 준비했으니, 아래 가이드를 참고하시면 경매 참여 과정을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HL Names 민팅 노션 가이드
SKYGG 채널
TG 공지방 | X | Substack
이제 누구나 원하는 .hl 이름을 얻기 위해 경매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Hyperliquid Names 측의 요청으로 한글 가이드를 준비했으니, 아래 가이드를 참고하시면 경매 참여 과정을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HL Names 민팅 노션 가이드
SKYGG 채널
TG 공지방 | X | Substack
Shown 1 - 24 of 37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