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05.202509:54
#클래시스
시가총액이 4조원을 웃도는 미용기기 기업 클래시스는 경영권 지분(약 61%) 매각 진전이 한층 더딘 모습이다. 애초 예비입찰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진 외국계 사모펀드(PEF) 운용사 일부는 실제 입찰에 참가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https://m.mk.co.kr/amp/11306730
시가총액이 4조원을 웃도는 미용기기 기업 클래시스는 경영권 지분(약 61%) 매각 진전이 한층 더딘 모습이다. 애초 예비입찰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진 외국계 사모펀드(PEF) 운용사 일부는 실제 입찰에 참가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https://m.mk.co.kr/amp/11306730
28.04.202514:05
#InMode
- 업황 안 좋아진 것에 대해 매크로 금리가 아니라 처음으로 약해진 소비자 수요(weakend consumer demand) 언급
>> In Q1 2025, our performance reflected continued pressure from a challenging macroeconomic environment and weakened consumer demand
- 현재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10%의 관세로 인해 GPM 2~3% 정도 하락할 것으로 추정
>> Lastly, with U.S. tariffs at their current levels at 10%, we expect an impact of approximately 2%–3% on gross margins," Malca concluded.
- 미국이 아닌 해외 매출 비중 늘면서 OPM 4~5% 하락 추정
>> international markets accounted for a larger share of total revenue while the U.S. continued to experience challenging headwinds, resulting in a 4%–5% decline in operating margins.
>> 우리나라 업체들은 미국 등 수출 비중 늘어나면 오히려 P 증가하며 영업 레버리지 효과 나타나며 마진 상승
>> 미국 위주 사업 영위라는 InMode는 오히려 P가 상대적으로 낮은 해외 비중 늘어나자 반대의 모습 시현
- 추가 자사주 매입, 배당 증가, M&A 기회 모색하고 있다고 언급은 함
- 업황 안 좋아진 것에 대해 매크로 금리가 아니라 처음으로 약해진 소비자 수요(weakend consumer demand) 언급
>> In Q1 2025, our performance reflected continued pressure from a challenging macroeconomic environment and weakened consumer demand
- 현재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10%의 관세로 인해 GPM 2~3% 정도 하락할 것으로 추정
>> Lastly, with U.S. tariffs at their current levels at 10%, we expect an impact of approximately 2%–3% on gross margins," Malca concluded.
- 미국이 아닌 해외 매출 비중 늘면서 OPM 4~5% 하락 추정
>> international markets accounted for a larger share of total revenue while the U.S. continued to experience challenging headwinds, resulting in a 4%–5% decline in operating margins.
>> 우리나라 업체들은 미국 등 수출 비중 늘어나면 오히려 P 증가하며 영업 레버리지 효과 나타나며 마진 상승
>> 미국 위주 사업 영위라는 InMode는 오히려 P가 상대적으로 낮은 해외 비중 늘어나자 반대의 모습 시현
- 추가 자사주 매입, 배당 증가, M&A 기회 모색하고 있다고 언급은 함
Repost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8.04.202507:31
2025.04.28 16:29:12
기업명: 대웅제약(시가총액: 1조 5,097억)
보고서명: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3,162억(예상치 : 3,615억/ -13%)
영업익 : 420억(예상치 : 383억/ +10%)
순이익 : 292억(예상치 : 297억/ -2%)
**최근 실적 추이**
2025.1Q 3,162억/ 420억/ 292억
2024.4Q 3,679억/ 387억/ -115억
2024.3Q 3,585억/ 373억/ 283억
2024.2Q 3,605억/ 423억/ -13억
2024.1Q 3,358억/ 297억/ 79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880057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69620
기업명: 대웅제약(시가총액: 1조 5,097억)
보고서명: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3,162억(예상치 : 3,615억/ -13%)
영업익 : 420억(예상치 : 383억/ +10%)
순이익 : 292억(예상치 : 297억/ -2%)
**최근 실적 추이**
2025.1Q 3,162억/ 420억/ 292억
2024.4Q 3,679억/ 387억/ -115억
2024.3Q 3,585억/ 373억/ 283억
2024.2Q 3,605억/ 423억/ -13억
2024.1Q 3,358억/ 297억/ 79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880057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69620
27.04.202522:41
★ Intuitive Surgical (ISRG.US): 혁신은 관세를 찢어
[키움 의료기기 / 신민수]
◆ 애널리스트 코멘트
수술 로봇을 개발해서 상업화에 성공하며 의료 혁신을 주도하고 있는 Intuitive Surgical이 실적을 발표하였습니다.
매출액 $2.3B(YoY +19.0%), 매출총이익 $795M(YoY +23.3%, GPM 35.3%), 영업이익 $768M(YoY +21.9%, OPM 34.1%), 당기순이익 $662M(YoY +22.4%, NPM 29.4%)의 우수한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미국에서는 예산 문제 없이 수술 로봇 도입이 원활히 이뤄지고 있어 매출 성장률 YoY +24.2%를 기록하며 전사 실적 성장을 주도했습니다.
해외 지역에서도 매출액 YoY +9.7%의 양호한 흐름이 있었고, 한국 시장에서의 의료 파업 사태 완화로 인해 수술 건수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는 경영진의 언급이 있었습니다.
또한 관세 리스크가 있지만 오히려 수술 로봇은 더 많이 활용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수술 건수 YoY 성장률을 +15% ~ 17%로 상향 조정(기존 +13% ~ +16%)하였습니다.
`25년 매출총이익률 가이던스는 65.0% ~ 65.5% 수준으로, `24년 69.1%보다 낮아질 것으로 제시하였습니다.
이는 관세로 인해 매출액의 약 1.7%에 해당하는 이익이 줄어들 것이라고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경영진은 관세 영향의 50%는 중국, 40%는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원자재를 조달할 때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키움증권 신민수 의료기기 기록보관소 → https://t.me/sms_archive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C924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키움 의료기기 / 신민수]
◆ 애널리스트 코멘트
수술 로봇을 개발해서 상업화에 성공하며 의료 혁신을 주도하고 있는 Intuitive Surgical이 실적을 발표하였습니다.
매출액 $2.3B(YoY +19.0%), 매출총이익 $795M(YoY +23.3%, GPM 35.3%), 영업이익 $768M(YoY +21.9%, OPM 34.1%), 당기순이익 $662M(YoY +22.4%, NPM 29.4%)의 우수한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미국에서는 예산 문제 없이 수술 로봇 도입이 원활히 이뤄지고 있어 매출 성장률 YoY +24.2%를 기록하며 전사 실적 성장을 주도했습니다.
해외 지역에서도 매출액 YoY +9.7%의 양호한 흐름이 있었고, 한국 시장에서의 의료 파업 사태 완화로 인해 수술 건수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는 경영진의 언급이 있었습니다.
또한 관세 리스크가 있지만 오히려 수술 로봇은 더 많이 활용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수술 건수 YoY 성장률을 +15% ~ 17%로 상향 조정(기존 +13% ~ +16%)하였습니다.
`25년 매출총이익률 가이던스는 65.0% ~ 65.5% 수준으로, `24년 69.1%보다 낮아질 것으로 제시하였습니다.
이는 관세로 인해 매출액의 약 1.7%에 해당하는 이익이 줄어들 것이라고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경영진은 관세 영향의 50%는 중국, 40%는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원자재를 조달할 때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키움증권 신민수 의료기기 기록보관소 → https://t.me/sms_archive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C924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Reposted from:
루닛(Lunit) IR 공식채널

23.04.202523:51
루닛은 다음달 열리는 2025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2025)에서 AI 바이오마커 '루닛 스코프'를 활용한 연구초록 12편을 발표합니다.
이번 학회에서 루닛은 일본 최고의 암 전문병원 '일본 국립암센터'와 담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엔허투(Enhertu)'의 효과를 예측합니다.
또한, 루닛 스코프가 정밀의학 및 암 치료결정 과정에 필요한 바이오마커로서 제 역할을 다한 다양한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이번 학회에서 루닛은 일본 최고의 암 전문병원 '일본 국립암센터'와 담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엔허투(Enhertu)'의 효과를 예측합니다.
또한, 루닛 스코프가 정밀의학 및 암 치료결정 과정에 필요한 바이오마커로서 제 역할을 다한 다양한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23.04.202522:43
[키움 신민수] Tempus AI, AstraZeneca와 Pathos AI와 함께 암 진단 모델 관련 $200M 계약 발표하며 주가 +14.6% 상승
- 신규 항암제 개발을 위한 데이터 종양(oncology) multimodal 파운데이션 모델 관련 계약 체결
>> 다양한 데이터 유형으로부터 익명의 결과물들을 처리하고 생성할 수 있는 모델
>> 해당 AI 모델을 생물학 및 임상 인사이트, 신규 약물 타깃 발굴, 신규 후보 물질 개발 등에 사용할 예정
- Tempus AI는 이번 계약을 통해 데이터 라이선스, 모델 개발 관련 비용으로 $200M을 받을 예정
- `21년부터 전략적 협업을 AstraZeneca와 진행해왔던 Tempus AI
>> 해외 헬스케어 업체와 유의미한 계약이 체결되기 이전에는 이런 식으로 협업 관계를 구축하는 사전 빌드업 과정이 진행되었던 경우가 많음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tempus-ai-line-200m-astrazeneca-pathos-deal-develop-cancer-model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423683527/en/Tempus-Signs-Expanded-Strategic-Agreements-with-AstraZeneca-and-Pathos-to-Develop-the-Largest-Multimodal-Foundation-Model-in-Oncology
- 신규 항암제 개발을 위한 데이터 종양(oncology) multimodal 파운데이션 모델 관련 계약 체결
>> 다양한 데이터 유형으로부터 익명의 결과물들을 처리하고 생성할 수 있는 모델
>> 해당 AI 모델을 생물학 및 임상 인사이트, 신규 약물 타깃 발굴, 신규 후보 물질 개발 등에 사용할 예정
- Tempus AI는 이번 계약을 통해 데이터 라이선스, 모델 개발 관련 비용으로 $200M을 받을 예정
- `21년부터 전략적 협업을 AstraZeneca와 진행해왔던 Tempus AI
>> 해외 헬스케어 업체와 유의미한 계약이 체결되기 이전에는 이런 식으로 협업 관계를 구축하는 사전 빌드업 과정이 진행되었던 경우가 많음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tempus-ai-line-200m-astrazeneca-pathos-deal-develop-cancer-model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423683527/en/Tempus-Signs-Expanded-Strategic-Agreements-with-AstraZeneca-and-Pathos-to-Develop-the-Largest-Multimodal-Foundation-Model-in-Oncology
01.05.202509:38
[키움 신민수] Roche, AI 기반 폐암 동반진단 검사 FDA 혁신의료기기 지정(BDD) 획득
- 향후 FDA의 인증을 받은 최초의 AI 기반 비소세포폐암(NSCLC) 동반 진단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회사는 기대하고 있음
>> 'Ventana TROP2 RxDx Device'는 면역 조직 화학(IHC) 염색 키트, 장비, 디지털 병리 스캐너, 이미지 플랫폼, AI 알고리즘 등을 모두 포함
>> 조직 슬라이드 이미지를 읽고 정량적으로 TROP2 점수 제공
- AstraZeneca-Daiichi Sankyo가 개발한 ADC 치료제 'Datroway'의 혜택을 볼 수 있는 환자군을 선별하는 데에 쓰일 예정
>> 'Datroway'는 250113 FDA로부터 EGFR 변이 NSCLC 환자 대상 우선 심사(Priority Review) 지위를 획득한 바 있음
https://www.fiercebiotech.com/medtech/roche-receives-fda-breakthrough-label-ai-powered-lung-cancer-companion-diagnostic-test
- 향후 FDA의 인증을 받은 최초의 AI 기반 비소세포폐암(NSCLC) 동반 진단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회사는 기대하고 있음
>> 'Ventana TROP2 RxDx Device'는 면역 조직 화학(IHC) 염색 키트, 장비, 디지털 병리 스캐너, 이미지 플랫폼, AI 알고리즘 등을 모두 포함
>> 조직 슬라이드 이미지를 읽고 정량적으로 TROP2 점수 제공
- AstraZeneca-Daiichi Sankyo가 개발한 ADC 치료제 'Datroway'의 혜택을 볼 수 있는 환자군을 선별하는 데에 쓰일 예정
>> 'Datroway'는 250113 FDA로부터 EGFR 변이 NSCLC 환자 대상 우선 심사(Priority Review) 지위를 획득한 바 있음
https://www.fiercebiotech.com/medtech/roche-receives-fda-breakthrough-label-ai-powered-lung-cancer-companion-diagnostic-test
28.04.202513:55
[키움 신민수] InMode가 또
- 에너지 기반 피부 미용 장비(EBD) 대장으로 군림했던 InMode 실망스러운 1Q25 실적과 수익성 가이던스 하향 조정으로 실시간 주가 11.28% 하락
>> 과거 시제인 이유는 시가총액, 밸류에이션 모두 국내 업체에게 뒤처진 지 2년째이기 때문
- 1Q25 매출액 $79.3M(YoY -3.0%)
>> 소모품 및 서비스 매출액 $20.2M(YoY -10.0%)
- 1Q25 GAAP GPM 78% (vs. 1Q24 80%)
>> 자랑하던 수익성마저 역성장
>> non-GAAP GPM도 79% (vs. 1Q24 80%)
- 1Q25 GAAP OPM 20% (vs. 1Q24 23%)
>> non-GAAP OPM도 23% (vs. 1Q24 27%)
>> 신제품 출시에 따른 마케팅비 증가로 영업이익률 하락
- 25년 매출액 가이던스는 유지($395-405M, YoY flat)
>> non-GAAP GPM 연간 가이던스 78~80%로 하향 (vs. 기존 80~82%)
>> non-GAAP 영업이익도 $101~106M(YoY -21.7%)으로 하향 (vs. 기존 $130~135M)
>> non-GAAP EPS도 $1.64~1.68(YoY -8.9%)로 하향 (vs. 기존 $1.95~1.99)
- 엎친데 덮친 격으로 이스라엘-하마스 휴전(ceasefire)도 3월부터 수포로 돌아가 소규모 전투들 발생 중
>> 제조 및 연구시설 활동 유지하는 것은 가능하다는 회사의 입장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inmode-reports-first-quarter-2025-financial-results-quarterly-revenue-of-77-9-million-represents-3-year-over-year-decrease-302439156.html
- 에너지 기반 피부 미용 장비(EBD) 대장으로 군림했던 InMode 실망스러운 1Q25 실적과 수익성 가이던스 하향 조정으로 실시간 주가 11.28% 하락
>> 과거 시제인 이유는 시가총액, 밸류에이션 모두 국내 업체에게 뒤처진 지 2년째이기 때문
- 1Q25 매출액 $79.3M(YoY -3.0%)
>> 소모품 및 서비스 매출액 $20.2M(YoY -10.0%)
- 1Q25 GAAP GPM 78% (vs. 1Q24 80%)
>> 자랑하던 수익성마저 역성장
>> non-GAAP GPM도 79% (vs. 1Q24 80%)
- 1Q25 GAAP OPM 20% (vs. 1Q24 23%)
>> non-GAAP OPM도 23% (vs. 1Q24 27%)
>> 신제품 출시에 따른 마케팅비 증가로 영업이익률 하락
- 25년 매출액 가이던스는 유지($395-405M, YoY flat)
>> non-GAAP GPM 연간 가이던스 78~80%로 하향 (vs. 기존 80~82%)
>> non-GAAP 영업이익도 $101~106M(YoY -21.7%)으로 하향 (vs. 기존 $130~135M)
>> non-GAAP EPS도 $1.64~1.68(YoY -8.9%)로 하향 (vs. 기존 $1.95~1.99)
- 엎친데 덮친 격으로 이스라엘-하마스 휴전(ceasefire)도 3월부터 수포로 돌아가 소규모 전투들 발생 중
>> 제조 및 연구시설 활동 유지하는 것은 가능하다는 회사의 입장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inmode-reports-first-quarter-2025-financial-results-quarterly-revenue-of-77-9-million-represents-3-year-over-year-decrease-302439156.html
28.04.202504:12
#파마리서치
- 최근 독일과 알바니아 등 유럽 일부 국가에서 주력 제품인 리쥬란의 직접 판매를 시작했다. 다만 주요 국가에서 기존 대리점 유통망은 당분간 유지
https://www.autodaily.co.kr/news/articleViewAmp.html?idxno=530491
- 최근 독일과 알바니아 등 유럽 일부 국가에서 주력 제품인 리쥬란의 직접 판매를 시작했다. 다만 주요 국가에서 기존 대리점 유통망은 당분간 유지
https://www.autodaily.co.kr/news/articleViewAmp.html?idxno=530491
23.04.202523:51
#루닛
22.04.202506:00
[키움 신민수] 중국 피부미용 주사 시장 선도하는 대한민국
- KOTRA에서 관련 산업 트렌드 보고서 발간
>> 특히 `21년 이후 주요 기업들의 신제품 출시, NMPA의 여러 주사제 원료 승인 등을 통해 큰 성장 맞이하는 중
>> 주요 미용 주사 재료 4가지의 비중은 히알루론산(36%)과 보툴리눔 톡신(29%), 콜라겐(19%), 재생 재료(16%)순
# 히알루론산(HA) 성분
- 2024년 말 기준 중국 NMPA는 32개사 74개 품목의 주사용 HA 제품 승인
>> 수입 제품으로는 한국 1등(15건), 미국 2등(9건), 스웨덴 3등(7건)
>> 미국의 AbbVie(Allergan Aesthetics), 스웨덴의 Q-Med, 우리나라의 휴메딕스 등이 대표 브랜드로 언급됨
>> 중국 로컬 제품들은 최저가 200위안(약 40,000원)부터 시작하는 중소분자 제품에 주로 초점 맞추고 있음 vs. AbbVie는 10,000위안(약 2백만 원) 이상 프리미엄 시장 장악
# 보툴리눔 톡신
- 2024년 말 기준 중국 국NMPA는 총 6개 사 10개 제품을 주사형 보톡스 승인
>> AbbVie의 'Botox'가 시장 개화시키며 M/S 1등이었으나, 휴젤의 'Letybo'가 출시 후 5년 만에 가성비를 강점으로 내세우며 중국 M/S 선두 달성
>> Imeik(爱美客)와 휴온스가 합작한 '휴톡스' 중국 NMPA `24년 7월 승인 절차 시작
>> 대웅바이오의 '나보타'(Nabota)는 2025년에 출시 가능성 존재
>> 화동제약(华东医药)의 A형 재조합 보톡스는 등록 단계를 앞둔 상황
# 콜라겐
- 2024년 말 기준 중국 시장에는 5개 기업 8개 제품만 상용화된 상황
>> 중국 로컬 5개사가 제품 개발 중으로 `25년 허가 품목 늘어날 가능성 있음
# 재생소재(CaHA, PLLA, PCL 등)
>> PLLA 기반 제품은 '동안 필러', PCL 기반 제품은 '소녀 필러'로 명명되어 인지도 제고 중
>> 2024년 현재까지 총 9개 사 11개 제품이 중국에서 재생 주사제 등록증 획득(`24년에만 4개 제품이 허가됨)
# 굳건히 좋을 의료 관광 추세
- 아래와 같은 멘트로 보고서 마무리됨
>> "중국 각종 인터넷 플랫폼에서는 중국 소비자들이 미용 시술을 하러 주말에 한국으로 몰려든다는 보도가 쏟아지고 관련 팁과 경험을 곳곳에서 볼 수 있다. 향후 중국 관광객들을 향한 단계적 무비자 정책이 점차 개방되며 중국의 단기 의료 미용 관광 역시 더욱 촉진될 것"
https://dream.kotra.or.kr/dream/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2&MENU_ID=3550&bbsSn=243&pNttSn=228231&CONTENTS_NO=1#:~:text=%EB%8C%80%ED%91%9C%EC%A0%81%EC%9D%B8%20%EB%B8%8C%EB%9E%9C%EB%93%9C%EB%A1%9C%EB%8A%94%20%EB%AF%B8%EA%B5%AD,(Humedix)%20%EB%93%B1%EC%9D%B4%20%EC%9E%88%EB%8B%A4.
- KOTRA에서 관련 산업 트렌드 보고서 발간
>> 특히 `21년 이후 주요 기업들의 신제품 출시, NMPA의 여러 주사제 원료 승인 등을 통해 큰 성장 맞이하는 중
>> 주요 미용 주사 재료 4가지의 비중은 히알루론산(36%)과 보툴리눔 톡신(29%), 콜라겐(19%), 재생 재료(16%)순
# 히알루론산(HA) 성분
- 2024년 말 기준 중국 NMPA는 32개사 74개 품목의 주사용 HA 제품 승인
>> 수입 제품으로는 한국 1등(15건), 미국 2등(9건), 스웨덴 3등(7건)
>> 미국의 AbbVie(Allergan Aesthetics), 스웨덴의 Q-Med, 우리나라의 휴메딕스 등이 대표 브랜드로 언급됨
>> 중국 로컬 제품들은 최저가 200위안(약 40,000원)부터 시작하는 중소분자 제품에 주로 초점 맞추고 있음 vs. AbbVie는 10,000위안(약 2백만 원) 이상 프리미엄 시장 장악
# 보툴리눔 톡신
- 2024년 말 기준 중국 국NMPA는 총 6개 사 10개 제품을 주사형 보톡스 승인
>> AbbVie의 'Botox'가 시장 개화시키며 M/S 1등이었으나, 휴젤의 'Letybo'가 출시 후 5년 만에 가성비를 강점으로 내세우며 중국 M/S 선두 달성
>> Imeik(爱美客)와 휴온스가 합작한 '휴톡스' 중국 NMPA `24년 7월 승인 절차 시작
>> 대웅바이오의 '나보타'(Nabota)는 2025년에 출시 가능성 존재
>> 화동제약(华东医药)의 A형 재조합 보톡스는 등록 단계를 앞둔 상황
# 콜라겐
- 2024년 말 기준 중국 시장에는 5개 기업 8개 제품만 상용화된 상황
>> 중국 로컬 5개사가 제품 개발 중으로 `25년 허가 품목 늘어날 가능성 있음
# 재생소재(CaHA, PLLA, PCL 등)
>> PLLA 기반 제품은 '동안 필러', PCL 기반 제품은 '소녀 필러'로 명명되어 인지도 제고 중
>> 2024년 현재까지 총 9개 사 11개 제품이 중국에서 재생 주사제 등록증 획득(`24년에만 4개 제품이 허가됨)
# 굳건히 좋을 의료 관광 추세
- 아래와 같은 멘트로 보고서 마무리됨
>> "중국 각종 인터넷 플랫폼에서는 중국 소비자들이 미용 시술을 하러 주말에 한국으로 몰려든다는 보도가 쏟아지고 관련 팁과 경험을 곳곳에서 볼 수 있다. 향후 중국 관광객들을 향한 단계적 무비자 정책이 점차 개방되며 중국의 단기 의료 미용 관광 역시 더욱 촉진될 것"
https://dream.kotra.or.kr/dream/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2&MENU_ID=3550&bbsSn=243&pNttSn=228231&CONTENTS_NO=1#:~:text=%EB%8C%80%ED%91%9C%EC%A0%81%EC%9D%B8%20%EB%B8%8C%EB%9E%9C%EB%93%9C%EB%A1%9C%EB%8A%94%20%EB%AF%B8%EA%B5%AD,(Humedix)%20%EB%93%B1%EC%9D%B4%20%EC%9E%88%EB%8B%A4.
29.04.202512:37
[키움 신민수] Wegovy 파트너십 계약 맺은 미국 회사들 pre-market 급등
- 실시간 pre-market에서 Hims & Hers Helath +28.8%, LifeMD +25.5%급등 중
>> Novo Nordisk도 +3.4%
- 이유는 Novo Nordisk의 비만 치료제 ‘Wegovy’ 파트너십 체결 때문
>> 기존 유통 채널: 약국, Novo Nordisk 직판 채널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hims-hers-partners-with-novo-nordisk-sell-wegovy-its-platform-2025-04-29/
#HIMS #LFMD #NVO
- 실시간 pre-market에서 Hims & Hers Helath +28.8%, LifeMD +25.5%급등 중
>> Novo Nordisk도 +3.4%
- 이유는 Novo Nordisk의 비만 치료제 ‘Wegovy’ 파트너십 체결 때문
>> 기존 유통 채널: 약국, Novo Nordisk 직판 채널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hims-hers-partners-with-novo-nordisk-sell-wegovy-its-platform-2025-04-29/
#HIMS #LFMD #NVO
28.04.202507:39
[키움 신민수] Allergan의 'Botox', 또 미국에서 YoY 큰 폭으로 역성장
- 미용 톡신 'Botox Cosmetic' 1Q25 매출액 $556M(YoY -12.3%)
>> 미국 매출액 $295M(YoY -24.3%) + 해외 매출액 $261M(YoY +6.9%)
>> 국내 업체들에게 좋게 보면 M/S 가져올 기회, 나쁘게 보면 전반적인 시장 침체
- 치료 톡신 'Botox Therapeutic' 1Q25 매출액 $866M(YoY +15.8%)
>> 미국 매출액 $723M(YoY +18.2%) + 해외 매출액 $143M(YoY +4.8%)
- HA 필러 'Juvederm' 1Q25 매출액 $231M(YoY -22.2%)
>> 미국 매출액 $75M(YoY -29.0%) + 해외 매출액 $156M(YoY -18.5%)
- 기타 미용 제품군 1Q25 매출액 $315M(YoY flat)
>> 미국 매출액 $270M(YoY -3.5%) + 해외 매출액 $45M(YoY +18.1%)
- E형 보툴리눔 톡신 제품 trenibotulinumtoxinE BLA 허가 신청 FDA에 제출
>> E형은 A형과 다르게 지속 기간 2~3주로 짧지만 시술 후 8시간 후부터 바로 효능 나타나는 특징으로 소비자의 다양한 수요 충족 가능함
>> 허가 획득 시, E형 톡신으로는 최초로 상업화 무대 진출 성공하는 케이스
- Allergan Aesthetics는 미국에 최신식 AMI(Allergan Medical Institute) 시설 3개소 오픈
>> 에스테틱 제품 제공자들을 트레이닝하는 시설
https://investors.abbvie.com/news-releases/news-release-details/abbvie-reports-first-quarter-2025-financial-results
- 미용 톡신 'Botox Cosmetic' 1Q25 매출액 $556M(YoY -12.3%)
>> 미국 매출액 $295M(YoY -24.3%) + 해외 매출액 $261M(YoY +6.9%)
>> 국내 업체들에게 좋게 보면 M/S 가져올 기회, 나쁘게 보면 전반적인 시장 침체
- 치료 톡신 'Botox Therapeutic' 1Q25 매출액 $866M(YoY +15.8%)
>> 미국 매출액 $723M(YoY +18.2%) + 해외 매출액 $143M(YoY +4.8%)
- HA 필러 'Juvederm' 1Q25 매출액 $231M(YoY -22.2%)
>> 미국 매출액 $75M(YoY -29.0%) + 해외 매출액 $156M(YoY -18.5%)
- 기타 미용 제품군 1Q25 매출액 $315M(YoY flat)
>> 미국 매출액 $270M(YoY -3.5%) + 해외 매출액 $45M(YoY +18.1%)
- E형 보툴리눔 톡신 제품 trenibotulinumtoxinE BLA 허가 신청 FDA에 제출
>> E형은 A형과 다르게 지속 기간 2~3주로 짧지만 시술 후 8시간 후부터 바로 효능 나타나는 특징으로 소비자의 다양한 수요 충족 가능함
>> 허가 획득 시, E형 톡신으로는 최초로 상업화 무대 진출 성공하는 케이스
- Allergan Aesthetics는 미국에 최신식 AMI(Allergan Medical Institute) 시설 3개소 오픈
>> 에스테틱 제품 제공자들을 트레이닝하는 시설
https://investors.abbvie.com/news-releases/news-release-details/abbvie-reports-first-quarter-2025-financial-results
Repost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8.04.202502:04
2025.04.28 10:59:41
기업명: HK이노엔(시가총액: 1조 1,955억)
보고서명: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2,474억(예상치 : 2,447억+/ 1%)
영업익 : 254억(예상치 : 249억/ +2%)
순이익 : 174억(예상치 : 169억+/ 3%)
**최근 실적 추이**
2025.1Q 2,474억/ 254억/ 174억
2024.4Q 2,358억/ 244억/ 192억
2024.3Q 2,295억/ 222억/ 145억
2024.2Q 2,193억/ 243억/ 174억
2024.1Q 2,126억/ 173억/ 105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890016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95940
기업명: HK이노엔(시가총액: 1조 1,955억)
보고서명: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2,474억(예상치 : 2,447억+/ 1%)
영업익 : 254억(예상치 : 249억/ +2%)
순이익 : 174억(예상치 : 169억+/ 3%)
**최근 실적 추이**
2025.1Q 2,474억/ 254억/ 174억
2024.4Q 2,358억/ 244억/ 192억
2024.3Q 2,295억/ 222억/ 145억
2024.2Q 2,193억/ 243억/ 174억
2024.1Q 2,126억/ 173억/ 105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890016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95940


23.04.202523:32
#HK이노엔 pre-market 실시간 +25%
22.04.202500:37
#대웅제약
- 목표액(900억 원) 대비 6배 많은 자금 확보(5,850억 원 매수 주문)
>> 2년물 400억 원 모집 예정이었는데 2,100억 원 매수 주문
>> 3년물 500억 원 모집 예정이었는데 3,750억 원 매수 주문
- 이전 기사에 나왔던 것처럼 최대 1,800억 원으로 증액발행 고려 중
https://www.donga.com/news/amp/all/20250421/131459596/1
- 목표액(900억 원) 대비 6배 많은 자금 확보(5,850억 원 매수 주문)
>> 2년물 400억 원 모집 예정이었는데 2,100억 원 매수 주문
>> 3년물 500억 원 모집 예정이었는데 3,750억 원 매수 주문
- 이전 기사에 나왔던 것처럼 최대 1,800억 원으로 증액발행 고려 중
https://www.donga.com/news/amp/all/20250421/131459596/1
28.04.202514:07
지금까지의 미국 업체들
1. 대체로 관세로 인해 실적 가이던스 크게 안 건드림
1-1. 건드린다면 마진을 하향 조정함
2. 미국 에스테틱은 현재까지 1Q25나 2024년이나 비슷하게 어려움
1. 대체로 관세로 인해 실적 가이던스 크게 안 건드림
1-1. 건드린다면 마진을 하향 조정함
2. 미국 에스테틱은 현재까지 1Q25나 2024년이나 비슷하게 어려움
28.04.202507:32
#대웅제약
연결 기준 실적
매출액: 3,516억
영업이익: 383억
당기순이익: 204억
당사 추정치
매출액: 3,557억
영업이익: 365억
당기순이익: 276억
시장 컨센서스
매출액: 3,601억
영업이익: 382억
당기순이익: 296억
연결 기준 실적
매출액: 3,516억
영업이익: 383억
당기순이익: 204억
당사 추정치
매출액: 3,557억
영업이익: 365억
당기순이익: 276억
시장 컨센서스
매출액: 3,601억
영업이익: 382억
당기순이익: 296억


28.04.202501:15
[키움 신민수] 미국 의료기기 업체들, 관세 영향 잘 버틸 수 있을지도
- 대부분 실적 가이던스 유지하는 중
- 2H25부터 본격적인 영향 있을 것으로 관측하는 회사도 있음
>> 관세와 무관하게 업황이 쭉 견고하다고 주장하는 업체는 별로 없음
>> 정책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실제로 수치로 반영되기 전까지 산출이 어려운 것도 사실
- 의료기기 산업 단체 AdvaMed가 꾸준히 의료기기 관세 품목 제외에 대해서 어필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뚜렷한 업데이트 없는 상황
- 대부분 실적 가이던스 유지하는 중
- 2H25부터 본격적인 영향 있을 것으로 관측하는 회사도 있음
>> 관세와 무관하게 업황이 쭉 견고하다고 주장하는 업체는 별로 없음
>> 정책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실제로 수치로 반영되기 전까지 산출이 어려운 것도 사실
- 의료기기 산업 단체 AdvaMed가 꾸준히 의료기기 관세 품목 제외에 대해서 어필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뚜렷한 업데이트 없는 상황
24.04.202501:39
[키움 신민수] 루닛, 미국 외래 환자 진단 이미징 센터 운영하는 SimonMed Imaging과 유방암 진단 AI 솔루션 파트너십 체결
- 미국 FDA 허가 받은 유방조영술 AI 솔루션 'Lunit INSIGHT DBT' 관련 계약 체결
>> 루닛의 자회사인 Volpara의 'Volpara Analytics'와 같이 적용되는 구조로 환자들을 도와줄 예정
>> SimonMed Imaging의 'Personalized Breast Cancer Detection'(PBCD) 서비스와 정밀하게 데이터 기반 스크리닝 작업 수행 계획
- SimonMed Imaging은 미국 전역에서 170개의 이미징 센터를 운영하고 있음
>> 200명의 영상 의학 전문의들이 일하고 있음 (3T MRI, 초음파, 3D 유방조영술, PET/CT, 엑스레이 등 촬영)
>> RadNet과 영위하고 있는 외래 환자 진단 사업과 비슷함. RadNet은 미국 전역에서 400개소의 이미징 센터를 운영하고 있어 규모 측면에서는 RadNet이 조금 더 앞서고 있는 상황
>> 이미징 센터가 위치한 지역이 주로 캘리포니아, 로스엔젤레스 등 RadNet과 비슷한 점이 있음
>> SimonMed Imaging은 비상장사이지만, 운영 중인 센터 위치가 비슷하기에 대형 산불 영향으로 인해 RadNet처럼 4Q25~1Q25 영업은 쉽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 가능
- 이전에 말했던 것처럼 RadNet과 루닛이 미국 시장을 공략하는 방향은 정반대
>> 루닛: AI 진단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하드웨어 및 이미징 센터로의 침투
>> RadNet: 원래 이미징 센터를 운영하고 있었는데, AI 업체를 인수하여 소프트웨어 개발 및 내재화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simonmed-imaging-partners-with-lunit-to-deliver-best-in-class-ai-for-breast-cancer-detection-302435715.html
#루닛
- 미국 FDA 허가 받은 유방조영술 AI 솔루션 'Lunit INSIGHT DBT' 관련 계약 체결
>> 루닛의 자회사인 Volpara의 'Volpara Analytics'와 같이 적용되는 구조로 환자들을 도와줄 예정
>> SimonMed Imaging의 'Personalized Breast Cancer Detection'(PBCD) 서비스와 정밀하게 데이터 기반 스크리닝 작업 수행 계획
- SimonMed Imaging은 미국 전역에서 170개의 이미징 센터를 운영하고 있음
>> 200명의 영상 의학 전문의들이 일하고 있음 (3T MRI, 초음파, 3D 유방조영술, PET/CT, 엑스레이 등 촬영)
>> RadNet과 영위하고 있는 외래 환자 진단 사업과 비슷함. RadNet은 미국 전역에서 400개소의 이미징 센터를 운영하고 있어 규모 측면에서는 RadNet이 조금 더 앞서고 있는 상황
>> 이미징 센터가 위치한 지역이 주로 캘리포니아, 로스엔젤레스 등 RadNet과 비슷한 점이 있음
>> SimonMed Imaging은 비상장사이지만, 운영 중인 센터 위치가 비슷하기에 대형 산불 영향으로 인해 RadNet처럼 4Q25~1Q25 영업은 쉽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 가능
- 이전에 말했던 것처럼 RadNet과 루닛이 미국 시장을 공략하는 방향은 정반대
>> 루닛: AI 진단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하드웨어 및 이미징 센터로의 침투
>> RadNet: 원래 이미징 센터를 운영하고 있었는데, AI 업체를 인수하여 소프트웨어 개발 및 내재화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simonmed-imaging-partners-with-lunit-to-deliver-best-in-class-ai-for-breast-cancer-detection-302435715.html
#루닛
Reposted from:
HK이노엔(195940) IR & PR 공식채널

23.04.202523:32
안녕하십니까 HK이노엔 IR팀입니다.
금일 새벽 당사 케이캡의 미국 파트너사 Sebela가 미국에서 진행된 두가지 임상3상(미란성식도염, 비미란성식도염)의 주요결과 및 향후 계획을 발표하여 내용을 안내드립니다.
두가지 임상에서 케이캡(테고프라잔)은 1차 및 2차 평가지표를 모두 충족하였고, 미란성 식도염 임상에서 미란성 식도염 전체 환자군과 중등도 이상의 식도염(LA 등급 C, D)환자군 모두의 2주 및 8주차 치유율에서 PPI(란소프라졸) 대비 통계적 우월성(Superiority)을 입증했습니다. 비미란성식도염의 경우 가슴쓰림 뿐만 아니라 위산 역류 모두에서 완전한 증상 개선 효과(Complete symptom relief)를 확인했습니다.
해당 임상결과에 대해서 미국 아이비리그 와일 코넬 의과대학 펠리스 슈놀-서스먼 박사와 미국소화기내시경학회 회장 프라티크 샤르마 박사는 케이캡(테고프라잔)의 우월한 임상데이터와 가슴쓰림 뿐만 아니라 약물 중 유일하게 위산 역류 증상까지 줄여주는 차별적인 효과에 대해 극찬하였습니다.
파트너사는 위 두가지 임상성과에 이어 3분기 중 유지요법 임상을 마무리하고, 금년 4분기에 미국 FDA에 미란성식도염 및 비미란성식도염 적응증으로 신약허가신청(NDA)를 제출할 계획을 명확히 하였으며, 이번 임상(TRIUMph) 연구 결과를 권위있는 학술지에 투고하고, 주요 소화기학회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HK이노엔은 케이캡 글로벌 진출의 큰 변혁점이 될 미국에서의 임상 성공을 안내드릴 수 있어 매우 뜻깊으며, 글로벌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잡을 것을 확신합니다.
관련 보도자료 링크
Sebela pharmaceuticals :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sebela-pharmaceuticals-announces-positive-topline-results-from-phase-3-triumph-program-of-tegoprazan-in-gerd-302435337.html
HKinnoN : https://www.inno-n.com/pr/news/view/1/1031?sch_text=
추가적인 문의사항은 HK이노엔 IR팀으로 연락주십시오. 감사합니다.
금일 새벽 당사 케이캡의 미국 파트너사 Sebela가 미국에서 진행된 두가지 임상3상(미란성식도염, 비미란성식도염)의 주요결과 및 향후 계획을 발표하여 내용을 안내드립니다.
두가지 임상에서 케이캡(테고프라잔)은 1차 및 2차 평가지표를 모두 충족하였고, 미란성 식도염 임상에서 미란성 식도염 전체 환자군과 중등도 이상의 식도염(LA 등급 C, D)환자군 모두의 2주 및 8주차 치유율에서 PPI(란소프라졸) 대비 통계적 우월성(Superiority)을 입증했습니다. 비미란성식도염의 경우 가슴쓰림 뿐만 아니라 위산 역류 모두에서 완전한 증상 개선 효과(Complete symptom relief)를 확인했습니다.
해당 임상결과에 대해서 미국 아이비리그 와일 코넬 의과대학 펠리스 슈놀-서스먼 박사와 미국소화기내시경학회 회장 프라티크 샤르마 박사는 케이캡(테고프라잔)의 우월한 임상데이터와 가슴쓰림 뿐만 아니라 약물 중 유일하게 위산 역류 증상까지 줄여주는 차별적인 효과에 대해 극찬하였습니다.
파트너사는 위 두가지 임상성과에 이어 3분기 중 유지요법 임상을 마무리하고, 금년 4분기에 미국 FDA에 미란성식도염 및 비미란성식도염 적응증으로 신약허가신청(NDA)를 제출할 계획을 명확히 하였으며, 이번 임상(TRIUMph) 연구 결과를 권위있는 학술지에 투고하고, 주요 소화기학회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HK이노엔은 케이캡 글로벌 진출의 큰 변혁점이 될 미국에서의 임상 성공을 안내드릴 수 있어 매우 뜻깊으며, 글로벌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잡을 것을 확신합니다.
관련 보도자료 링크
Sebela pharmaceuticals :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sebela-pharmaceuticals-announces-positive-topline-results-from-phase-3-triumph-program-of-tegoprazan-in-gerd-302435337.html
HKinnoN : https://www.inno-n.com/pr/news/view/1/1031?sch_text=
추가적인 문의사항은 HK이노엔 IR팀으로 연락주십시오. 감사합니다.
21.04.202523:24
[키움 신민수] Medtronic의 Simplera Sync 연속혈당측정기도 미국 FDA 허가 획득
결론: FDA 구조조정과 관련하여 미국 진출 불확실성은 부딪혀봐야 알 수 있다.
- 지난 Dexcom도 15일간 사용 가능한 연속혈당측정기(CGMS) G7 제품 FDA 허가 획득한 바 있음
- FDA 인력 구조조정 이후 심사 허가에 대한 우려가 있었는데 아직까지는 원활한 모습
>> 그러나 마음 놓고 있기는 이른 상황
>> 이미 예전부터 심사 허가가 진행된 건들이기에 영향 없이 리뷰가 잘 이뤄진 것이라면, 향후 제품 심사 허가에 영향은 있을 수도
>> 또한 의료기기 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업체들의 허가이기에 FDA 규제 당국이 타 업체들보다 더 신경써서 리뷰했을 가능성도 있음
https://www.fiercebiotech.com/medtech/medtronic-nets-fda-approval-pair-simplera-sync-cgm-minimed-780g
결론: FDA 구조조정과 관련하여 미국 진출 불확실성은 부딪혀봐야 알 수 있다.
- 지난 Dexcom도 15일간 사용 가능한 연속혈당측정기(CGMS) G7 제품 FDA 허가 획득한 바 있음
- FDA 인력 구조조정 이후 심사 허가에 대한 우려가 있었는데 아직까지는 원활한 모습
>> 그러나 마음 놓고 있기는 이른 상황
>> 이미 예전부터 심사 허가가 진행된 건들이기에 영향 없이 리뷰가 잘 이뤄진 것이라면, 향후 제품 심사 허가에 영향은 있을 수도
>> 또한 의료기기 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업체들의 허가이기에 FDA 규제 당국이 타 업체들보다 더 신경써서 리뷰했을 가능성도 있음
https://www.fiercebiotech.com/medtech/medtronic-nets-fda-approval-pair-simplera-sync-cgm-minimed-780g
Shown 1 - 24 of 108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