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Хуевая Одесса

Український Телеграм 🇺🇦

ТСН новини / ТСН.ua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Инсайдер UA

Реальна Війна |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Легитимный

Новини Україна | Головний

Одесса INFO ⚓️ 🇺🇦 Новости | Одеса

Хуевая Одесса

Український Телеграм 🇺🇦

ТСН новини / ТСН.ua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Инсайдер UA

Реальна Війна |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Легитимный

Новини Україна | Головний

Одесса INFO ⚓️ 🇺🇦 Новости | Одеса

Хуевая Одесса

Український Телеграм 🇺🇦

ТСН новини / ТСН.ua

장문수의 HMC Auto Call
현대차증권 자동차/모빌리티 담당 애널리스트 장문수 입니다.
매일 오전 전일 주요 국내외 뉴스 업데이트
매일 장중 글로벌 업체 전략, 정부 정책 외신 헤드라인
수시 자료 발간 요약 (국내/해외)
수시 장 중 주요 뉴스, 공시 정리 드립니다.
https://t.me/auto_call
매일 오전 전일 주요 국내외 뉴스 업데이트
매일 장중 글로벌 업체 전략, 정부 정책 외신 헤드라인
수시 자료 발간 요약 (국내/해외)
수시 장 중 주요 뉴스, 공시 정리 드립니다.
https://t.me/auto_call
TGlist rating
0
0
TypePublic
Verification
Not verifiedTrust
Not trustedLocation
LanguageOther
Channel creation dateJan 25, 2016
Added to TGlist
Sep 09, 2024Records
21.04.202523:59
2.9KSubscribers09.09.202423:59
100Citation index10.09.202423:59
8.9KAverage views per post10.09.202423:59
8.9KAverage views per ad post01.11.202423:59
1.32%ER10.09.202423:59
329.42%ERRGrowth
Subscribers
Citation index
Avg views per post
Avg views per ad post
ER
ERR
16.04.202504:02
[현대차증권 자동차/ 장문수/ 02-3787-2639]
KAMA Auto Daily (25.04.16)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산업동향]
□ Nissan, 미국 관세에 대응해 일본 생산량 축소 예정
- Nissan이 미국향 SUV 'Rogue'의 일본 생산량을 5월부터 7월까지 축소할 예정
• 일본 규슈 공장에서 Rogue 생산량을 3개월간 1만 3천대 축소
- 2025년 1분기 미국에서 판매된 Rogue 6만 2천대의 5분의 1 이상에 해당
- 5월부터 7월까지 근무 시간을 줄이고, 생산을 중단하는 경우도 있을 것임
• 미국의 새로운 수입 관세에 대응해 생산 계획을 변경함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수입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
- Nissan은 경쟁사보다 미국의 관세 영향에 더 취약함
• 미국은 Nissan의 최대 시장으로 2024년 판매량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했음
- 그중 상당수는 일본 및 멕시코에서 생산하고 있음
• Rogue는 2024년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모델임
- 약 24만 6천대가 판매되어 Nissan 미국 전체 판매량의 4분의 1이상을 차지
• 테네시주 스머나(Smyrna) 공장에서도 Rogue를 생산하고 있음
□ GAC, 2025년 4분기 'Level 3' 자율주행차 출시 계획
- GAC는 2025년 4분기에 첫 번째 'Level 3' 자율주행차를 출시할 계획
• 'Level 4' 자율주행 기술이 사전 탑재된 차량은 2026년 대규모 운행을 통해 시장 검증예정
- 2027년 출시할 예정
- GAC는 2023년 자율주행 기술을 위해 DiDI Autonomous Driving에 투자한 바 있음
• 업계 관계자들, 2025년 중국 승용차 시장에서 'Level 2+' 보조 주행 보급률 65% 전망
- 2024년 4월, GAC Aion과 DiDi는 자율주행 합작사 'Andi'를 설립
□ Xpeng, 자체 개발 자율주행 칩 사용 계획
- 자체 개발 자율주행 반도체칩 'Turing'을 2Q25 양산해 자사 신규 1개 모델에 먼저 사용할 계획
• 활용도는 범용 자동차용 칩 대비 20% 향상
- 최대 300억개의 매개 변수가 있는 대형 모델을 처리할 수 있음
- 컴퓨팅 성능은 NVIDIA의 최신 Thor와 유사한 약 700 TOPS
• 2024년 8월, Xpeng은 신모델 Mona 'M03'을 출시하면서 첫 번째 AI 칩 Turing이 8월 23일 테이프아웃에 성공했다고 발표
- 테이프아웃은 칩 설계가 완료된 후 조립 라인에서 생산 가능한 칩으로 변환하는 과정
- 2021년 4월, Xpeng은 자율주행 칩 자체 개발 계획을 발표했음
□ CATL, 2025년 1분기 순이익 33% 증가
- 2025년 1분기 실적
• 매출: 847억위안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 전분기 대비 17.74% 감소)
• 순이익: 140억위안 (32.9%% 증가, 5.3% 감소)
• 매출 총이익률: 24.41% (1.16%p 상승, 9.37%p 상승)
• 운영비: 640억 3,000만위안 (4.59% 증가, 26.81% 감소)
- 한편, CATL은 현재 홍콩 증권거래소 상장을 추진 중임
• 2025년 3월,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CSRC)는 CATL의 홍콩 증권거래소 상장을 승인했음
• 2025년 2분기 상장 예정이며, 최소 50억달러를 조달할 계획
[간략뉴스]
□ Isuzu, Fujitsu와 SDV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체결
- Isuzu는 Fujitsu와 경쟁력 있는 SDV 개발을 강화하기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함
-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개발, 소프트웨어 인재 육성, 개발 효율성 향상, 개발 인프라 강화 등 다양한 분야로 협력 관계를 확대할 계획
□ MAN Truck & Bus, 독일 공장에서 배터리 생산 개시
- 1억유로를 투자한 독일 뉘른베르크(Nürnberg) 공장에서 배터리 생산을 공식 개시함
- 뉘른베르크 공장에서 세 가지 배터리 팩을 생산할 예정
- 연간 5만개의 배터리 팩을 생산할 예정
- 신규 M50 공장을 통해 연간 10만개의 배터리 팩 생산 능력을 갖출 계획
□ Kodiak Robotics, SPAC을 통해 상장 추진 계획
- SPAC 'Ares Acquisition Corporation II'와의 합병을 통해 상장을 추진할 계획
- 상장은 2025년 하반기에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함
- Kodiak Robotics의 기업 가치는 약 25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컴플라이언스 검 필
KAMA Auto Daily (25.04.16)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산업동향]
□ Nissan, 미국 관세에 대응해 일본 생산량 축소 예정
- Nissan이 미국향 SUV 'Rogue'의 일본 생산량을 5월부터 7월까지 축소할 예정
• 일본 규슈 공장에서 Rogue 생산량을 3개월간 1만 3천대 축소
- 2025년 1분기 미국에서 판매된 Rogue 6만 2천대의 5분의 1 이상에 해당
- 5월부터 7월까지 근무 시간을 줄이고, 생산을 중단하는 경우도 있을 것임
• 미국의 새로운 수입 관세에 대응해 생산 계획을 변경함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수입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
- Nissan은 경쟁사보다 미국의 관세 영향에 더 취약함
• 미국은 Nissan의 최대 시장으로 2024년 판매량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했음
- 그중 상당수는 일본 및 멕시코에서 생산하고 있음
• Rogue는 2024년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모델임
- 약 24만 6천대가 판매되어 Nissan 미국 전체 판매량의 4분의 1이상을 차지
• 테네시주 스머나(Smyrna) 공장에서도 Rogue를 생산하고 있음
□ GAC, 2025년 4분기 'Level 3' 자율주행차 출시 계획
- GAC는 2025년 4분기에 첫 번째 'Level 3' 자율주행차를 출시할 계획
• 'Level 4' 자율주행 기술이 사전 탑재된 차량은 2026년 대규모 운행을 통해 시장 검증예정
- 2027년 출시할 예정
- GAC는 2023년 자율주행 기술을 위해 DiDI Autonomous Driving에 투자한 바 있음
• 업계 관계자들, 2025년 중국 승용차 시장에서 'Level 2+' 보조 주행 보급률 65% 전망
- 2024년 4월, GAC Aion과 DiDi는 자율주행 합작사 'Andi'를 설립
□ Xpeng, 자체 개발 자율주행 칩 사용 계획
- 자체 개발 자율주행 반도체칩 'Turing'을 2Q25 양산해 자사 신규 1개 모델에 먼저 사용할 계획
• 활용도는 범용 자동차용 칩 대비 20% 향상
- 최대 300억개의 매개 변수가 있는 대형 모델을 처리할 수 있음
- 컴퓨팅 성능은 NVIDIA의 최신 Thor와 유사한 약 700 TOPS
• 2024년 8월, Xpeng은 신모델 Mona 'M03'을 출시하면서 첫 번째 AI 칩 Turing이 8월 23일 테이프아웃에 성공했다고 발표
- 테이프아웃은 칩 설계가 완료된 후 조립 라인에서 생산 가능한 칩으로 변환하는 과정
- 2021년 4월, Xpeng은 자율주행 칩 자체 개발 계획을 발표했음
□ CATL, 2025년 1분기 순이익 33% 증가
- 2025년 1분기 실적
• 매출: 847억위안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 전분기 대비 17.74% 감소)
• 순이익: 140억위안 (32.9%% 증가, 5.3% 감소)
• 매출 총이익률: 24.41% (1.16%p 상승, 9.37%p 상승)
• 운영비: 640억 3,000만위안 (4.59% 증가, 26.81% 감소)
- 한편, CATL은 현재 홍콩 증권거래소 상장을 추진 중임
• 2025년 3월,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CSRC)는 CATL의 홍콩 증권거래소 상장을 승인했음
• 2025년 2분기 상장 예정이며, 최소 50억달러를 조달할 계획
[간략뉴스]
□ Isuzu, Fujitsu와 SDV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체결
- Isuzu는 Fujitsu와 경쟁력 있는 SDV 개발을 강화하기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함
-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개발, 소프트웨어 인재 육성, 개발 효율성 향상, 개발 인프라 강화 등 다양한 분야로 협력 관계를 확대할 계획
□ MAN Truck & Bus, 독일 공장에서 배터리 생산 개시
- 1억유로를 투자한 독일 뉘른베르크(Nürnberg) 공장에서 배터리 생산을 공식 개시함
- 뉘른베르크 공장에서 세 가지 배터리 팩을 생산할 예정
- 연간 5만개의 배터리 팩을 생산할 예정
- 신규 M50 공장을 통해 연간 10만개의 배터리 팩 생산 능력을 갖출 계획
□ Kodiak Robotics, SPAC을 통해 상장 추진 계획
- SPAC 'Ares Acquisition Corporation II'와의 합병을 통해 상장을 추진할 계획
- 상장은 2025년 하반기에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함
- Kodiak Robotics의 기업 가치는 약 25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컴플라이언스 검 필
12.05.202504:02
[현대차증권 자동차/ 장문수/ 02-3787-2639]
KAMA Auto Daily (25.05.12)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정책동향]
□ 미국, 영국산 수입차 일부 관세 10%로 인하
- 미국은 영국산 자동차에 대한 품목별 관세를 연간 10만대에 한해 기존 25%(최혜국 관세 포함시 27.5%)에서 10%로 낮추기로 합의
• 영국산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도 조정할 예정
- 영국은 이에 대해 해당 관세가 철폐될 것이라고 발표
• 영국 정부는 미국에 에탄올, 소고기, 농산물, 기계류 등의 시장을 개방함
- 미국 제품에 50억달러 규모의 수출 기회를 부여
• 영국에 부과하기로 했던 10%의 상호관세는 그대로 유지함
- 이번 협의 결과는 전통적인 형식의 무역협정이 아닌 주요 원칙만 담은 일종의 프레임워크임
• 향후 추가 협의를 통해 세부 사항을 결정하고, 최종화하는 작업을 진행할 예정
[산업동향]
□ Toyota, 2025년 영업이익 약 21% 감소 전망
- 2024년도(2024.4~2025.3) 실적
• 매출: 48조 367억엔 (전년 대비 6.5% 증가)
• 영업이익: 4조 7,955억엔 (10.4% 감소)
• 순이익: 4조 7,650억엔 (3.6% 감소)
• 미국 판매량: 233만대 (약 50%가 수입 차량)
- 2025년(2025.4~2026.3) 실적 전망
• 매출 48조 5,000억엔 (전년 대비 1.0% 증가)
• 영업이익 3조 8,000억엔 (20.8% 감소)
- 미국 관세 조치로 2025년 4~5월 1800억엔 추가 비용 발생 전망
- 엔화 강세 등 환율 영향으로 7450억엔 이익 감소 예측
• 순이익: 3조 1,000억엔 (34.9% 감소)
• 2025년 생산량(Lexus 포함): 1000만대 (전년 대비 약 32만대 증가)
□ 중국 4월 승용 NEV 소매 판매량 37% 증가
- 중국 4월 승용 NEV 판매 실적 (CPCA)
• 소매 판매량: 92만 2,000대(전년동월대비 37% 증가, 전월대비 7% 감소)
- 4월 중국 승용차 전체 소매 판매량: 179만 1,000대(17% 증가, 8% 감소)
• 도매 판매량: 141만 2,000대 (41% 증가, 1% 증가)
- 중국 2025년 1~4월 승용 NEV 누적 판매 실적
• 소매 판매량: 334만 2,000대 (전년동기대비 37% 증가)
- 중국 승용차 전체 누적 소매 판매량: 691만 8,000대 (9% 증가)
• 도매 판매량: 399만대 (42% 증가)
□ Chery그룹, 4월 판매량 10.3% 증가
- Chery그룹 2025년 4월 판매 실적
• 판매량: 20만 760대 (전년동월대비 10.3% 증가)
- 핵심 자회사 Chery Automobile: 18만 4,850대 (5.2% 증가)
• NEV 판매량: 6만 1,223대 (85.5% 증가)
• 수출: 8만 7,738대
- Chery그룹 1월~4월 누적 판매 실적
• 판매량: 82만 785대 (전년동기대비 15.3% 증가)
• NEV 판매량: 22만 4,629대 (140.7% 증가)
• 수출: 34만 3,203대
[간략뉴스]
□ Nissan, 일본 내 배터리 공장 건설 계획 단념
- Nissan이 2025년 1월 발표했던 일본 기타큐슈시 전기차 배터리 공장 건설 계획을 단념
- Nissan 관계자들이 후쿠오카현을 방문해 이러한 결정을 보고할 예정
□ BYD, 2030년까지 해외 판매량 비율 50% 목표
- BYD가 2030년까지 전체 판매량 중 해외 시장 판매량 목표를 50%로 하는 것으로 알려짐
- 유럽과 라틴 아메리카에서의 확장을 통해 성장을 추진할 계획
- 2024년 판매량은 427만대를 기록했지만, 그중 약 90%가 중국 국내 판매였음
- 2024년에는 VW을 제치고 중국 내 승용차 판매량 순위 1위를 차지
□ Baidu, 중국 최대 렌탈 플랫폼 'CAR Inc.'와 파트너십 체결
- Baidu의 오픈 소스 자율주행 플랫폼 Apollo는 중국 최대 차량 렌탈 플랫폼 'CAR Inc.'와 파트너십을 체결
- 양사는 세계 최초의 자율주행 차량 렌탈 서비스를 공동으로 출시할 예정
- 2025년 2분기부터 시나리오별 맞춤형 제품을 공동 개발할 계획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컴플라이언스 검 필
KAMA Auto Daily (25.05.12)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정책동향]
□ 미국, 영국산 수입차 일부 관세 10%로 인하
- 미국은 영국산 자동차에 대한 품목별 관세를 연간 10만대에 한해 기존 25%(최혜국 관세 포함시 27.5%)에서 10%로 낮추기로 합의
• 영국산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도 조정할 예정
- 영국은 이에 대해 해당 관세가 철폐될 것이라고 발표
• 영국 정부는 미국에 에탄올, 소고기, 농산물, 기계류 등의 시장을 개방함
- 미국 제품에 50억달러 규모의 수출 기회를 부여
• 영국에 부과하기로 했던 10%의 상호관세는 그대로 유지함
- 이번 협의 결과는 전통적인 형식의 무역협정이 아닌 주요 원칙만 담은 일종의 프레임워크임
• 향후 추가 협의를 통해 세부 사항을 결정하고, 최종화하는 작업을 진행할 예정
[산업동향]
□ Toyota, 2025년 영업이익 약 21% 감소 전망
- 2024년도(2024.4~2025.3) 실적
• 매출: 48조 367억엔 (전년 대비 6.5% 증가)
• 영업이익: 4조 7,955억엔 (10.4% 감소)
• 순이익: 4조 7,650억엔 (3.6% 감소)
• 미국 판매량: 233만대 (약 50%가 수입 차량)
- 2025년(2025.4~2026.3) 실적 전망
• 매출 48조 5,000억엔 (전년 대비 1.0% 증가)
• 영업이익 3조 8,000억엔 (20.8% 감소)
- 미국 관세 조치로 2025년 4~5월 1800억엔 추가 비용 발생 전망
- 엔화 강세 등 환율 영향으로 7450억엔 이익 감소 예측
• 순이익: 3조 1,000억엔 (34.9% 감소)
• 2025년 생산량(Lexus 포함): 1000만대 (전년 대비 약 32만대 증가)
□ 중국 4월 승용 NEV 소매 판매량 37% 증가
- 중국 4월 승용 NEV 판매 실적 (CPCA)
• 소매 판매량: 92만 2,000대(전년동월대비 37% 증가, 전월대비 7% 감소)
- 4월 중국 승용차 전체 소매 판매량: 179만 1,000대(17% 증가, 8% 감소)
• 도매 판매량: 141만 2,000대 (41% 증가, 1% 증가)
- 중국 2025년 1~4월 승용 NEV 누적 판매 실적
• 소매 판매량: 334만 2,000대 (전년동기대비 37% 증가)
- 중국 승용차 전체 누적 소매 판매량: 691만 8,000대 (9% 증가)
• 도매 판매량: 399만대 (42% 증가)
□ Chery그룹, 4월 판매량 10.3% 증가
- Chery그룹 2025년 4월 판매 실적
• 판매량: 20만 760대 (전년동월대비 10.3% 증가)
- 핵심 자회사 Chery Automobile: 18만 4,850대 (5.2% 증가)
• NEV 판매량: 6만 1,223대 (85.5% 증가)
• 수출: 8만 7,738대
- Chery그룹 1월~4월 누적 판매 실적
• 판매량: 82만 785대 (전년동기대비 15.3% 증가)
• NEV 판매량: 22만 4,629대 (140.7% 증가)
• 수출: 34만 3,203대
[간략뉴스]
□ Nissan, 일본 내 배터리 공장 건설 계획 단념
- Nissan이 2025년 1월 발표했던 일본 기타큐슈시 전기차 배터리 공장 건설 계획을 단념
- Nissan 관계자들이 후쿠오카현을 방문해 이러한 결정을 보고할 예정
□ BYD, 2030년까지 해외 판매량 비율 50% 목표
- BYD가 2030년까지 전체 판매량 중 해외 시장 판매량 목표를 50%로 하는 것으로 알려짐
- 유럽과 라틴 아메리카에서의 확장을 통해 성장을 추진할 계획
- 2024년 판매량은 427만대를 기록했지만, 그중 약 90%가 중국 국내 판매였음
- 2024년에는 VW을 제치고 중국 내 승용차 판매량 순위 1위를 차지
□ Baidu, 중국 최대 렌탈 플랫폼 'CAR Inc.'와 파트너십 체결
- Baidu의 오픈 소스 자율주행 플랫폼 Apollo는 중국 최대 차량 렌탈 플랫폼 'CAR Inc.'와 파트너십을 체결
- 양사는 세계 최초의 자율주행 차량 렌탈 서비스를 공동으로 출시할 예정
- 2025년 2분기부터 시나리오별 맞춤형 제품을 공동 개발할 계획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컴플라이언스 검 필
17.04.202522:27
[현대차증권 자동차/ 장문수/ 02-3787-2639]
HMC Auto News (25.04.18)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1. 국내뉴스
▶️세계 올해의 차에 기아 EV3...현대차 "한미 공장 함께 최대한 가동"(YTN)
- 미국 뉴욕 오토쇼에서 기아의 소형 전기차 SUV인 EV3가 최고의 자리에 올랐음
- https://buly.kr/15OdEEl
▶️현대차, 차세대 하이브리드 갖춘 신형 팰리세이드 북미 공개(연합뉴스)
- 뉴욕오토쇼 참가…오프로드 기능 강화한 'XRT 프로'도 선봬
- https://buly.kr/D3e9viR
▶️[인터뷰] 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올해 사업계획 유지”(조선비즈)
- “현주소 살피고 중장기 전략 검토”
- https://buly.kr/4Qn1rk9
▶️현대차그룹, 3월 美 생산·판매 동시에 늘었다(뉴시스)
- 메타플랜트서 아이오닉 5 생산 호조
- https://buly.kr/31Sy1Dz
▶️ 현대차, 전기차 생산 일시중단…美관세·유럽보조금 폐지 충격파(연합뉴스)
-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오는 24∼30일 울산 1공장 12라인(아이오닉5·코나EV 생산)의 가동을 중단하고 휴업
- https://buly.kr/E78hock
▶️[단독] 송호성 기아 사장 "美픽업, EREV도 출시 검토"…전기차와 투 트랙(파이낸셜뉴스)
- 기아, 미국 픽업트럭 시장 공략 '속도전'
- https://buly.kr/1u5LMU
2.해외뉴스
▶️中, 자동차 광고서 '스마트·자율주행' 용어 사용 금지(이데일리)
- 샤오미 차량, 사고 뒤 폭발 후속 대책
- https://buly.kr/FLY0gLC
▶️테슬라, 1분기 美 판매량 '뚝'…관세 전쟁에 사이버캡 생산도 제동(SBS)
- 테슬라의 판매량이 올해 1분기 큰 폭으로 감소
- https://buly.kr/Eonjjtf
▶️미국 자동차 가격 5월이 마지노선?…"포드, 올여름 인상"(연합뉴스)
- 폭스바겐 "5월까지 미국 판매가 동결"
- https://buly.kr/A45HFsd
▶️ 美 루시드, 중대형 전기 SUV 라인업 확장 순항
- 그래비티 이어 저렴한 중형 SUV 내년 출시 예정…목표 가격 5만 달러
- https://buly.kr/DwDwppx
▶️캐나다, 현지 생산 유지 자동차 제조업체에 관세 면제 방침(KAMA)
▶️중국, EV용 배터리 규정 강화(KAMA)
▶️Lucid Motors, 2026년 중형 전기 SUV 출시 계획 순항 중(KAMA)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컴플라이언스 검 필
HMC Auto News (25.04.18)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1. 국내뉴스
▶️세계 올해의 차에 기아 EV3...현대차 "한미 공장 함께 최대한 가동"(YTN)
- 미국 뉴욕 오토쇼에서 기아의 소형 전기차 SUV인 EV3가 최고의 자리에 올랐음
- https://buly.kr/15OdEEl
▶️현대차, 차세대 하이브리드 갖춘 신형 팰리세이드 북미 공개(연합뉴스)
- 뉴욕오토쇼 참가…오프로드 기능 강화한 'XRT 프로'도 선봬
- https://buly.kr/D3e9viR
▶️[인터뷰] 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올해 사업계획 유지”(조선비즈)
- “현주소 살피고 중장기 전략 검토”
- https://buly.kr/4Qn1rk9
▶️현대차그룹, 3월 美 생산·판매 동시에 늘었다(뉴시스)
- 메타플랜트서 아이오닉 5 생산 호조
- https://buly.kr/31Sy1Dz
▶️ 현대차, 전기차 생산 일시중단…美관세·유럽보조금 폐지 충격파(연합뉴스)
-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오는 24∼30일 울산 1공장 12라인(아이오닉5·코나EV 생산)의 가동을 중단하고 휴업
- https://buly.kr/E78hock
▶️[단독] 송호성 기아 사장 "美픽업, EREV도 출시 검토"…전기차와 투 트랙(파이낸셜뉴스)
- 기아, 미국 픽업트럭 시장 공략 '속도전'
- https://buly.kr/1u5LMU
2.해외뉴스
▶️中, 자동차 광고서 '스마트·자율주행' 용어 사용 금지(이데일리)
- 샤오미 차량, 사고 뒤 폭발 후속 대책
- https://buly.kr/FLY0gLC
▶️테슬라, 1분기 美 판매량 '뚝'…관세 전쟁에 사이버캡 생산도 제동(SBS)
- 테슬라의 판매량이 올해 1분기 큰 폭으로 감소
- https://buly.kr/Eonjjtf
▶️미국 자동차 가격 5월이 마지노선?…"포드, 올여름 인상"(연합뉴스)
- 폭스바겐 "5월까지 미국 판매가 동결"
- https://buly.kr/A45HFsd
▶️ 美 루시드, 중대형 전기 SUV 라인업 확장 순항
- 그래비티 이어 저렴한 중형 SUV 내년 출시 예정…목표 가격 5만 달러
- https://buly.kr/DwDwppx
▶️캐나다, 현지 생산 유지 자동차 제조업체에 관세 면제 방침(KAMA)
▶️중국, EV용 배터리 규정 강화(KAMA)
▶️Lucid Motors, 2026년 중형 전기 SUV 출시 계획 순항 중(KAMA)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컴플라이언스 검 필
17.04.202504:05
[현대차증권 자동차/ 장문수/ 02-3787-2639]
KAMA Auto Daily (25.04.17)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산업동향]
□ Honda, 일부 'Civic HEV' 모델 생산을 미국으로 이관 예정
- Honda는 일본에서 생산하고 있는 미국향 'Civic HEV'의 일부 모델 생산을 미국으로 이관할 계획
• 요리이(寄居) 공장에서 2월부터 생산을 시작한 'Civic HEV 5도어 해치백' 모델 생산 이관 예정
- Civic은 미국에서 가장 잘 팔리는 차종 중 하나임
• 미국의 관세 정책 영향을 회피하기 위해 6~7월 이후 미국 인디애나주 공장으로 이관할 예정
- Honda 홍보 담당자는 요리이 공장에서의 생산 종료 시점은 6~7월을 전망
- 인디애나주 공장에서의 생산 개시 시기는 현재 미정이라고 밝힘
- 요리이 공장에서 생산 중인 미국향 Civic 시리즈는 스포츠카인 'Civic Type R'도 생산하고 있음
• Civic Type R은 일본에서 계속 생산할 예정
□ Tesla, 자율주행 컴퓨터 400만대 교체 상황 직면
- 지난 10년간 생산한 EV 약 400만대의 ‘자율주행용 컴퓨터’를 교체 또는 보상해야 할 상황 직면
• Tesla는 2016년부터 모든 차량이 완전 자율주행에 필요한 모든 하드웨어를 갖췄다고 주장했음
- 자율주행 컴퓨터를 HW2.5 버전 이후 HW3 버전을 탑재
- FSD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구매한 운전자의 기존 HW2.5 버전 차량에 HW3 버전을 무료로 장착
• Elon Musk는 HW3 버전이 무감독 자율주행을 구현할 수 있는 성능이 아니라고 시인
- FSD 패키지를 구매한 차량은 HW4로 교체해 주어야 함
- 최소 50만대 규모로 추정되며, 교체 비용은 약 5억달러에 달할 전망
- 비용 측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자동차 리콜이 될 수 있음
- 미국에서는 자율주행 관련 허위광고를 둘러싼 소송이 증가, HW3 관련 소송 진행 예상됨
• 미국 법원은 2022년에 Tesla에 대해 자율주행 컴퓨터 무상 업그레이드를 명령한 바 있음
□ Hesai, GAC Aion의 로보택시용 LiDAR 솔루션으로 선정
- Hesai Technology는 자사의 장거리 차량용 LiDAR 'AT128'이 DiDiAutonomous Driving과 GAC Aion이 공개한 최초의 'Level 4' 양산형 로보택시의 LiDAR 솔루션으로 선정되었다고 발표함
• 해당 차량은 2025년 양산에 돌입해 2026년부터 배치가 시작될 예정
- 4개의 AT128 LiDAR 센서를 탑재해 사각지대가 없게 함
• AT128
- 1200 x 128 해상도
- 초당 153만포인트의 데이터를 캡처
- 최대 200m의 감지 범위, 120° 시야각
- 2024년 11월, Hesai는 2025년에 LiDAR 주력 제품 가격을 50% 인하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음
□ Volvo Trucks, PreZero에 전기 트럭 35대 공급 예정
- 글로벌 재활용 폐기물 처리 및 에너지 재생 기업인 'PreZero'는 Volvo Trucks에 총 35대의 전기 트럭을 주문함
• 공급 차량: FM Low Entry 24대, FM Electric 10대, FL Electric 1대
• 용도: 주로 스톡홀름 지역 내 폐기물 수거 및 운송 업무
• 충전 인프라: PreZero가 차고지 기반 충전소를 직접 투자로 구축
• 도입 시기: 2025년 하반기부터 순차 도입 예정
- PreZero는 2022년에 Volvo Trucks의 전기 트럭을 처음 도입한 바 있음
[간략뉴스]
□ 캐나다, 현지 생산 유지 자동차 제조업체에 관세 면제 방침
- 캐나다 정부는 캐나다 현지 생산을 유지하는 조건으로 특정 미국산 차량에 대한 수입 관세를 면제할 방침이라고 발표함
- 온타리오주에 조립 공장을 운영하면서 미국에서 상당수의 차량을 수입해 판매하는 GM과 Stellantis 등에 대한 구제책이 될 것으로 예상됨
- 캐나다의 발표 직후 Honda는 즉각 생산 이전 검토를 철회함
□ 중국, EV용 배터리 규정 강화
- 중국 산업 정보 기술부는 배터리 화재 및 폭발 위험을 줄이기 위해 자동차 제조업체가 더 높은 안전 표준을 준수하도록 하는 기술 표준을 발표함
- 3월 규제 당국 승인을 획득, 2026년 7월부터 시행될 예정
- 이번 기술 표준은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배터리가 특정 기간 동안 화재 및 폭발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실시해야 하는 엄격한 의무적 테스트를 규정함
□ Lucid Motors, 2026년 중형 전기 SUV 출시 계획 순항 중
- Lucid Motors는 2026년 중형 전기 SUV 출시 계획이 순항 중이라고 밝힘
- 5만달러 가격대를 목표로 함
- 관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셀 및 흑연 생산을 미국에서 진행할 계획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컴플라이언스 검 필
KAMA Auto Daily (25.04.17)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산업동향]
□ Honda, 일부 'Civic HEV' 모델 생산을 미국으로 이관 예정
- Honda는 일본에서 생산하고 있는 미국향 'Civic HEV'의 일부 모델 생산을 미국으로 이관할 계획
• 요리이(寄居) 공장에서 2월부터 생산을 시작한 'Civic HEV 5도어 해치백' 모델 생산 이관 예정
- Civic은 미국에서 가장 잘 팔리는 차종 중 하나임
• 미국의 관세 정책 영향을 회피하기 위해 6~7월 이후 미국 인디애나주 공장으로 이관할 예정
- Honda 홍보 담당자는 요리이 공장에서의 생산 종료 시점은 6~7월을 전망
- 인디애나주 공장에서의 생산 개시 시기는 현재 미정이라고 밝힘
- 요리이 공장에서 생산 중인 미국향 Civic 시리즈는 스포츠카인 'Civic Type R'도 생산하고 있음
• Civic Type R은 일본에서 계속 생산할 예정
□ Tesla, 자율주행 컴퓨터 400만대 교체 상황 직면
- 지난 10년간 생산한 EV 약 400만대의 ‘자율주행용 컴퓨터’를 교체 또는 보상해야 할 상황 직면
• Tesla는 2016년부터 모든 차량이 완전 자율주행에 필요한 모든 하드웨어를 갖췄다고 주장했음
- 자율주행 컴퓨터를 HW2.5 버전 이후 HW3 버전을 탑재
- FSD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구매한 운전자의 기존 HW2.5 버전 차량에 HW3 버전을 무료로 장착
• Elon Musk는 HW3 버전이 무감독 자율주행을 구현할 수 있는 성능이 아니라고 시인
- FSD 패키지를 구매한 차량은 HW4로 교체해 주어야 함
- 최소 50만대 규모로 추정되며, 교체 비용은 약 5억달러에 달할 전망
- 비용 측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자동차 리콜이 될 수 있음
- 미국에서는 자율주행 관련 허위광고를 둘러싼 소송이 증가, HW3 관련 소송 진행 예상됨
• 미국 법원은 2022년에 Tesla에 대해 자율주행 컴퓨터 무상 업그레이드를 명령한 바 있음
□ Hesai, GAC Aion의 로보택시용 LiDAR 솔루션으로 선정
- Hesai Technology는 자사의 장거리 차량용 LiDAR 'AT128'이 DiDiAutonomous Driving과 GAC Aion이 공개한 최초의 'Level 4' 양산형 로보택시의 LiDAR 솔루션으로 선정되었다고 발표함
• 해당 차량은 2025년 양산에 돌입해 2026년부터 배치가 시작될 예정
- 4개의 AT128 LiDAR 센서를 탑재해 사각지대가 없게 함
• AT128
- 1200 x 128 해상도
- 초당 153만포인트의 데이터를 캡처
- 최대 200m의 감지 범위, 120° 시야각
- 2024년 11월, Hesai는 2025년에 LiDAR 주력 제품 가격을 50% 인하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음
□ Volvo Trucks, PreZero에 전기 트럭 35대 공급 예정
- 글로벌 재활용 폐기물 처리 및 에너지 재생 기업인 'PreZero'는 Volvo Trucks에 총 35대의 전기 트럭을 주문함
• 공급 차량: FM Low Entry 24대, FM Electric 10대, FL Electric 1대
• 용도: 주로 스톡홀름 지역 내 폐기물 수거 및 운송 업무
• 충전 인프라: PreZero가 차고지 기반 충전소를 직접 투자로 구축
• 도입 시기: 2025년 하반기부터 순차 도입 예정
- PreZero는 2022년에 Volvo Trucks의 전기 트럭을 처음 도입한 바 있음
[간략뉴스]
□ 캐나다, 현지 생산 유지 자동차 제조업체에 관세 면제 방침
- 캐나다 정부는 캐나다 현지 생산을 유지하는 조건으로 특정 미국산 차량에 대한 수입 관세를 면제할 방침이라고 발표함
- 온타리오주에 조립 공장을 운영하면서 미국에서 상당수의 차량을 수입해 판매하는 GM과 Stellantis 등에 대한 구제책이 될 것으로 예상됨
- 캐나다의 발표 직후 Honda는 즉각 생산 이전 검토를 철회함
□ 중국, EV용 배터리 규정 강화
- 중국 산업 정보 기술부는 배터리 화재 및 폭발 위험을 줄이기 위해 자동차 제조업체가 더 높은 안전 표준을 준수하도록 하는 기술 표준을 발표함
- 3월 규제 당국 승인을 획득, 2026년 7월부터 시행될 예정
- 이번 기술 표준은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배터리가 특정 기간 동안 화재 및 폭발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실시해야 하는 엄격한 의무적 테스트를 규정함
□ Lucid Motors, 2026년 중형 전기 SUV 출시 계획 순항 중
- Lucid Motors는 2026년 중형 전기 SUV 출시 계획이 순항 중이라고 밝힘
- 5만달러 가격대를 목표로 함
- 관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셀 및 흑연 생산을 미국에서 진행할 계획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컴플라이언스 검 필
20.04.202511:56
[현대차증권 자동차/ 장문수/ 02-3787-2639]
KAMA Auto Daily (25.04.18)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정책동향]
□ 중국, 차량 광고에서 '스마트' 및 '자율주행' 용어 사용 금지
- 운전 보조 기능을 광고할 때 '스마트 운전' 및 '자율주행'이라는 용어의 사용을 금지함
• 자동차 제조업체 대표 약 60명이 참석한 회의에서 차량 광고에 대한 지침 전달
• Xiaomi 'SU7'에서 발생한 사고로 차량 안전에 대한 우려가 확산된 데 따른 조치임
- 운전자가 ADAS로부터 제어권을 넘겨받은 후 시속 97km의 속도로 도로변 전봇대와 충돌 후 화재가 발생
• 승인없이 고객에게 인도된 차량을 원격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ADAS를 테스트하고 개선할 수 없음
- 출시 전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충분한 테스트를 수행하고, 당국의 승인을 받아야 함
[시장동향]
□ 캘리포니아주, 1분기 Tesla 차량 등록대수 15.1% 감소
- 캘리포니아주의 1q25 Tesla 차량 등록대수는 yoy 15.1% 감소한 4만 2,322대를 기록 (CNCDA)
• 캘리포니아주 EV 판매량: 9만 6,316대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
• Tesla 시장 점유율: 43.9% (전년 동기 55.5% 대비 하락)
• 노후된 제품 라인업과 Elon Musk CEO의 정치 참여로 인한 반감이 주요 요인
• 캘리포니아주 전체 신차 등록 대수: 46만 3114대 (전년 동기 대비 8.3% 증가)
• 미국의 무역 정책으로 2025년 캘리포니아주 전체 신차 등록대수는 전년 대비 2.3% 감소할 것으로 예상함
- 한편, Tesla의 2025년 1분기 EV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한 33만 6,681대를 기록
[산업동향]
□ Tesla, 관세 문제로 Cybercab 및 전기 트럭 Semi 생산 차질
- Tesla가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산 제품 관세 인상으로 Cybercab과 Semi의 부품을 중국에서 선적하려는 계획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짐
•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34%의 관세를 부과했을 경우, 추가 비용을 감당할 준비가 되었지만, 그 이상 인상되어 배송 계획을 중단함
- 연이은 관세 인상으로 중국산 제품의 총 관세는 145%가 되었음
• 당초 2025년 10월 Cybercab과 Semi의 시범 생산을 시작하고, 2026년 양산을 목표로 했었음
- Cybercab은 텍사스 공장, Semi는 네바다 공장에서 생산할 예정
- 2024년 10월, Tesla는 로보택시 'Cybercab'을 공개한 바 있음
□ Ford, 미국의 자동차 관세가 계속되면 신차 가격 인상 방침
- Ford는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가 계속되면 신차 가격을 인상할 수 있다고 딜러들에게 전달
• 4월 초부터 6월 2일까지 전 라인업에서 대폭 할인을 제공함
• 다만, 5월 이후 생산되는 신모델 가격은 변경될 수 있다고 전달함
• Ford 대변인은 5월에 생산된 차량 가격이 변경되더라도 7월 초까지는 가격 인상이 없을 것이라고 언급
- Ford는 미국 판매 차량의 약 80%를 미국 내에서 생산하고 있음
[간략뉴스]
□ SAIC과 Huawei, 신규 공동 NEV 브랜드 공개
- SAIC과 Huawei는 HIMA 신제품 출시 행사에서 신규 공동 NEV 브랜드 'Shangjie'를 공개함
- 2025년 가을 첫 번째 모델을 공개할 예정
- 양사는 제품 기획 및 설계부터 지능형 콕핏 개발, 스마트 운전 시스템, 제조, 판매,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협업할 계획
□ RoboSense, DiDi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 중국의 LiDAR 공급업체인 RoboSense와 DiDi Autonomous Driving은 'Level 4' 자율주행 기술 확대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함
- DiDi와 GAC Aion의 'Level 4' 로보택시 모델에 RoboSense의 전고체 LiDAR 센서 'E1'을 장착할 예정
- LiDAR 등 33개의 센서가 탑재될 전망
□ Lyft, 모빌리티 플랫폼 'FreeNow' 인수 계획
- Lyft는 유럽 차량 호출 시장 진출을 위해 BMW와 MercedesBenz로부터 모빌리티 플랫폼 'FreeNow'를 1억 7,500만유로에 인수할 계획이라고 밝힘
- 주요 유럽 도시에 진출이 가능해짐
- FreeNow는 택시부터 스쿠터 대여, 차량 공유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 유럽 9개국, 150개 이상의 도시에서 운영 중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컴플라이언스 검 필
KAMA Auto Daily (25.04.18)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정책동향]
□ 중국, 차량 광고에서 '스마트' 및 '자율주행' 용어 사용 금지
- 운전 보조 기능을 광고할 때 '스마트 운전' 및 '자율주행'이라는 용어의 사용을 금지함
• 자동차 제조업체 대표 약 60명이 참석한 회의에서 차량 광고에 대한 지침 전달
• Xiaomi 'SU7'에서 발생한 사고로 차량 안전에 대한 우려가 확산된 데 따른 조치임
- 운전자가 ADAS로부터 제어권을 넘겨받은 후 시속 97km의 속도로 도로변 전봇대와 충돌 후 화재가 발생
• 승인없이 고객에게 인도된 차량을 원격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ADAS를 테스트하고 개선할 수 없음
- 출시 전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충분한 테스트를 수행하고, 당국의 승인을 받아야 함
[시장동향]
□ 캘리포니아주, 1분기 Tesla 차량 등록대수 15.1% 감소
- 캘리포니아주의 1q25 Tesla 차량 등록대수는 yoy 15.1% 감소한 4만 2,322대를 기록 (CNCDA)
• 캘리포니아주 EV 판매량: 9만 6,316대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
• Tesla 시장 점유율: 43.9% (전년 동기 55.5% 대비 하락)
• 노후된 제품 라인업과 Elon Musk CEO의 정치 참여로 인한 반감이 주요 요인
• 캘리포니아주 전체 신차 등록 대수: 46만 3114대 (전년 동기 대비 8.3% 증가)
• 미국의 무역 정책으로 2025년 캘리포니아주 전체 신차 등록대수는 전년 대비 2.3% 감소할 것으로 예상함
- 한편, Tesla의 2025년 1분기 EV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한 33만 6,681대를 기록
[산업동향]
□ Tesla, 관세 문제로 Cybercab 및 전기 트럭 Semi 생산 차질
- Tesla가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산 제품 관세 인상으로 Cybercab과 Semi의 부품을 중국에서 선적하려는 계획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짐
•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34%의 관세를 부과했을 경우, 추가 비용을 감당할 준비가 되었지만, 그 이상 인상되어 배송 계획을 중단함
- 연이은 관세 인상으로 중국산 제품의 총 관세는 145%가 되었음
• 당초 2025년 10월 Cybercab과 Semi의 시범 생산을 시작하고, 2026년 양산을 목표로 했었음
- Cybercab은 텍사스 공장, Semi는 네바다 공장에서 생산할 예정
- 2024년 10월, Tesla는 로보택시 'Cybercab'을 공개한 바 있음
□ Ford, 미국의 자동차 관세가 계속되면 신차 가격 인상 방침
- Ford는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가 계속되면 신차 가격을 인상할 수 있다고 딜러들에게 전달
• 4월 초부터 6월 2일까지 전 라인업에서 대폭 할인을 제공함
• 다만, 5월 이후 생산되는 신모델 가격은 변경될 수 있다고 전달함
• Ford 대변인은 5월에 생산된 차량 가격이 변경되더라도 7월 초까지는 가격 인상이 없을 것이라고 언급
- Ford는 미국 판매 차량의 약 80%를 미국 내에서 생산하고 있음
[간략뉴스]
□ SAIC과 Huawei, 신규 공동 NEV 브랜드 공개
- SAIC과 Huawei는 HIMA 신제품 출시 행사에서 신규 공동 NEV 브랜드 'Shangjie'를 공개함
- 2025년 가을 첫 번째 모델을 공개할 예정
- 양사는 제품 기획 및 설계부터 지능형 콕핏 개발, 스마트 운전 시스템, 제조, 판매,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협업할 계획
□ RoboSense, DiDi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 중국의 LiDAR 공급업체인 RoboSense와 DiDi Autonomous Driving은 'Level 4' 자율주행 기술 확대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함
- DiDi와 GAC Aion의 'Level 4' 로보택시 모델에 RoboSense의 전고체 LiDAR 센서 'E1'을 장착할 예정
- LiDAR 등 33개의 센서가 탑재될 전망
□ Lyft, 모빌리티 플랫폼 'FreeNow' 인수 계획
- Lyft는 유럽 차량 호출 시장 진출을 위해 BMW와 MercedesBenz로부터 모빌리티 플랫폼 'FreeNow'를 1억 7,500만유로에 인수할 계획이라고 밝힘
- 주요 유럽 도시에 진출이 가능해짐
- FreeNow는 택시부터 스쿠터 대여, 차량 공유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 유럽 9개국, 150개 이상의 도시에서 운영 중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컴플라이언스 검 필
21.04.202503:54
[현대차증권 자동차/ 장문수/ 02-3787-2639]
KAMA Auto Daily (25.04.21)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산업동향]
□ Ford, 미국산 차량의 중국 수출 중단
- Ford가 미국에서 생산한 자동차의 중국 수출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짐
• 주력 픽업트럭 'F-150'의 일부 모델과 SUV 'Bronco' 등 고가 모델을 중심으로 중단했음
• 2024년 약 5500대를 중국에 수출했음
- 미국은 중국산 수입품에 총 145%의 추가 관세를 부과
- 중국도 보복 조치로 미국산 수입품에 125%의 관세를 부과했음
• Tesla도 미국산 차량의 신규 주문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음
□ Carizon, 자체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
- Carizon은 중국 시장용 AI 기반 자체 자율주행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힘
• 다음 주 'Auto Shanghai 2025'에서 해당 기술을 선보일 예정
• 2025년 출시 예정인 VW 브랜드 모델에 적용해 'Level 2+' 기능을 제공할 계획
• 2026년부터는 보급형 차량에도 고급 버전을 적용할 계획
- Carizon은 VW 소프트웨어 부문 자회사 Cariad와 Horizon Robotics의 합작사임
□ Ford, 2024년 중국에서 9억달러 수익 기록
- Ford의 John Lawler 부회장은 중국 사업(수출 포함)이 2024년에 9억달러의 수익(이자 및 세금 차감 전)을 기록했다고 밝힘
• 현재 중국을 수출 허브로 활용하는 데 주력하고 있음
- 중국에서 Lincoln 'Nautilus'를 조립, 2024년 미국에서 전년 대비 50% 증가한 3만 6,544대 판매
- Ford 등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관세로 인해 중국에서 복잡한 상황에 직면해 있음
□ BluSmart, 공동 창업자 조사 후 영업 중단
- 공동 창업자의 계열사 자금 유용 등으로 규제 당국의 조사를 받은 후 영업을 중단함
• 고객들에게 메일을 통해 예약 서비스 일시 중단을 통보함
- 서비스가 재개되지 않으면, 90일 내에 환불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공지
• 인도 증권거래위원회(SEBI)는 공동 창업자 Anmol Jaggi와 그의 동생 Puneet을 주식 시장에서 퇴출하기로 결정함
- Anmol Jaggi가 Managing Director로 있는 태양 에너지 회사 Gensol에 대한 조사도 명령
• BluSmart
- 8000대 이상의 택시를 보유
- 뉴델리, 뭄바이, 벵갈루루 등 도시에 충전 허브를 설치하고 운영하고 있음
- 2025년 3월, Uber는 BluSmart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음
[간략뉴스]
□ Daimler, 'Torc Robotics'에 자율주행 지원 트럭 인도
- Daimler Truck은 자회사인 'Torc Robotics'에 자율주행 지원 신규 트럭을 인도했다고 밝힘
- 5세대 Cascadia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했으며, Daimler의 가장 진보된 클래스 8 플랫폼임
- SAE 'Level 4' 자율주행에 필수적인 제동 및 조향 등 주요 안전 시스템의 이중화 기능을 내장
□ Renault 회장, Nissan 이사회에서 사임 예정
- Nissan은 Renault의 Jean Dominique Senard 회장과 Pierre Fleuriot가 Nissan 이사회에서 사임할 예정이라고 밝힘
- 6월로 예정된 Nissan 연례 주주 총회 이후 사임 예정
- 최근 Nissan과 Renault는 상호 출자 지분을 현재의 15%에서 10%로 낮추기로 합의한 바 있음
□ Bridgestone, 채권 발행 규모 500억엔으로 축소
- Bridgestone이 계획 중이던 채권 발행 규모를 약 500억엔으로 절반 이상 축소한 것으로 알려짐
- 7년 만기 옵션도 철회하기로 결정함
- 시장에서는 발행 규모가 당초 기대보다 작지만, 기업 채권 시장이 점차 안정을 찾아갈 것으로 전망함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컴플라이언스 검 필
KAMA Auto Daily (25.04.21)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산업동향]
□ Ford, 미국산 차량의 중국 수출 중단
- Ford가 미국에서 생산한 자동차의 중국 수출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짐
• 주력 픽업트럭 'F-150'의 일부 모델과 SUV 'Bronco' 등 고가 모델을 중심으로 중단했음
• 2024년 약 5500대를 중국에 수출했음
- 미국은 중국산 수입품에 총 145%의 추가 관세를 부과
- 중국도 보복 조치로 미국산 수입품에 125%의 관세를 부과했음
• Tesla도 미국산 차량의 신규 주문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음
□ Carizon, 자체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
- Carizon은 중국 시장용 AI 기반 자체 자율주행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힘
• 다음 주 'Auto Shanghai 2025'에서 해당 기술을 선보일 예정
• 2025년 출시 예정인 VW 브랜드 모델에 적용해 'Level 2+' 기능을 제공할 계획
• 2026년부터는 보급형 차량에도 고급 버전을 적용할 계획
- Carizon은 VW 소프트웨어 부문 자회사 Cariad와 Horizon Robotics의 합작사임
□ Ford, 2024년 중국에서 9억달러 수익 기록
- Ford의 John Lawler 부회장은 중국 사업(수출 포함)이 2024년에 9억달러의 수익(이자 및 세금 차감 전)을 기록했다고 밝힘
• 현재 중국을 수출 허브로 활용하는 데 주력하고 있음
- 중국에서 Lincoln 'Nautilus'를 조립, 2024년 미국에서 전년 대비 50% 증가한 3만 6,544대 판매
- Ford 등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관세로 인해 중국에서 복잡한 상황에 직면해 있음
□ BluSmart, 공동 창업자 조사 후 영업 중단
- 공동 창업자의 계열사 자금 유용 등으로 규제 당국의 조사를 받은 후 영업을 중단함
• 고객들에게 메일을 통해 예약 서비스 일시 중단을 통보함
- 서비스가 재개되지 않으면, 90일 내에 환불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공지
• 인도 증권거래위원회(SEBI)는 공동 창업자 Anmol Jaggi와 그의 동생 Puneet을 주식 시장에서 퇴출하기로 결정함
- Anmol Jaggi가 Managing Director로 있는 태양 에너지 회사 Gensol에 대한 조사도 명령
• BluSmart
- 8000대 이상의 택시를 보유
- 뉴델리, 뭄바이, 벵갈루루 등 도시에 충전 허브를 설치하고 운영하고 있음
- 2025년 3월, Uber는 BluSmart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음
[간략뉴스]
□ Daimler, 'Torc Robotics'에 자율주행 지원 트럭 인도
- Daimler Truck은 자회사인 'Torc Robotics'에 자율주행 지원 신규 트럭을 인도했다고 밝힘
- 5세대 Cascadia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했으며, Daimler의 가장 진보된 클래스 8 플랫폼임
- SAE 'Level 4' 자율주행에 필수적인 제동 및 조향 등 주요 안전 시스템의 이중화 기능을 내장
□ Renault 회장, Nissan 이사회에서 사임 예정
- Nissan은 Renault의 Jean Dominique Senard 회장과 Pierre Fleuriot가 Nissan 이사회에서 사임할 예정이라고 밝힘
- 6월로 예정된 Nissan 연례 주주 총회 이후 사임 예정
- 최근 Nissan과 Renault는 상호 출자 지분을 현재의 15%에서 10%로 낮추기로 합의한 바 있음
□ Bridgestone, 채권 발행 규모 500억엔으로 축소
- Bridgestone이 계획 중이던 채권 발행 규모를 약 500억엔으로 절반 이상 축소한 것으로 알려짐
- 7년 만기 옵션도 철회하기로 결정함
- 시장에서는 발행 규모가 당초 기대보다 작지만, 기업 채권 시장이 점차 안정을 찾아갈 것으로 전망함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컴플라이언스 검 필
20.04.202522:27
[현대차증권 자동차/ 장문수/ 02-3787-2639]
HMC Auto News (25.04.21)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1. 국내뉴스
▶️"그간 미흡했다" 현대차의 자성…'하브 열풍'에 내놓은 야심작 [현장+](한국경제)
- 하이브리드 열풍…차세대 시스템 개발
- https://buly.kr/A45IO1n
▶️현대차 팰리세이드, 美 아빠들 홀렸다...누적판매 '무려'(SBS)
- 현대차 팰리세이드, 美 누적판매 50만대…출시 6년 만
- https://buly.kr/FWSmmDg
▶️기아 EV5, 중국 판매 증가세…국내서도 흥행할까?(뉴시스)
- EV5, 3월 중국 판매량 1278대
- https://buly.kr/GZxKgDg
▶️한국타이어, 슈퍼카 겨냥 모델 '벤투스 에보 Z' 출시(연합뉴스)
- 21일 초고성능 슈퍼 스포츠 타이어 '벤투스 에보 Z'를 출시
- https://buly.kr/GE7oiai
▶️ 전기차 속도조절에 뜨는 EREV…배터리업계 새 수익원으로 부상(연합뉴스)
- 배터리 업계에 보릿고개를 극복할 새로운 수익원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
- https://buly.kr/AlkKJIu
▶️한미 관세협상, 재무·통상 '2+2' 형식 진행 추진…"곧 발표"(연합뉴스)
- 이달 24∼25일께 관세 협상 열릴 듯
- https://buly.kr/1c8vIst
2.해외뉴스
▶️"테슬라, 주행거리계 조작해 무상 보증기간 단축"…美서 소송(연합뉴스)
- 모델Y 차주 "계기판에 실제 주행거리보다 부풀려 표시" 주장
- https://buly.kr/5q76qT2
▶️테슬라, 저가형 '모델Y' 출시 최소 3개월 지연(조선일보)
- 저가 차량을 최소 3개월 이상 늦게 선보인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
- https://buly.kr/DwDxxzt
▶️폭스바겐그룹, 아우디 미국 현지생산 추진(연합뉴스)
- 블루메 CEO "미국 정부와 건설적 대화"
- https://buly.kr/9MQGRjm
▶️ CEO 부재에 경영난… 車 판매 세계 5위 스텔란티스 ‘흔들’(조선일보)
- 스텔란티스, 5개월째 임시 이사회 체제
- https://buly.kr/D3eB3vM
▶️ SAIC과 Huawei, 신규 공동 NEV 브랜드 공개(KAMA)
▶️ RoboSense, DiDi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KAMA)
▶️ Lyft, 모빌리티 플랫폼 'FreeNow' 인수 계획(KAMA)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컴플라이언스 검 필
HMC Auto News (25.04.21)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1. 국내뉴스
▶️"그간 미흡했다" 현대차의 자성…'하브 열풍'에 내놓은 야심작 [현장+](한국경제)
- 하이브리드 열풍…차세대 시스템 개발
- https://buly.kr/A45IO1n
▶️현대차 팰리세이드, 美 아빠들 홀렸다...누적판매 '무려'(SBS)
- 현대차 팰리세이드, 美 누적판매 50만대…출시 6년 만
- https://buly.kr/FWSmmDg
▶️기아 EV5, 중국 판매 증가세…국내서도 흥행할까?(뉴시스)
- EV5, 3월 중국 판매량 1278대
- https://buly.kr/GZxKgDg
▶️한국타이어, 슈퍼카 겨냥 모델 '벤투스 에보 Z' 출시(연합뉴스)
- 21일 초고성능 슈퍼 스포츠 타이어 '벤투스 에보 Z'를 출시
- https://buly.kr/GE7oiai
▶️ 전기차 속도조절에 뜨는 EREV…배터리업계 새 수익원으로 부상(연합뉴스)
- 배터리 업계에 보릿고개를 극복할 새로운 수익원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
- https://buly.kr/AlkKJIu
▶️한미 관세협상, 재무·통상 '2+2' 형식 진행 추진…"곧 발표"(연합뉴스)
- 이달 24∼25일께 관세 협상 열릴 듯
- https://buly.kr/1c8vIst
2.해외뉴스
▶️"테슬라, 주행거리계 조작해 무상 보증기간 단축"…美서 소송(연합뉴스)
- 모델Y 차주 "계기판에 실제 주행거리보다 부풀려 표시" 주장
- https://buly.kr/5q76qT2
▶️테슬라, 저가형 '모델Y' 출시 최소 3개월 지연(조선일보)
- 저가 차량을 최소 3개월 이상 늦게 선보인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
- https://buly.kr/DwDxxzt
▶️폭스바겐그룹, 아우디 미국 현지생산 추진(연합뉴스)
- 블루메 CEO "미국 정부와 건설적 대화"
- https://buly.kr/9MQGRjm
▶️ CEO 부재에 경영난… 車 판매 세계 5위 스텔란티스 ‘흔들’(조선일보)
- 스텔란티스, 5개월째 임시 이사회 체제
- https://buly.kr/D3eB3vM
▶️ SAIC과 Huawei, 신규 공동 NEV 브랜드 공개(KAMA)
▶️ RoboSense, DiDi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KAMA)
▶️ Lyft, 모빌리티 플랫폼 'FreeNow' 인수 계획(KAMA)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컴플라이언스 검 필
22.04.202501:48
[현대차증권 자동차/ 장문수/ 02-3787-2639]
KAMA Auto Daily (25.04.22)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산업동향]
□ Volkswagen그룹, Audi 미국 현지 생산 추진 계획
- VW의 CEO는 인터뷰에서 Audi의 미국 생산이 전략의 틀 안에서 발전하는 단계가 될 것이라함
• Porsche에 대해서는 미국 현지 생산 계획이 없다고 언급함
• 관세 대응 전략과 관련해서는 미국 정부와 건설적인 대화를 하고 있다언급
- 미국에서 신뢰받는 투자자이자 파트너로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언급함
• Audi와 Porsche가 미국에서 판매하는 모든 차량은 25%의 자동차 품목 관세 대상임
- VW은 테네시주 공장에서 미국 판매용 차량의 상당 부분을 생산하고 있음
• 2024년부터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 EV 공장을 건설 중임
□ Toyota, 신형 'RAV4' 미국 생산 검토
- Toyota가 신형 RAV4의 미국 생산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 수입 차량에 대한 미국의 관세로 인한 타격을 줄이기 위한 공급망 조정의 일환임
- 당초 캐나다와 일본에서 생산한 신형 RAV4를 미국으로 수출할 계획이었음
- 2026년형 RAV4의 미국 출시 시기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음
- 켄터키에서의 생산을 진행한다면, 2027년 생산이 유력함
• 현재 RAV4는 미국 켄터키, 캐나다, 일본에서 생산 중임
- Toyota는 2024년 미국에서 47만 5천대 이상의 RAV4를 판매했음
• 미국 전체 판매량의 약 20% 차지함
□ Tesla, 미국산 저가형 'Model Y' 출시 연기
- Tesla가 미국산 저가형 'Model Y' 출시를 연기한 것으로 알려짐
• Tesla는 내부 코드명 'E41'인 저가형 Model Y가 미국에서 1H25에 생산될 것이라 발표했었음
• 하지만, 실제 생산 시점은 빠르면 2025년 3분기 또는 2026년 초로 연기될 전망
- 연기 이유는 불명확함
• 2026년 미국에서 저가형 Model Y 25만대 생산을 목표로 함
- 향후 중국과 유럽에서도 생산될 예정
□ Mazda, 미국산 'CX-50'의 캐나다 수출 중단 예정
- Mazda는 5월 12일부터 미국에서 생산된 소형 SUV 'CX-50'의 캐나다 수출을 중단할 예정
• 앨라배마 공장에서 조립된 캐나다향 CX-50만 해당됨
• 미국 및 기타 시장용 모델 생산은 계속될 전망
- Mazda는 2024년 캐나다에서 약 7만 2,000대의 CX-50를 판매했음
• Mazda의 캐나다 전체 판매량 중 약 15%를 차지했음
[간략뉴스]
□ Stellantis, Leapmotor와 말레이시아 현지 생산 계획
- Stellantis는 Leapmotor와 말레이시아에서 현지화 조립 프로젝트를 발표함
- 양사는 말레이시아 케다(Kedah)주 기존 구룬(Gurun) 공장에서 2025년 말까지 Leapmotor의 SUV 'C10' 현지 생산을 시작할 계획
- 초기 투자금은 500만유로
□ NIO, 저가 모델에 Horizon Robotics의 ADAS 솔루션 채택
- NIO는 산하 세 번째 브랜드 'Firefly'의 첫 번째 모델에 Horizon Robotics의 칩을 사용할 계획
- 저가 모델인 Firefly의 비용 절감을 위해 Horizon Robotics 솔루션을 채택
- Horizon Robotics의 'Journey' 시리즈 컴퓨팅 솔루션을 탑재할 계획
□ Volvo그룹, 미국에서 최대 800명 감원 계획
- Volvo그룹은 향후 3개월간 미국 3개 공장에서 최대 800명을 감원할 계획이라고 밝힘
-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시장 불확실성과 수요 둔화 전망에 대응한 조치임
- 펜실베이니아주 Mack Trucks 공장, 버지니아주 Dublin 공장, 메릴랜드주 (Hagerstown) 공장이 대상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컴플라이언스 검 필
KAMA Auto Daily (25.04.22)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산업동향]
□ Volkswagen그룹, Audi 미국 현지 생산 추진 계획
- VW의 CEO는 인터뷰에서 Audi의 미국 생산이 전략의 틀 안에서 발전하는 단계가 될 것이라함
• Porsche에 대해서는 미국 현지 생산 계획이 없다고 언급함
• 관세 대응 전략과 관련해서는 미국 정부와 건설적인 대화를 하고 있다언급
- 미국에서 신뢰받는 투자자이자 파트너로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언급함
• Audi와 Porsche가 미국에서 판매하는 모든 차량은 25%의 자동차 품목 관세 대상임
- VW은 테네시주 공장에서 미국 판매용 차량의 상당 부분을 생산하고 있음
• 2024년부터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 EV 공장을 건설 중임
□ Toyota, 신형 'RAV4' 미국 생산 검토
- Toyota가 신형 RAV4의 미국 생산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 수입 차량에 대한 미국의 관세로 인한 타격을 줄이기 위한 공급망 조정의 일환임
- 당초 캐나다와 일본에서 생산한 신형 RAV4를 미국으로 수출할 계획이었음
- 2026년형 RAV4의 미국 출시 시기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음
- 켄터키에서의 생산을 진행한다면, 2027년 생산이 유력함
• 현재 RAV4는 미국 켄터키, 캐나다, 일본에서 생산 중임
- Toyota는 2024년 미국에서 47만 5천대 이상의 RAV4를 판매했음
• 미국 전체 판매량의 약 20% 차지함
□ Tesla, 미국산 저가형 'Model Y' 출시 연기
- Tesla가 미국산 저가형 'Model Y' 출시를 연기한 것으로 알려짐
• Tesla는 내부 코드명 'E41'인 저가형 Model Y가 미국에서 1H25에 생산될 것이라 발표했었음
• 하지만, 실제 생산 시점은 빠르면 2025년 3분기 또는 2026년 초로 연기될 전망
- 연기 이유는 불명확함
• 2026년 미국에서 저가형 Model Y 25만대 생산을 목표로 함
- 향후 중국과 유럽에서도 생산될 예정
□ Mazda, 미국산 'CX-50'의 캐나다 수출 중단 예정
- Mazda는 5월 12일부터 미국에서 생산된 소형 SUV 'CX-50'의 캐나다 수출을 중단할 예정
• 앨라배마 공장에서 조립된 캐나다향 CX-50만 해당됨
• 미국 및 기타 시장용 모델 생산은 계속될 전망
- Mazda는 2024년 캐나다에서 약 7만 2,000대의 CX-50를 판매했음
• Mazda의 캐나다 전체 판매량 중 약 15%를 차지했음
[간략뉴스]
□ Stellantis, Leapmotor와 말레이시아 현지 생산 계획
- Stellantis는 Leapmotor와 말레이시아에서 현지화 조립 프로젝트를 발표함
- 양사는 말레이시아 케다(Kedah)주 기존 구룬(Gurun) 공장에서 2025년 말까지 Leapmotor의 SUV 'C10' 현지 생산을 시작할 계획
- 초기 투자금은 500만유로
□ NIO, 저가 모델에 Horizon Robotics의 ADAS 솔루션 채택
- NIO는 산하 세 번째 브랜드 'Firefly'의 첫 번째 모델에 Horizon Robotics의 칩을 사용할 계획
- 저가 모델인 Firefly의 비용 절감을 위해 Horizon Robotics 솔루션을 채택
- Horizon Robotics의 'Journey' 시리즈 컴퓨팅 솔루션을 탑재할 계획
□ Volvo그룹, 미국에서 최대 800명 감원 계획
- Volvo그룹은 향후 3개월간 미국 3개 공장에서 최대 800명을 감원할 계획이라고 밝힘
-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시장 불확실성과 수요 둔화 전망에 대응한 조치임
- 펜실베이니아주 Mack Trucks 공장, 버지니아주 Dublin 공장, 메릴랜드주 (Hagerstown) 공장이 대상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컴플라이언스 검 필
21.04.202523:08
[현대차증권 자동차/모빌리티 장문수]
타이어 산업 (Overweight)
타이어 1Q25 Preview
□ 주요 이슈와 결론
- (수요) 타이어 시장 북미, 유럽 OE 수요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확산되며 감소. 중국 OE의 경우 부양책 효과 보며 OE 판매가 강세를 보임. RE의 경우 중국을 제외한 주요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며 견조한 수요 상황을 지속
- (원가) 원재료비, 운임비 상승 분이 반영되며 원가율은 점증적 증가. 다만 2H25 이후 원재료, 운임비 안정화 되며 수익성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전망. 생산 최적화가 이뤄져 있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 관세 이슈가 반영될 경우 손익에 악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
- (가격) 원가 상승에 근거해 Top-tier를 시작으로 인상한 가격과 투입원가 안정세로 수익성 강세 일조. 단, 유사한 원가구조에도 낮은 수익성을 가진 글로벌 Top-tier은 가격 인상이 국내 타이어 업체 대비 시급해 불리. 고마진/고인치 믹스 개선이 관건이며, 수요 약세 시 세컨 브랜드 확대는 희석 요인
- 1Q25 Preview (영업이익기준): 전반적으로 낮아진 눈높이에 부합, 관건은 관세 이후 수익 구조
1)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BUY 유지, TP 58,000원 유지): 3,758억원(-5.8% yoy, OPM 15.4%), 컨센서스 부합
- 중국 제외 글로벌 OE 전반적 부진에도 RE 호조가 볼륨 증가 견인. 선진시장 고인치 확대와 계절 성수기가 고수익 지지. 전반적으로 2024년 말과 유사한 영업 환경, 2Q25 가격 인상(한, 유) 손익 반영
- 미국 재고 활용 및 테네시 증설 조기 진행으로 지정학적 리스크 경감 노력. 한온시스템 비용 증가로 손익 회복이 더딘점 고려 시 연결손익 반영 후 이익 회복 탄력성은 둔화될 전망
2) 금호타이어(BUY 유지, TP 6,500원 하향): 1,400억원(-3.8% yoy, OPM 11.6%), 컨센서스 13.9% 하회
- OE 부진에도 동사는 물량 확대 중으로 볼륨 실적은 긍정적. 국내 유통 개선 정상화, 미국과 유럽 볼륨 확대 순조. 미국 반덤핑 관세 환입은 1Q25 미결로 반영 안되는 점 반영 시 시장 예상 상회
- 유럽 신설 시 자금 조달은 자체 현금흐름으로 가능. 낮은 유통 주식 속 주요주주 채권단 지분 매각에 따른 오버행 우려는 여전히 수급 부담 요인이나 현 주가 수준에서 추가 하락은 제한적일 전망
3) 넥센타이어(BUY 유지, TP 7,500원 하향): 363억원(-12.6% yoy, OPM 5.0%), 컨센서스 6.0% 상회
- 美 ATD 매출이 재개되며 북미向 매출 정상화 수순, 시장 예상에 부합하는 실적을 기록할 전망. 유럽 2공장도 안정화 되며 예상대로 가동 진행 중으로 연말 풀 가동 목표는 계획 차질 없이 진행 중
- 2023년 체코 공장 2단계 가동으로 550만본 대비 2025년까지 1,100만본까지 확장할 계획. 2024년 250만본 이상, 2025년 150만본 이상 생산 순증, 볼륨 증가, 고정비 경감으로 수익성 개선 견인 전망
4) 한국앤컴퍼니(BUY 유지, TP 20,000원 하향): 1,142억원(-9.0% yoy, OPM 32.1%)
- 원화 약세와 AGM 성장, 미국 정상화가 ES 부문 실적 개선 지지. 미국 공장은 2024년 145만대 달성을 추진 중, 기존 라인 효율화로 2025년에도 17% 성장한 170만대 성장 지속 기대
- 동사의 영업부문(ES사업) 손익 회복은 긍정적. 동사의 기업가치는 사업회사(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지분 가치에 민감. 사업회사의 이익 기대치가 하향 조정됨에 따라 동사의 목표주가도 하향 조정
□ 산업 및 해당기업 주가전망
- 1Q25 높은 원재료비, 운임비와 영업일수 감소의 계절성 영향으로 전분기비 낮아진 수익성에서 2025년을 시작할 전망. 2Q25~3Q25 계절 성수기 진입에 따른 원가율 개선은 기대되나 관세 관련 영향에 타이어도 노출
- 주가는 기업 개별 이슈(한국-한온시스템 인수, 금호-채권단 지분 매각)와 업황을 반영해 낮은 Valuation 지속되며 하방을 다지고 있으나 지정학적 리스크 지속되며 매수 관점 Trading 전략이 작동하지 않는 구간. 관세 영향 지속과 경기 침체까지 고려하는 구간에서는 기존 차량 운행 장기화로 교체용 타이어 시장은 관세를 감당하며 수요를 설명할 수 있을 전망
* URL: https://buly.kr/7FRBDe7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타이어 산업 (Overweight)
타이어 1Q25 Preview
□ 주요 이슈와 결론
- (수요) 타이어 시장 북미, 유럽 OE 수요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확산되며 감소. 중국 OE의 경우 부양책 효과 보며 OE 판매가 강세를 보임. RE의 경우 중국을 제외한 주요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며 견조한 수요 상황을 지속
- (원가) 원재료비, 운임비 상승 분이 반영되며 원가율은 점증적 증가. 다만 2H25 이후 원재료, 운임비 안정화 되며 수익성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전망. 생산 최적화가 이뤄져 있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 관세 이슈가 반영될 경우 손익에 악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
- (가격) 원가 상승에 근거해 Top-tier를 시작으로 인상한 가격과 투입원가 안정세로 수익성 강세 일조. 단, 유사한 원가구조에도 낮은 수익성을 가진 글로벌 Top-tier은 가격 인상이 국내 타이어 업체 대비 시급해 불리. 고마진/고인치 믹스 개선이 관건이며, 수요 약세 시 세컨 브랜드 확대는 희석 요인
- 1Q25 Preview (영업이익기준): 전반적으로 낮아진 눈높이에 부합, 관건은 관세 이후 수익 구조
1)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BUY 유지, TP 58,000원 유지): 3,758억원(-5.8% yoy, OPM 15.4%), 컨센서스 부합
- 중국 제외 글로벌 OE 전반적 부진에도 RE 호조가 볼륨 증가 견인. 선진시장 고인치 확대와 계절 성수기가 고수익 지지. 전반적으로 2024년 말과 유사한 영업 환경, 2Q25 가격 인상(한, 유) 손익 반영
- 미국 재고 활용 및 테네시 증설 조기 진행으로 지정학적 리스크 경감 노력. 한온시스템 비용 증가로 손익 회복이 더딘점 고려 시 연결손익 반영 후 이익 회복 탄력성은 둔화될 전망
2) 금호타이어(BUY 유지, TP 6,500원 하향): 1,400억원(-3.8% yoy, OPM 11.6%), 컨센서스 13.9% 하회
- OE 부진에도 동사는 물량 확대 중으로 볼륨 실적은 긍정적. 국내 유통 개선 정상화, 미국과 유럽 볼륨 확대 순조. 미국 반덤핑 관세 환입은 1Q25 미결로 반영 안되는 점 반영 시 시장 예상 상회
- 유럽 신설 시 자금 조달은 자체 현금흐름으로 가능. 낮은 유통 주식 속 주요주주 채권단 지분 매각에 따른 오버행 우려는 여전히 수급 부담 요인이나 현 주가 수준에서 추가 하락은 제한적일 전망
3) 넥센타이어(BUY 유지, TP 7,500원 하향): 363억원(-12.6% yoy, OPM 5.0%), 컨센서스 6.0% 상회
- 美 ATD 매출이 재개되며 북미向 매출 정상화 수순, 시장 예상에 부합하는 실적을 기록할 전망. 유럽 2공장도 안정화 되며 예상대로 가동 진행 중으로 연말 풀 가동 목표는 계획 차질 없이 진행 중
- 2023년 체코 공장 2단계 가동으로 550만본 대비 2025년까지 1,100만본까지 확장할 계획. 2024년 250만본 이상, 2025년 150만본 이상 생산 순증, 볼륨 증가, 고정비 경감으로 수익성 개선 견인 전망
4) 한국앤컴퍼니(BUY 유지, TP 20,000원 하향): 1,142억원(-9.0% yoy, OPM 32.1%)
- 원화 약세와 AGM 성장, 미국 정상화가 ES 부문 실적 개선 지지. 미국 공장은 2024년 145만대 달성을 추진 중, 기존 라인 효율화로 2025년에도 17% 성장한 170만대 성장 지속 기대
- 동사의 영업부문(ES사업) 손익 회복은 긍정적. 동사의 기업가치는 사업회사(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지분 가치에 민감. 사업회사의 이익 기대치가 하향 조정됨에 따라 동사의 목표주가도 하향 조정
□ 산업 및 해당기업 주가전망
- 1Q25 높은 원재료비, 운임비와 영업일수 감소의 계절성 영향으로 전분기비 낮아진 수익성에서 2025년을 시작할 전망. 2Q25~3Q25 계절 성수기 진입에 따른 원가율 개선은 기대되나 관세 관련 영향에 타이어도 노출
- 주가는 기업 개별 이슈(한국-한온시스템 인수, 금호-채권단 지분 매각)와 업황을 반영해 낮은 Valuation 지속되며 하방을 다지고 있으나 지정학적 리스크 지속되며 매수 관점 Trading 전략이 작동하지 않는 구간. 관세 영향 지속과 경기 침체까지 고려하는 구간에서는 기존 차량 운행 장기화로 교체용 타이어 시장은 관세를 감당하며 수요를 설명할 수 있을 전망
* URL: https://buly.kr/7FRBDe7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1.04.202522:27
[현대차증권 자동차/ 장문수/ 02-3787-2639]
HMC Auto News (25.04.22)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1. 국내뉴스
▶️‘라이벌’ 현대차·포스코, 트럼프발 통상전쟁에 손잡았다(동아일보)
- 양사는 철강과 이차전지 소재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상호 협력 예정
- https://buly.kr/C09dWCw
▶️기아 EV3, '세계 올해의 차'에 이어…최우수 디자인 선정(한국경제)
- 현대차·기아, ‘2025 레드 닷 어워드’ 7관왕
- https://buly.kr/BeK7YZy
▶️車 운반선에 대당 150달러 폭탄…'병 주고 약 주는' 트럼프(뉴스1)
- 中 선박·해운사 거액 입항 수수료 K-조선·해운 '반사이익
- https://buly.kr/2JnxZLO
▶️ 제네시스, 美 관세 부과 전 수출 급증…향후 전략은?(뉴시스)
- 제네시스 3월 수출, 1월보다 56% 증가
- https://buly.kr/jZ8k0L
▶️ 4월 무역적자 1억 달러…대미 수출 14.3%↓ ‘트럼프 관세’ 영향(서울신문)
- 철강제품(-8.7% yoy), 승용차(-6.5% yoy), 정밀기기(-5.9% yoy)
- https://buly.kr/4Qn3L8k
▶️ "자동차 품목관세, 국가별 협상 무관 지속 가능성…GM도 타격"(연합뉴스)
- 무협·CSIS 보고서…"완성차 조립까지 7∼8회 국경 넘어 美 기업도 수익 악화"
- https://buly.kr/74WQ3Ne
2.해외뉴스
▶️“전기차 슈퍼카부터 2000만원대 보급형까지”... 2025 상하이 오토쇼 관전 포인트(매일경제)
- 전시면적 코엑스 10배…세계 최대 모터쇼
- https://buly.kr/74WQ3Ne
▶️中에 허 찔린 K-배터리 … CATL, 전기차 샤시에 배터리 달고 '씽씽'(뉴데일리)
- CATL, '셀 to 팩' → '셀 to 샤시' 진화
- https://buly.kr/6Bwd9J6
▶️ 中전기차 업체 BYD, 내년 일본 시장 전용 EV 경차 출시 추진(연합뉴스)
- 일본 경차 규격에 대응한 새로운 플랫폼을 개발해 2026년 후반 출시를 추진 중
- https://buly.kr/CWtuSgA
▶️ 中 샤오펑의 자신감...해외 매출 비중 절반 끌어올린다(지디넷코리아)
- 올해 30개국 추가 진출 예정…전기차 판매, 전년 대비 두배 '38만대' 목표
- https://buly.kr/DPThMlE
▶️ Daimler, 'Torc Robotics'에 자율주행 지원 트럭 인도(KAMA)
▶️ Renault 회장, Nissan 이사회에서 사임 예정(KAMA)
▶️ Bridgestone, 채권 발행 규모 500억엔으로 축소(KAMA)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컴플라이언스 검 필
HMC Auto News (25.04.22)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1. 국내뉴스
▶️‘라이벌’ 현대차·포스코, 트럼프발 통상전쟁에 손잡았다(동아일보)
- 양사는 철강과 이차전지 소재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상호 협력 예정
- https://buly.kr/C09dWCw
▶️기아 EV3, '세계 올해의 차'에 이어…최우수 디자인 선정(한국경제)
- 현대차·기아, ‘2025 레드 닷 어워드’ 7관왕
- https://buly.kr/BeK7YZy
▶️車 운반선에 대당 150달러 폭탄…'병 주고 약 주는' 트럼프(뉴스1)
- 中 선박·해운사 거액 입항 수수료 K-조선·해운 '반사이익
- https://buly.kr/2JnxZLO
▶️ 제네시스, 美 관세 부과 전 수출 급증…향후 전략은?(뉴시스)
- 제네시스 3월 수출, 1월보다 56% 증가
- https://buly.kr/jZ8k0L
▶️ 4월 무역적자 1억 달러…대미 수출 14.3%↓ ‘트럼프 관세’ 영향(서울신문)
- 철강제품(-8.7% yoy), 승용차(-6.5% yoy), 정밀기기(-5.9% yoy)
- https://buly.kr/4Qn3L8k
▶️ "자동차 품목관세, 국가별 협상 무관 지속 가능성…GM도 타격"(연합뉴스)
- 무협·CSIS 보고서…"완성차 조립까지 7∼8회 국경 넘어 美 기업도 수익 악화"
- https://buly.kr/74WQ3Ne
2.해외뉴스
▶️“전기차 슈퍼카부터 2000만원대 보급형까지”... 2025 상하이 오토쇼 관전 포인트(매일경제)
- 전시면적 코엑스 10배…세계 최대 모터쇼
- https://buly.kr/74WQ3Ne
▶️中에 허 찔린 K-배터리 … CATL, 전기차 샤시에 배터리 달고 '씽씽'(뉴데일리)
- CATL, '셀 to 팩' → '셀 to 샤시' 진화
- https://buly.kr/6Bwd9J6
▶️ 中전기차 업체 BYD, 내년 일본 시장 전용 EV 경차 출시 추진(연합뉴스)
- 일본 경차 규격에 대응한 새로운 플랫폼을 개발해 2026년 후반 출시를 추진 중
- https://buly.kr/CWtuSgA
▶️ 中 샤오펑의 자신감...해외 매출 비중 절반 끌어올린다(지디넷코리아)
- 올해 30개국 추가 진출 예정…전기차 판매, 전년 대비 두배 '38만대' 목표
- https://buly.kr/DPThMlE
▶️ Daimler, 'Torc Robotics'에 자율주행 지원 트럭 인도(KAMA)
▶️ Renault 회장, Nissan 이사회에서 사임 예정(KAMA)
▶️ Bridgestone, 채권 발행 규모 500억엔으로 축소(KAMA)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컴플라이언스 검 필
16.04.202522:27
[현대차증권 자동차/ 장문수/ 02-3787-2639]
HMC Auto News (25.04.17)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1. 국내뉴스
▶️무뇨스 현대차 사장 "미국 차량 가격 대폭 인상 없다"(뉴시스)
- 미국 차량 가격 급등 우려 진화
- https://buly.kr/5fCKLdI
▶️현대모비스, 상해모터쇼서 신기술 선보여…올해 中 수주 목표 2억달러(아시아경제)
- AR 헤드업 디스플레이·사운드 데모카 등 공개
- https://buly.kr/EdsyNF7
▶️한온시스템, 미국 페이스 어워드 수상…기술 혁신 입증(뉴시스)
- 올해로 3번째 페이스 어워드 수상 영예
- https://buly.kr/CopwLf
▶️'25% 관세 부과 전인데'…3월 대미 자동차 수출 10% 감소(연합뉴스)
- 3월 전체 車 수출 62억달러, 작년보다 1.2%↑…1분기 수출은 1.3%↓
- https://buly.kr/FhNVsVV
▶️ 한국GM “부평공장서 자동차 2만대 추가 생산”(서울신문)
- 올해 23만대로 늘어… 철수설 불식
- https://buly.kr/APumpff
▶️자동차 3월 생산·내수·수출 ‘트리플 증가’(세계일보)
- 생산량과 내수 판매량, 수출액이 모두 증가
- https://buly.kr/C09bf17
2.해외뉴스
▶️1~2월 전기차 분리막 中 점유율 90% 육박…韓은 3.3%(지디넷코리아)
- 분리막 총 적재량은 약 1천920Mil㎡으로, 전년 대비 54% 성장
- https://buly.kr/FhNWG9V
▶️테슬라 사이버캡 생산 제동?…"중국산 부품 운송 계획 중단"(연합뉴스)
- "높은 관세에 사이버캡·세미 트럭 부품 못들여와"
- https://buly.kr/FWSlHLo
▶️볼보, 미국 시장에서 S90 판매 중단…부진과 관세 부담(서울경제)
- 시장 부진, 관세 부담으로 인한 단종 결정
- https://buly.kr/AapXoVj
▶️ 美 관세에 백기 든 日 혼다…현지 30% 증산 검토(한국경제)
- 혼다 SUV, 캐나다·멕시코서 미국으로 이전 생산
- https://buly.kr/BeK5hPQ
▶️ Isuzu, Fujitsu와 SDV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체결(KAMA)
▶️MAN Truck & Bus, 독일 공장에서 배터리 생산 개시(KAMA)
▶️ Kodiak Robotics, SPAC을 통해 상장 추진 계획(KAMA)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컴플라이언스 검 필
HMC Auto News (25.04.17)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1. 국내뉴스
▶️무뇨스 현대차 사장 "미국 차량 가격 대폭 인상 없다"(뉴시스)
- 미국 차량 가격 급등 우려 진화
- https://buly.kr/5fCKLdI
▶️현대모비스, 상해모터쇼서 신기술 선보여…올해 中 수주 목표 2억달러(아시아경제)
- AR 헤드업 디스플레이·사운드 데모카 등 공개
- https://buly.kr/EdsyNF7
▶️한온시스템, 미국 페이스 어워드 수상…기술 혁신 입증(뉴시스)
- 올해로 3번째 페이스 어워드 수상 영예
- https://buly.kr/CopwLf
▶️'25% 관세 부과 전인데'…3월 대미 자동차 수출 10% 감소(연합뉴스)
- 3월 전체 車 수출 62억달러, 작년보다 1.2%↑…1분기 수출은 1.3%↓
- https://buly.kr/FhNVsVV
▶️ 한국GM “부평공장서 자동차 2만대 추가 생산”(서울신문)
- 올해 23만대로 늘어… 철수설 불식
- https://buly.kr/APumpff
▶️자동차 3월 생산·내수·수출 ‘트리플 증가’(세계일보)
- 생산량과 내수 판매량, 수출액이 모두 증가
- https://buly.kr/C09bf17
2.해외뉴스
▶️1~2월 전기차 분리막 中 점유율 90% 육박…韓은 3.3%(지디넷코리아)
- 분리막 총 적재량은 약 1천920Mil㎡으로, 전년 대비 54% 성장
- https://buly.kr/FhNWG9V
▶️테슬라 사이버캡 생산 제동?…"중국산 부품 운송 계획 중단"(연합뉴스)
- "높은 관세에 사이버캡·세미 트럭 부품 못들여와"
- https://buly.kr/FWSlHLo
▶️볼보, 미국 시장에서 S90 판매 중단…부진과 관세 부담(서울경제)
- 시장 부진, 관세 부담으로 인한 단종 결정
- https://buly.kr/AapXoVj
▶️ 美 관세에 백기 든 日 혼다…현지 30% 증산 검토(한국경제)
- 혼다 SUV, 캐나다·멕시코서 미국으로 이전 생산
- https://buly.kr/BeK5hPQ
▶️ Isuzu, Fujitsu와 SDV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체결(KAMA)
▶️MAN Truck & Bus, 독일 공장에서 배터리 생산 개시(KAMA)
▶️ Kodiak Robotics, SPAC을 통해 상장 추진 계획(KAMA)
장문수의 HMC Auto Call
개별채널 https://t.me/auto_call
*컴플라이언스 검 필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