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한투 선진국] 최보원 avatar

[한투 선진국] 최보원

*주의* 새벽에도 알림이 울릴 수 있습니다.
Рэйтынг TGlist
0
0
ТыпПублічны
Вертыфікацыя
Не вертыфікаваны
Надзейнасць
Не надзейны
Размяшчэнне
МоваІншая
Дата стварэння каналаЛип 08, 2019
Дадана ў TGlist
Вер 17, 2024

Папулярныя публікацыі [한투 선진국] 최보원

28.03.202509:58
[한투증권 최보원] 차주 주목 지표/일정 요약

이어서 금일 저녁~다음 주에 최소한 확인해야 하는 일정들을 송부 드립니다.

● 지표 발표 일정 (한국시간)

★ 미국

*3/31 (월)
- 3월 시카고 PMI(22:45)

*4/1 (화)
- 3월 S&P 글로벌 제조업 PMI 확정치(22:45)
- 2월 JOLTs 구인이직건수(23:00)
- 3월 ISM 제조업 PMI(23:00)

*4/2 (수)
- MBA 모기지 신청건수(20:00)
- 3월 ADP 비농업부문 고용(21:15)
- 2월 공장수주(23:00)
- 2월 내구재수주 확정치(23:00)

*4/3 (목)
- 2월 무역수지(21:30)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21:30)
- 3월 S&P 글로벌 서비스업, 종합 PMI 확정치(22:45)
- 3월 ISM 비제조업 PMI(23:00)

*4/4 (금)
- 3월 비농업고용(21:30)
- 3월 실업률(21:30)
- 3월 시간당 평균 임금 상승률(21:30)

-----------------
★ 유로존

*4/1 (화)
- 3월 HCOB 제조업 PMI 확정치(17:00)
- 3월 CPI 예비치(18:00)
- 3월 근원 CPI 예비치(18:00)
- 2월 실업률(18:00)

*4/3 (목)
- 3월 HCOB 서비스업 PMI, 종합 PMI 확정치(17:00)
- 2월 PPI(18:00)

-----------------
★ 영국

*4/1 (화)
- 3월 전국주택가격지수(15:00)
- 3월 S&P 글로벌 제조업 PMI 확정치(17:30)

*4/3 (목)
-3월 S&P 글로벌 서비스업, 종합 PMI 확정치(17:30)

-----------------
★ 일본

*3/31 (월)
- 2월 광공업생산 예비치(08:50)
- 2월 소매판매(08:50)
- 2월 주택착공건수(14:00)

*4/1 (화)
- 2월 실업률(08:30)
- 2월 유효구인배율(08:30)
- 3월 au지분은행 제조업 PMI 확정치(09:30)

*4/3 (목)
- 3월 au지분은행 서비스업, 종합 PMI 확정치(09:30)

*4/4 (금)
- 2월 가계지출(08:30)

----------------
● 미국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3/31 (월)
- 개장 전: 로어 홀딩스(LOAR) 등
- 장마감 후: 필립스 반 휴센(PVH), 테크타겟(TTGT) 등

*4/2 (수)
- 개장 전: 유니퍼스트 코퍼레이션(UNF), 블랙베리(BB) 등
- 장마감 후: RH(RH), 펭귄 솔루션스(PENG) 등

*4/3 (목)
- 개장 전: 콘아그라 브랜즈(CAG), 어큐이티 브랜즈(AYI), 램 웨스턴 홀딩스(LW) 등

-----------------
● 일본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4/4(금)
- 야스카와 전기(6506) 등

즐거운 금요일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04.04.202511:33
프랑스 "대미 투자 중단" 스페인 "관세 지원금"… 유럽서 '트럼프 관세 대응책' 봇물

미국이 유럽연합(EU)에 '관세 20%'를 부과한 3일(현지시간) EU의 양대 경제 강국인 프랑스에서는 '프랑스 기업의 미국에 대한 투자 중단 필요성'이 제기

마크롱 대통령은 "향후 미국에 대한 투자 계획은 미국과의 문제를 해결할 때까지 보류해야 한다"며 "그들이 우리를 공격하고 있을 때 유럽의 주요 기업이 미국 경제에 막대한 돈을 투자해서 되겠느냐"는 입장

마크롱 대통령은 "미국은 이 결정으로 더 약해지고 가난해질 것"이라며 인구가 약 4억5,000만 명인 EU라는 거대 시장을 미국이 놓친 셈이라는 점 강조

스페인 정부는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피해를 보전하는 데 지원금을 투입하기로 결정.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는 3일 연설을 통해 "약 141억 유로(약 22조3,667억 원) 규모의 지원 패키지를 마련했다"고 발표하며 "특정 지도자의 터무니없는 주장이 사회적 다수의 돈으로 지불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5040409390005577
2025년 추가 예상 기준금리 인하 횟수가 재차 2회에서 3회로 확대. 고물가에 따른 경기둔화 부담 확산
11.04.202506:24
[한투증권 최보원] 차주 주목 지표/일정 요약

이어서 금일 저녁~다음 주에 최소한 확인해야 하는 일정들을 송부 드립니다.

● 지표 발표 일정 (한국시간)

★ 미국

*4/15 (화)
- 3월 뉴욕 기대 인플레이션(00:00)
- 4월 뉴욕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 지수(21:30)
- 3월 수출입물가지수(21:30)

*4/16 (수)
- MBA 모기지 신청건수(20:00)
- 3월 소매판매(21:30)
- 3월 산업생산(22:15)
- 4월 NAHB 주택시장지수(23:00)

*4/17 (목)
- 3월 주택착공건수(21:30)
- 3월 건축허가건수 예비치(21:30)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21:30)
- 4월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활동지수(21:30)

*4/18 (금)
- 부활절 연휴로 휴장

-----------------
★ 유로존

*4/15 (화)
- 2월 산업생산(18:00)
- 4월 ZEW 경기전망지수(18:00)

*4/16 (수)
- 2월 경상수지(17:00)
- 3월 CPI/근원 CPI 확정치(18:00)

*4/17 (목)
- ECB 회의(22:15)

-----------------
★ 영국

*4/14 (월)
- 4월 Rightmove 주택가격수지(08:01)

*4/15 (화)
- 2월 실업률(15:00)

*4/16 (수)
- 3월 CPI/근원 CPI(15:00)

*4/18 (금)
- 부활절 연휴로 휴장

-----------------
★ 일본

*4/14 (월)
- 2월 광공업생산 확정치(13:30)
- 2월 설비가동률(13:30)

*4/16 (수)
- 4월 단칸지수(08:00)
- 2월 핵심기계수주(08:50)

*4/17 (목)
- 3월 무역수지(08:50)
- 3월 수출(08:50)

*4/18 (금)
- 3월 전국 CPI(08:30)

----------------
● 미국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4/14 (월)
- 개장 전: 골드만삭스 그룹(GS) 등

*4/15 (화)
- 개장 전: 존슨앤존슨(JNJ), 뱅크오브아메리카(BAC), 씨티그룹(C), PNC 파이낸셜 서비스(PNC) 등
- 장마감 후: 유나이티드 에어라인스 홀딩스(UAL) 등

*4/16 (수)
- 개장 전: 애보트 래버러토리(ABT), 프로로지스(PLD), U.S. 뱅코프(USB) 등
- 장마감 후: CSX(CSX) 등

*4/17 (목)
- 개장 전: 유나이티드헬스 그룹(UNH), 아메리칸 엑스프레스(AXP), 블랙스톤(BX), D.R. 호턴(DHI) 등
- 장마감 후: 넷플릭스(NFLX) 등

-----------------
● 일본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4/14 (월)
- 도호(9602), J 프론트 리테일링(3086), 다카시마야(8233) 등

*4/17 (목)
- 디스코(6146) 등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15.04.202521:49
美서 對中 무역협상 압박수단으로 美증시 상장 中기업 퇴출 논의

미국 정가에서 미국이 중국과의 무역 전쟁에서 사용할 무기로 미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을 증시에서 퇴출하는 방안이 논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우군이자 사업가인 케빈 오리어리는 지난 11일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 상장 폐지가 "중국이 협상 테이블로 오도록 압박"할 것이라고 주장

릭 스콧 상원의원(공화·플로리다)은 최근 폴 앳킨스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 지명자에 보낸 서한에서 이 문제를 거론

그는 "미국의 자본 시장은 전 세계 기업에 비할 데 없는 자금 조달 기회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 특권에는 책임이 따르는데 그 중 핵심은 투명성과 우리 금융 공시 규정 준수다. 중국 기업들이 우리 규정을 따르기를 거부하면서 계속해서 미국 자본에 대한 접근을 누린다는 게 걱정된다"고도 표현

https://www.yna.co.kr/view/AKR20250416005300071
15.04.202521:48
트럼프 관세 맞받아치는 중국…미국 ‘두렵지 않은’ 7가지 이유

①수출시장 다변화 대미 의존도 크게 줄어

②첨단제품 자립화 美제재 영향 체질 개선

③희토류 수출제한 생산량 90% 독점 지위

④농산물 수입제한 美 공화당 지지층 타격

⑤위안화 평가절하 고율 관세 타격 줄여줘

⑥美국채 매도카드 日 이어 세계 2위 보유

⑦동남아·美동맹 연대 해외 돌며 우군 확보

https://mbiz.heraldcorp.com/article/10465492
05.04.202523:32
"머스크 관둔다고? 가짜"라더니…트럼프 "몇 달 내 정부 떠날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몇 달 안에 정부효율부(DOGE)를 떠날 수 있다는 점 시사

머스크가 조만간 DOGE를 떠날 것이란 최근 언론 보도와 관련해 기자들에게 "일론은 환상적"이라면서 "일론은 원하는 만큼 (정부에) 남을 수 있다"고 발언

이어 "일론은 일정 기간 머문 다음 본업으로 돌아갈 것"이라면서 "그는 환상적으로 일하고 있다"며 머스크가 얼마나 더 정부에 머물 것이냔 질문엔 "몇 달 정도일 것 같다"고 답변

https://m.mt.co.kr/renew/view_amp.html?no=2025040415065334895
31.03.202512:08
주요 선물지수가 일제히 하락. CNN 공포/탐욕지수는 극도의 공포 수준까지 낮아지며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심리 위축
06.04.202515:15
● 금주 주목 포인트

① 미국 CPI, PPI
② 미국 FOMC 의사록
③ 미국 상호관세 발효(9일)
④ 유로존 소매판매
⑤ 일본 실질임금
⑥ 미국 실적발표 - 델타, 제이피모간, 웰스파고, 블랙록 등
⑦ 일본 실적발표 - 패스트 리테일링, 이온 등
04.04.202508:45
[한투증권 최보원] 차주 주목 지표/일정 요약

이어서 금일 저녁~다음 주에 최소한 확인해야 하는 일정들을 송부 드립니다.

● 지표 발표 일정 (한국시간)

★ 미국

*4/9 (수)
- MBA 모기지 신청건수(20:00)

*4/10 (목)
- FOMC 의사록(03:00)
- 3월 CPI(21:30)
- 3월 근원 CPI(21:30)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21:30)

*4/11 (금)
- WASDE 보고서(01:00)
- 3월 PPI(21:30)
- 3월 근원 PPI(21:30)
- 4월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 예비치(23:00)
- 4월 미시간대 소비자기대지수 예비치(23:00)
- 4월 미시간대 기대 인플레이션 예비치(23:00)

[헤드라인 CPI]
(YoY) 예상치 2.5%, 이전치 2.8%
(MoM) 예상치 0.1%, 이전치 0.2%

[근원 CPI]
(YoY) 예상치 3.0%, 이전치 3.1%
(MoM) 예상치 0.3%, 이전치 0.2%

-----------------
★ 유로존

*4/7 (월)
- 2월 소매판매(18:00)

-----------------
★ 영국

*4/10 (목)
-3월 RICS 주택가격수지(08:01)

*4/11 (금)
- 2월 광공업생산(15:00)
- 2월 제조업생산(15:00)
- 2월 건설생산(15:00)
- 2월 무역수지(15:00)

-----------------
★ 일본

*4/7 (월)
- 2월 실질임금(08:30)
- 2월 경기선행지수 예비치(14:00)

*4/8 (화)
- 2월 경상수지(08:50)

*4/9 (수)
- 3월 소비자기대지수(14:00)
- 3월 공작기계수주 예비치(15:00)

*4/10 (목)
- 3월 PPI(08:50)

-----------------

● 연준 의장/연은 총재 연설 일정 (한국시간)

* 4/5: 연준 파월 의장(00:25)
* 4/5: 연준 월러 이사(01:45)

----------------
● 미국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4/8 (화)
- 개장 전: RPM 인터내셔널(RPM) 등
- 장마감 후: 칼 메인 푸즈(CALM), 마마스 크리에이션스(MAMA) 등

*4/9 (수)
- 개장 전: 델타 에어라인스(DAL) 등
- 장마감 후: 컨스텔레이션 브랜즈(STZ) 등

*4/10 (목)
- 개장 전: 카맥스(KMX) 등

*4/11 (금)
- 개장 전: 제이피모간체이스(JPM), 웰스파고 & 컴퍼니(WFC), 블랙록(BLK), 뉴욕 멜론 은행(BK), 패스널(FAST) 등
-----------------
● 일본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4/9 (수)
- 세븐 & 아이 홀딩스(3382) 등

*4/10 (목)
- 패스트 리테일링(9983), 베이커런트 컨설팅(6532) 등

*4/11 (금)
- 이온(8267), 양품계획(7453) 등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10.04.202501:33
[한투증권 최보원] 일본 급등 코멘트

● 금일 일본 금융시장 점검

- 닛케이 지수가 전일대비 8.1% 상승(오전 9시 33분 기준)

- 전일 미국 상호관세 유예 발표 이후, 경기둔화 우려 확산되며 조정 컸던 업체 중심의 반발 매수세 유입

- 엔달러환율은 146.9엔으로 낮아지며 엔화 강세 기조 지속

- 업종별로는 비철금속(+13.3%), 전자기기(+11.6%), 은행업(+10.5%), 보험업(+10.4%), 증권선물(+9.6%)이 강세. 33개 업종 모두 전일대비 상승

- 일본 장기 국채금리는 1.344%까지 상승. 정책금리 인상 지연 부담으로 낙폭 컸던 업체 반등. 미쓰비시UFJ(+11.7%), 미스호파이낸셜(+11.2%) 등

- 공급망/관세 부담 크게 반영되며 조정 컸던 반도체/장비 관련주 급등. 디스코(+16.9%), 어드반테스트(+16.8%), 레이저테크(+14.1%), 스크린 홀딩스(+11.0%) 등

- 금일 실적 발표한 기업도 기대보다 높은 가이던스 발표하며 일본 기업 실적 둔화 부담도 완화

● 시사점

- 일본은 2일 관세 발표 이후 조정 폭 상대적으로 컸던 만큼 관세 부담 완화가 수출주, 경기민감주, 중앙은행 정책 수혜주 둘러싼 투자심리 개선으로 연결

- 미국, 유럽, 일본 주요 지수는 추가 상승 여력 여전히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하나, 기본관세 영향 및 의약품 등 추가 관세 발표 구체화까지는 수출주 중심의 추매 보다 관세 부담 제한적인 업체 중심의 대응 유효

- 일본은 타 국가대비로도 미국과 협상 빠르게 진행될 가능성 높게 평가되며 관세 불확실성 빠르게 해소되는 양상이나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발표에 상대적으로 등락 클 수 있다는 점에 유의 필요

- 상호관세가 폐지가 아닌 유예로 발표된 만큼 일본과 미국의 추가 협상 결과 공개전까지는 실적, 매크로 지표, 각국 정부 발표에 민감도 높은 국면 이어질 것

- 단기적으로는 조정 컸던 일본 수출주/경기 민감주 부각될 수 있으나, 추가 진입 시에도 정책금리 인상 및 엔화 강세 수혜 업체 중심의 대응 유효할 전망. 일본은 중앙은행 정책 방향성이 기타 국가들과 상이하기 때문

- 대표 금융, 내수, 배당주가 해당. 미국과 일본의 협상 진행 이후에는 장비/기계 업체들까지도 관심 확대 가능할 전망

- 닛케이 지수는 12MF PER이 14배 초반까지 낮아지며 단기 반등 컸으나, 18배 넘어서는 36,500pt 선 도달 시에는 실적/정책 확인하고자 하는 심리 강해질 것으로 예상

- 단기 반발 매수세 유입 이후에는 궁극적으로 중앙은행 정책, 일본 경기개선 수혜 업체 중심의 대응 필요한 지역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14.04.202521:48
車 관세 또 후퇴? 트럼프 “자동차 회사 도와주려고 검토 중”

트럼프는 이날 백악관에서 취재진과 만나 “전날 일부 제품에 대한 관세 면제를 언급했는데 어떤 특정 제품들을 고려 중이냐”는 질문을 받고 “일부 자동차 회사들을 도와주기 위한 조치를 검토 중”이라고 발언

전날 트럼프는 반도체와 스마트폰(애플 아이폰)에 대한 관세와 관련해 “일부 기업들에는 유연성이 있을 것”이라고 했는데, 이날 자동차 관세에 대해서도 면제를 검토한다고 말한 것

하지만 멕시코와 캐나다 등에서 공장을 운영하는 제너럴모터스(GM) 등 미 자동차 업체들이 최대 피해자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자, ‘USMCA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을 준수하는 멕시코·캐나다 자동차의 미국 부품에 대해서는 관세를 면제

일각의 예상대로 지난 11일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스마트폰과 반도체 장치 등 다수 전자 제품을 상호 관세에서 제외한다고 발표

시장은 다시 한번 안도했지만 수차례 오락가락하는 정책으로 “트럼프는 이제 신뢰성의 위기에 처했다(민주당 코리 부커 상원의원)”는 비판까지 나오자, 트럼프는 13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전자제품은 관세 면제 대상이 아니다. 누구도 봐주지 않겠다”며 진화에 나서면서 관세 정책에 후퇴가 없다는 점을 재차 강조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5/04/15/IIMK3LFJYNACVCWWXGYE6SKHSE/
28.03.202509:57
[한투증권 최보원] 넥스트

■What's Next?(금일 저녁~다음 주 준비하기)■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최보원입니다.

● 선진국 금주 업데이트

- 미국: S&P500 지수, 나스닥 지수는 전주대비 0.5%, 0.6% 상승. 일시적으로 저가 매수세 유입됐으나, 관세 불확실성 지속되며 주후반 상승 폭 축소

- 유럽: 유로스톡스 50, 600 지수는 전주대비 1.3%, 1.2% 하락. 국가별로는 영국이 0.4% 하락에 그쳤으나, 상대적으로 미국발 관세 부담 크게 반영되는 독일, 프랑스가 1.4%, 1.3% 하락

- 일본: 닛케이 지수는 전주대비 1.5% 하락. 일시적 저가 매수세 유입됐으나, 자동차 관세 및 정책금리 인상 부담 확대된 점이 지수 하방 압력으로 작용

● 차주 전망

- 차주는 미국 내에서 다양한 관세 방향성 구체화 예정. 비미국 국가들의 보복관세 공개 여부에도 경계 심화 예상

- 경기 불확실성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고용 지표도 연이어 공개될 예정

- 우려보다 제한적인 관세 발표 이후 일시적 반발 매수세 유입은 예상되나, 4월 중순 어닝 시즌 앞두고 보수적인 컨센서스 발표가 실적 불확실성으로 연결될 것

- 4월 중후반 실적 발표 전까지는 정책/경기/실적 불확실성 영향 크게 반영될 것. 적어도 4월 초까지는 단기 조정 컸던 업체 중심으로 공격적으로 비중 확대하기 보다 관세/경기 영향 제한적인 업체 선별 필요

-----------------
● 금일 저녁~다음 주 주목 포인트

① 미국 상호 관세 + 의약품/목재 관세 구체화
② 자동차 관세 발효 및 부과
③ 미국 고용 지표 밀집
④ 미국/유로존/영국/일본 제조업, 서비스업 PMI
⑤ 유로존 CPI, PPI
⑥ 일본 소매판매, 가계지출
⑦ 미국 실적 발표 - 콘아그라 브랜즈 등
⑧ 미국 미시간대 지표, PCE(금일 저녁)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31.03.202521:39
美, 韓 무역장벽 7쪽 분량 발표… 수입차, 망사용료 등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총 7쪽 분량에 달하는 한국의 무역장벽을 발표

미국무역대표부(USTR)는 31일(현지시각) 공개한 국가별 무역평가보고서(NTE)에서 “미국 자동차 제조사의 한국 자동차 시장 진출 확대는 여전히 미국의 주요 우선순위”라고 발표

USTR은 미국 정부가 한국의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른 배출 관련 부품 규제에 문제를 제기해왔다면서 자동차 업계가 관련 규정의 투명성이 결여됐다는 우려를 표명

USTR은 또 자동차 수입과 관련한 법을 위반할 경우 한국 세관 당국이 업체를 형사 기소할 수 있지만 세관이 한국에서 제조된 차량을 조사할 권한이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

USTR은 제약 및 의료 기기 산업에 대해서도 한국의 가격 책정 및 변제 정책에 투명성이 부족하고 정부가 제안한 정책 변경에 대해 이해당사자들이 의견을 제시할 기회가 부족하다는 우려가 업계에서 제기


디지털 무역장벽으로는 망사용료 등이 언급. 보고서는 해외 콘텐츠 공급자가 한국의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SP)에게 네트워크 망사용료를 내도록 하는 다수의 법안이 한국 국회에 제출됐다면서 일부 한국의 ISP는 콘텐츠 공급도 같이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의 콘텐츠 제공업자들의 비용 납부는 한국 경쟁자를 이롭게 할 것이라고 주장

https://biz.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5/04/01/BFSY2HJD65BJLJEYAVYCBDANBY/
31.03.202521:54
증시 요약)

장초반에는 일제히 하락했던 미국 주요 지수가 장후반 낙폭을 축소하며 혼조세로 마감. 나스닥,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일대비 0.1%, 0.3% 하락했으나, 다우와 S&P500 지수는 전일대비 1.0%, 0.6% 상승

관세/경기 불확실성 확대로 공포/탐욕 지수가 극도의 공포 수준까지 낮아지는 모습 보였으나, 장초반 낙폭 확대 이후 저가 매수세 유입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이어지며 필수소비재 업종이 1.6% 상승. 경기침체 우려가 제한적으로 반영되며 금융, 에너지 업종이 1.3%, 1.1% 상승. 2년물, 10년물 국채금리 하락하며 소재와 유틸리티 업종도 1.1% 씩 상승. 대표 반도체주의 하락에도 하드웨어 업체들이 반등하며 전체 IT 업종 지수는 전일대비 강보합세 마감. 테슬라, 아마존의 하락에 경기소비재 업체는 0.2% 하락

특징주)

대표 IT 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와 엔비디아는 전일대비 0.9%, 1.2% 하락했으나, 애플은 중국 휴대폰 출하량 증가 영향이 반영되며 하루 만에 1.9% 상승

커뮤니케이션 업체들은 상대적으로 양호. 메타가 약보합세로 마감됐고, 알파벳은 하루 만에 0.2% 상승

대표 경기소비재 기업인 아마존과 테슬라는 전일대비 1.3%, 1.7% 하락하며 낙폭 확대

관세 부담이 지속됐던 자동차주도 반등. GM은 하루 만에 0.8% 상승. 포드도 3.2% 상승

데이터센터 운영/임대 기업인 코어위브는 상장 첫날 7.3% 하락

모기지 대출 기업 미스터 쿠퍼는 로켓 컴퍼니스가 인수할 가능성 시사되며 14.5% 상승

향후)

미국 증시는 적어도 4월 초까지는 관세 발표 방향성에 따라 등락 반복되는 국면 불가피. 우려보다 제한적 관세 발표는 반발 매수세 유입 요인으로 작용 예상

다만 4월 초~중순에는 어닝 시즌에 돌입. 실적/경기 불확실성에 따라 일시적 되돌림에도 유의 필요. 다만 4월말의 우려보다 양호한 실적 발표는 재차 지수 반등 동력 요인이 될 것

일시적 조정 시 관세 부담 제한적이고 실적 양호한 업체 중심 대응 유효할 전망
Увайдзіце, каб разблакаваць больш функцы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