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DeFi 농부 👨🏻‍🌾 조선생 avatar
DeFi 농부 👨🏻‍🌾 조선생
DeFi 농부 👨🏻‍🌾 조선생 avatar
DeFi 농부 👨🏻‍🌾 조선생
🔸어려운 시장, 한 주간의 비트코인 뉴스🔸

정신없는 한 주였습니다. 주 초에는 '관세 전쟁'으로 인해 시장이 불안정한 흐름을 보이며 오르락내리락했습니다. 지난 목요일, '크립토 차르'로 알려진 데이비드 삭스가 비트코인을 전략적 비축 자산으로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졌으나, 미국 국부펀드에는 가상화폐 편입이 제한될 수 있다는 발표로 인해 기대감이 실망감으로 바뀌었습니다.

금요일에는 트럼프 정부가 관세 전쟁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시장에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여기에 미국 미시간대의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1% 상승한 4.3%로 발표되면서 내년 2월 금리 인상이 전망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올해 금리 인하는 한 번에 그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며, 비트코인은 여전히 10만 달러를 돌파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농부님들과 함께 한 주간의 비트코인 뉴스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디파이 농부 조선생 | 유튜브 바로가기

#디파이
👨🏻‍🌾 라이브 소통 방송!

1️⃣ 일정: 금일 (2/5) 오후 10시
2️⃣ 주제

• 이더리움 호재!?
• 코인 노가리

👉 디파이 농부 조선생 | 생방송 바로가기

#디파이
👨🏻‍🌾 Story 내 Benjamin 디앱 토큰 론칭

Story가 엑셀러레이팅한 Unleash AI Agent이며, Aetir AI 펀드 프로젝트 중 하나로 선정됨. 참여를 원하는 분들이 있어 20자리를 받아옴. 필요하신 분들은 가져가시길 바라며, 시장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DYOR

1️⃣ 일정: 2월 10일 오후 11시 (KST)
2️⃣ FDV: $6M, WL 지갑 선착순
3️⃣ 지갑당 맥스캡: 5,000 USDT

👉 벤자민 | 신청하러 가기

#AI
👨🏻‍🌾 Tabi 노드 에어드랍 이벤트

위즈우드와 Tabi Zoo 등 캐주얼 게임 분야에서 독보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는 Tabi가 컨슈머 체인으로의 도약을 앞두고 있습니다.

저희 커뮤니티에 총 100만원 상당의 에어드랍을 준다고 하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1️⃣ 기간: 1월 9일 부터 16일
2️⃣ 보상: 브론즈 노드 20개, 노드 추첨권 40개
3️⃣ 신청 링크 [Link]

👉 Tabi Zoo | 시작하기

#게임
👨🏻‍🌾 웹3 게임과 AI 에이전트는 어떤 그림을 만들까?

AI 에이전트는 디파이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게임 섹터에서도 주목할 만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음.

웹3 게임과 AI 에이전트는 플레이어의 행동을 분석하여 개별 퀘스트를 설계하고, 게임 변수를 동적으로 생성함으로써 한 게임 안에서 다양한 게임 경험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음.

ai16z의 ElizaOS 기반으로는 MomoAI와 Treasure가, 버츄얼의 G.A.M.E 기반으로는 Illuvium이 비슷한 접근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웹3 게임에서 AI 에이전트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공통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음.

• 무한한 콘텐츠: NPC들이 플레이어의 행동에 따라 동적으로 반응하여 무한한 가능성을 창출함. 플레이어는 악당, 영웅, 혹은 혼란을 일으키는 존재가 될 수 있으며, 예측할 수 없는 재미를 제공함.

• 동적 퀘스트: 플레이어의 선택과 NPC와의 상호작용, 그리고 게임 내 이벤트에 따라 퀘스트가 실시간으로 진화함. 동일한 모험이 반복되지 않으며, 항상 새로운 경험을 제공함.

웹3 게임들이 웹2와 차별화 할 수 있는 좋은 타이밍 아닐까?

👉 디파이 농부 조선생 | 트위터 바로가기

#게임
🔸이더리움 이렇게 변합니다🔸

이더리움에 대한 시장 분위기가 좋지 않지만, 긍정적으로 볼 만한 소식이 있습니다. 바로 작년부터 논의되던 '가스 리밋(Gas Limit)' 상향입니다.

가스 리밋이 올라가면 블록 내에 담을 수 있는 데이터가 많아지고, 무거운 데이터 처리가 가능해집니다. 단기적으로는 이더리움 소각량 감소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네트워크 확장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긍정적인 변화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핵심인 벨리데이터들이 이를 적극 지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현재 48%가 넘는 벨리데이터들이 가스 리밋 상향을 위해 자율적으로 조정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적인 네트워크 업그레이드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오늘은 농부님들과 이더리움 가스 리밋 상향이 가져올 변화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자 합니다. 좋아요, 구독,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디파이 농부 조선생 | 유튜브 바로가기

#디파이
👨🏻‍🌾 MegaETH, 보법이 다르다. NFT 론칭

이더리움의 초기 비전인 '월드 컴퓨터'를 재해석한 MegaETH는 새로운 방식의 커뮤니티 빌딩을 제시함.

개별 커뮤니티(팀)별로 할당량을 배분하는 구조로, 지속적인 MegaETH 서포트를 통해 시간과 노력을 보상받을 수 있도록 소울바운드 토큰(SBT) 형태의 NFT를 지급할 예정임.

이번에 민팅되는 10,000개 NFT는 토크노믹스에서 최소 5%의 물량을 배분받게 됨.

• 1단계(Retroactive)에서는 블록체인 성장에 기여한 주요 인사 및 초기 커뮤니티 기여자들에게 5,000개 NFT가 배분될 예정. [WL 체크]

• 2단계(Proactive)에서는 MegaETH와 온체인·소셜적으로 상호작용한 팀들에게 일정 물량이 배분됨.

우리 커뮤니티도 NFT WL을 받을 수 있도록 참여해 주세요. 아래 링크에서 좋아요와 RT 부탁드립니다. 몇 달 동안 콘텐트 제작하여 업로드 해보겠습니다 WL을 받게 되면 참여하신 분들 중 추첨하여 배분하겠습니다.

👉 디파이 농부 조선생 | 트위터 바로가기

#디파이
👨🏻‍🌾 MegaETH는 왜 탄생했을까?

MegaETH 는 이더리움의 '월드 컴퓨터' 비전을 되살리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 월드 컴퓨터는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구축된 인프라여야 하지만, 현재 이더리움은 높은 수수료로 인해 보편적인 사용자 경험보다는 인프라 구축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상황이다. 메가이더는 단순히 이더리움을 다시 위대하게 만드는 것을 넘어, 초기 이더리움이 제시했던 '월드 컴퓨터'라는 비전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MegaETH는 높은 경제적 보안성을 갖춘 이더리움 위에서 운영되지만, 이더리움에 국한되지 않고 비트코인, 솔라나, 카르다노 등 다양한 네트워크에서도 작동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인프라의 병목 현상을 해결하는 최적화된 Execution Layer를 제공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더리움 레이어2 프로젝트인 MegaETH는 "모든 가치는 Execution에서 비롯된다"는 철학을 기반으로 한다. 이는 솔라나, 수이(Sui) 등 여러 알트레이어1 프로젝트가 Execution의 중요성을 이미 입증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솔라나와 수이의 사용자 경험 및 성능은 시장에서 인정받았으며, 하이퍼리퀴드와 같은 성공적인 애플리케이션은 특화된 Execution Layer를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인프라 구축이 아니라, 앱 중심의 인프라 시대가 도래했음을 의미한다. 성공적인 앱만이 네트워크 효과를 창출하고, 이를 통해 인프라가 실제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좋은 애플리케이션을 위해서는 단순한 범용 인프라 기술 스택이 아니라, 커스텀 마이징이 가능한 Execution Layer가 필요하다. 이는 높은 비용이 수반되지만, 메가이더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Execution Layer를 제공함으로써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적화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전략에 따라 MegaETH는 기존보다 더욱 빠르고 효율적인 Execution Layer를 구축하여 가치 형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App-Specific Execution Layer로 포지셔닝하여 킬러 앱에 일정한 블록 공간을 배정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이 저하되지 않도록 설계하고 있다.

👉 디파이 농부 조선생 | 트위터 바로가기

#디파이
👨🏻‍🌾 Pendle을 다시 주목해야 하는 이유

2024년 상반기, EigenLayer 출시를 앞두고 LST와 LRT 열풍이 일었음. 이 섹터의 시가총액은 최대 120억 달러에 달했는데, 이는 각 프로젝트의 ‘포인트 파밍’ 수요가 컸기 때문임.

당시 가장 주목받은 프로젝트는 레버리지 파밍을 가능하게 한 Pendle 이었으며, 수수료 일부를 vePendle 예치자들에게 제공하는 구조 덕분에 Pendle 토큰 가격은 7달러 이상까지 상승했음.

그러나 이 열기는 2024년 10월 1일, EigenLayer 토큰 출시 전후로 식었고, LST/LRT 섹터의 시총도 절반 수준으로 축소되었음. Pendle의 퍼포먼스 역시 이와 함께 하락세를 보였음.

최근에는 베라체인의 ‘Boyco 프로그램’을 통해 과거 LST/LRT 열풍과 유사한 흐름이 재현되고 있다고 생각함. 투자자들은 토큰 파밍을 위해 예치를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레버리지 파밍을 위한 Pendle의 YT를 활용하려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이전과 다른 점은, EigenLayer가 주도하던 LST/LRT 시장에서는 EigenLayer 출시 전에 이미 여러 생태계 프로젝트가 토큰을 연이어 출시했던 반면, 베라체인 생태계는 베라체인 출시 이후에야 본격적으로 토큰 출시가 시작될 것이라는 점임.

베라체인이 성공적으로 론칭되면 해당 생태계의 dApp들이 주목받을 가능성이 크고, 투자자들은 프로젝트들의 토큰을 얻기 위한 ‘포인트 파밍’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됨. 이 과정에서 Pendle의 YT 파밍 전략을 통한 레버리지가 다시 각광받을 것으로 보임.

과거 LST/LRT 붐 때 큰 폭으로 상승했던 Pendle은 현재 그 고점 대비 절반 수준으로 하락해 있음. 그러나 베라체인 출시를 계기로 다시 전고점을 향해 오를 만한 충분한 근거가 있다고 생각함.

👉 디파이 농부 조선생 | 트위터 바로가기

#디파이
👨🏻‍🌾 Story+스태빌리티 AI = Don’t Fuck with My IP

AI 슈퍼 사이클은 인류의 지식 한계치를 넘어서는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생각함. 이 흐름에서 주요 역할을 하는 LLM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는데, 클로즈드 AI 구조를 가진 오픈AI와 앤트로픽이 있으며, 오픈소스 기반의 메타와 스태빌리티 AI가 있음.

데이터 학습과 추론 비용이 낮아지면서 클로즈드 소스와 오픈소스 모델 간 성능 차이가 점차 좁혀지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LLM의 차이는 모델 자체가 아니라 그 위에서 개발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AI 에이전트에 의해 결정될 것임. 이 과정에서 콘텐츠 제작 및 기여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됨.

예를 들어, 스태빌리티 AI는 이미지를 제작하는 오픈소스 LLM의 대표적인 사례지만, 생성된 콘텐츠의 지식재산권(IP) 소유권을 명확히 증명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AI 에이전트가 발전된 생태계를 구축하려면 IP 소유권을 명확히 하고 기여자들에게 적절한 인센티브를 분배하는 시스템이 필요함. 이러한 부분을 스토리가 구축하는 인프라(ERC-6551, ATCP-IP)가 보완해 준다면,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수준의 혁신적 발전이 이루어질 것임.

결론적으로, Story와 스태빌리티 AI의 파트너십은 기존 웹2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웹3의 가능성을 확대하는 크립토 프로젝트로서 큰 의미를 가짐.

👉 디파이 농부 조선생 | 트위터 바로가기

#디파이
👨🏻‍🌾 AI Agent+DeFi에 필수적인 Agent 보안 솔루션 등장

최근 ai16zdao의 Shaw 인터뷰에서 Orca 와 함께 개발 중인 디파이 에이전트 관련 소식이 전해지면서, 디파이와 AI 에이전트의 결합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쏠리고 있다.

우리가 생각해 봐야 할 것은, 에이전트가 디파이 거래를 수행할 때 피싱, 악의적 서명, 러그풀 등 보안 취약점에 노출될 가능성이 없을까 하는 점이다. 이런 맥락에서 웹3 유저 보안 솔루션과 보안 데이터를 제공하는 고플러스가 ElizaOS용 GoPlus Security 플러그인을 개발했다는 소식은, 디파이와 AI 에이전트의 결합 측면에서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생각한다.

해당 플러그인을 통해 AI 에이전트는 디파이 거래 전 허니팟 등 잠재적 위험 요소를 파악하고, 유동성 풀 및 예치 위험도를 테스트 함으로써 러그풀이나 스캠 프로젝트를 사전에 분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승인된 서명을 상시 모니터링하여 우발적인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앞으로 디파이와 결합될 에이전트 보안 솔루션이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을까?

👉 디파이 농부 조선생 | 트위터 바로가기

#디파이
👨🏻‍🌾 베라체인, FDV에 따른 NFT 수익

에어드랍 체커에 표시된 수량이 6.9%라면 나쁘지 않은 듯 합니다. [에드 확인] FDV가 $5B은 가겠지. 설마... 앞으로 남은 것은 하기와 같음

1️⃣ 7번째 리베이스
2️⃣ 1.9%는 1년 거치 3년 베스팅

👉 디파이 농부 조선생 | 트위터 바로가기

#디파이
👨🏻‍🌾 크립토 브랜드 시대, 신뢰가 핵심이다

크립토 시장은 매 사이클마다 (1) 내러티브 토큰화와 (2) 인프라 혁신이 주도해왔다. 도지코인, 페페 같은 밈코인은 역사적·미래적 가치를 바탕으로 거래되며, 이더리움, 솔라나 같은 인프라는 지속 가능한 블록 공간을 공급하며 산업에 영향력을 행사해왔다.

'크립토 브랜드'는 기존 브랜드와 다르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은 단순한 자산이 아니라 소유권을 공유하는 브랜드가 되었다. 토큰은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고, 커뮤니티가 자발적으로 성장하는 네트워크 효과를 만든다. 도지코인이 단순한 밈에서 일론 머스크의 대표 브랜드로 자리 잡은 것처럼, 크립토 브랜드는 사용자들의 공감과 참여로 성장한다.

하지만 기존 토큰 모델(ERC-20, SPL 등)은 소수의 내부자가 브랜드 가치를 남용할 수 있는 리스크를 내포하고 있다. 최근 밈코인 시장에서는 핵심 기여자가 새로운 밈코인을 발행하며 기존 가치를 흡수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브랜드 가치가 사회적 합의 없이 변질될 수 있는 구조적 문제가 있는 것이다.

스토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크립토 네이티브 브랜드의 소유권'을 보호하는 인프라를 구축했다. ERC-6551과 분쟁 모듈을 활용해 브랜드 가치를 남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신뢰 기반의 인터넷 재산(Internet Property) 개념을 확장했다. 월드코인이 "Proof of Human"을 지향한다면, 스토리는 "Optimistic Proof of Trust" 모델을 통해 브랜드의 지속 가능성을 높일 것이다.

크립토 네이티브 브랜드의 시대가 왔다. 그리고 그 핵심은 신뢰다.

👉 디파이 농부 조선생 | 트위터 바로가기

#디파이
🔸트럼프 효과는 사라졌나?🔸

이번 주 비트코인은 매크로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았습니다. 혜성처럼 등장한 DeepSeek이 기술주 하락을 촉발했고, 비트코인 ETF에서도 대규모 자금이 유출되면서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이후 1월 30일 FOMC 회의에서 파월이 트럼프에 대해 우호적인 발언을 하면서 시장이 반등하는 듯했으나, 미국과 캐나다 등을 중심으로 '관세 전쟁'이 시작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면서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오늘은 농부님들과 함께 한 주간의 비트코인 뉴스를 살펴보겠다. 좋아요와 구독은 제게 큰 힘이 됩니다!

👉 디파이 농부 조선생 | 유튜브 바로가기

#디파이
👨🏻‍🌾 Shaw가 생각하는 Agent+디파이

BlockBeats와의 오프라인 인터뷰에서 ai16z의 Shaw는 ‘DeFi Agent’ 개념을 언급하며, 오르카와 함께 해당 에이전트를 개발 중이라고 밝힘. [인터뷰 영상]

그는 유동성 풀에서 가격 변동으로 인한 영구적 손실이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자금을 회수하고 LP를 관리해주는 기능을 개발 중이라고 설명함.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토큰 페어링 방식을 설정해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다른 디파이 프로토콜로도 확장 적용할 수 있다고 덧붙임.

Shwa는 신규 유저들의 진입장벽을 낮추어, 또 다른 ‘디파이 썸머’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함.

👉 디파이 농부 조선생 | 트위터 바로가기

#디파이
👨🏻‍🌾 Eclipse 한국어 AMA

Eclipse TGE가 궁금하신 분들은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Eclipse의 Head of Strategy와 한국 Yapper인 에어드랍코리아 님을 모시고 로드맵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1️⃣ 일정: 1월 31일 금일 오후 10시
2️⃣ 장소: X 스페이스
3️⃣ 링크: https://twitter.com/i/spaces/1lDxLlBwXQPxm

#디파이
🔸알트코인 어디까지 왔나?🔸

알트코인 시장은 현재 상승장의 중심에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더리움 디파이 대출 잔고는 2022년 전고점을 이미 넘어섰으며, 랜딩 TVL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번 상승장은 과거와 달리 리테일 자금보다 리퀴드 펀드 등 기관급 투자자들의 참여가 두드러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과거와 같은 급격한 하락 가능성은 다소 낮아 보입니다.

2025년의 메가 트렌드는 AI로 예상됩니다. OpenAI의 샘 올트먼뿐만 아니라 주요 IT 기업들이 AI 에이전트가 기존 노동 시장을 혁신하고 우리의 일상생활에 깊이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블록체인 기술과 AI가 어떤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낼지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습니다.

오늘은 여러분과 함께 한 주간의 알트코인 시장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디파이 농부 조선생 | 유튜브 바로가기

#디파이
👨🏻‍🌾 라이브 소통 방송!

1️⃣ 일정: 금일 (1/8) 오후 10시
2️⃣ 주제

• 알트코인 주요 내러티브 정리
• 코인 노가리

👉 디파이 농부 조선생 | 생방송 바로가기

#디파이
👨🏻‍🌾 ai16z 한국 밋업 참여 후 느낀점

1. 투자 전략

• 트레이딩: 텔레그램, 디스코드 등에서 얻은 인사이트 있는 투자 정보를 분석하여 투자 전략을 수립하며, 소셜 그래프를 활용한 데이터 기반 분석이 투자 매커니즘의 핵심 같음.

• 인큐베이팅: 기존 레이어1 전략과 유사하게 벤처캐피털(VC)들과 협력하여 생태계 펀드를 조성하고, 초기 프로젝트를 적극 지원 할 것 같음.

2. 성장 플라이휠

• 브랜드와 런치패드의 상호 상승 효과: ai16z의 브랜드 가치가 높아질수록 런치패드 프로젝트의 수익률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으며, 초기 프로젝트 얼로케이션을 트레저리에 귀속시킴으로써 NAV 상승을 도모할 수 있을 것 같음. 다만, 상승장에서 더 효과적으로 작동할 가능성이 있음.

• 웹2 AI 개발자와 블록체인 결합: 웹2 기반 AI 개발자들이 자신의 프로젝트에 블록체인을 결합하고자 할 때, ElizaOS를 우선적으로 고려할 확률이 높아질 것으로 보임.

3. 코어 컨트리뷰터

• ai16z를 만든 대표 Shaw의 관상이 좋음. 관상은 과학이다.

👉 디파이 농부 조선생 | 트위터 바로가기

#디파이
Паказана 1 - 24 з 48
Увайдзіце, каб разблакаваць больш функцы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