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Реальна Війн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Реальна Війн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리가켐바이오 IR/PR 공식 채널
리가켐바이오(141080) IR/PR 공식 채널입니다.
리가켐바이오 홈페이지: https://ligachembio.com/
리가켐바이오 홈페이지: https://ligachembio.com/
Рэйтынг TGlist
0
0
ТыпПублічны
Вертыфікацыя
Не вертыфікаваныНадзейнасць
Не надзейныРазмяшчэнне
МоваІншая
Дата стварэння каналаMay 02, 2019
Дадана ў TGlist
Sep 14, 2024Рэкорды
25.01.202523:59
10KПадпісчыкаў29.08.202423:59
0Індэкс цытавання16.10.202423:59
13.6KАхоп 1 паста03.12.202423:59
8.7KАхоп рэкламнага паста28.02.202500:10
2.69%ER09.04.202500:30
101.41%ERRПераслаў з: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5.03.202505:19
2025.03.25 14:19:07
기업명: 리가켐바이오(시가총액: 3조 6,354억)
보고서명: 주요사항보고서(자기주식취득신탁계약체결결정)
계약금액 : 70억
시총대비 : 0.19%
계약목적 : 주가 안정 및 주주가치제고와 임직원 성과보상 목적
체결기관 : 미래에셋증권(MIRAE ASSET SECURITIES.CO., LTD)
시작일자 : 2025-03-26
종료일자 : 2026-03-25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32500047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41080
기업명: 리가켐바이오(시가총액: 3조 6,354억)
보고서명: 주요사항보고서(자기주식취득신탁계약체결결정)
계약금액 : 70억
시총대비 : 0.19%
계약목적 : 주가 안정 및 주주가치제고와 임직원 성과보상 목적
체결기관 : 미래에셋증권(MIRAE ASSET SECURITIES.CO., LTD)
시작일자 : 2025-03-26
종료일자 : 2026-03-25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32500047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41080
26.03.202500:17
안녕하세요, 리가켐바이오 IR/BD팀입니다. 금일 "리가켐바이오, AACR서 ‘STING agonist 포함 5건’ 전임상 결과 발표"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배포하였습니다. 아래 내용 참고 부탁드립니다.
[보도자료] 리가켐바이오, AACR서 ‘STING agonist 포함 5건’ 전임상 결과 발표
- STING agonist ‘LCB39’, 계열 내 Best-in-class 가능성. 2026년 초 글로벌 임상 시작 목표
- ADC 플랫폼 기술이전 파트너사 소티오, LRRC15 ADC ‘SOT106’ 구두발표 선정
- ADC 플랫폼 기술이전 통해 도출된 후보물질 연구성과 다수 발표. 플랫폼 계약 가치 부각 기대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141080KS, 이하 ‘리가켐바이오’)는 면역항암제로 개발 중인 STING agonist ‘LCB39’와 ADC 플랫폼 기술이전을 통해 후보물질이 도출된 LRRC15 ADC ‘SOT106’, CA242 ADC ‘IKS04’ 등 총 5건에 대한 전임상 연구 결과를 미국 연구학회(AACR 2025)에서 발표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들은 4월 25일부터 30일(현지 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리가켐바이오와 파트너사들을 통해 구두 발표 및 포스터로 발표될 예정이며, 이와 관련한 초록은 25일 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됐다.
LCB39는 리가켐바이오가 독자 개발 중인 차세대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이다. STING(Stimulator of Interferon Gene) 단백질을 타겟하여 선천성 면역세포의 활성을 유도하는 기전을 갖고 있다. STING 작용제(agonist)는 기존 면역항암제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약물 기전으로 주목받으며 수많은 글로벌 제약사들이 개발을 시도했으나 약효 부족 및 부작용 이슈로 대부분 포기한 바 있다. 리가켐바이오의 LCB39는 리가켐바이오의 고유 기술력을 활용해 경쟁 STING agonist 약물들 대비 세포투과성(cell permeability)은 낮추고 암조직내로의 침투성 및 노출 기간은 높인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차별성을 통해 기존의 STING agonist들의 강력한 효능은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안전성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앞선 경쟁사들의 실패 사례를 극복하고 2026년 초로 예정된 LCB39의 임상 진입 시 성공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번 AACR 2025에서는 지난해 면역항암학회(SITC 2024)에서 공개했던 LCB39의 단독투여에서의 우수성뿐만 아니라 ADC, 면역관문억제제 등 다양한 기전의 항암제들과의 병용투여에서도 시너지 효과를 입증한 결과들을 추가적으로 공개할 예정으로, 확장성에 기반한 높은 시장 가치를 인정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독자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 외에도 ADC 플랫폼 기술이전을 통해 도출된 후보물질 2종과 플랫폼 연구에 대한 전임상 연구 결과들도 발표될 예정이다. 2020년과 2021년 각각 ADC 플랫폼 기술이전을 체결한 파트너사인 익수다(IKSUDA)와 소티오(SOTIO)에서 발표를 진행할 예정으로 향후 순차적으로 글로벌 임상 진입이 계획됨에 따라 플랫폼 기술이전에 따른 가치도 부각될 것으로 기대된다.
소티오에서 개발 중인 ‘SOT106’은 LRRC15(Leucine-rich containing protein 15)를 타겟하는 단일클론 항체와 리가켐바이오의 ADC 플랫폼 ‘ConjuALL’, MMAE 페이로드가 결합된 ADC로 2021년 리가켐바이오와 ADC 플랫폼 기술이전을 통해 도출된 후보물질이다. SOT106이 타겟하는 LRRC15은 정상 조직에서의 발현은 최소화되어 있는 반면 육종 및 교모세포종과 같은 악성 종양 뿐만 아니라 두경부편평세포암, 비소세포폐암, 삼중음성유방암 등 미충족 의료 수요가 높은 암종에서 과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ADC 치료제 개발 관점에서 유망한 타겟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공개된 초록에 따르면 SOT106은 질병 관련 다양한 마우스 모델에서 강력하고 지속적인 용량 의존적 종양 성장 억제 효과가 확인됐으며, 1mg/kg의 임상적으로도 적절한 용량(clinically relevant dose)에서 완전관해(complete response)가 관찰되기도 했다. 특히 SOT106은 비교 약물대비 더 낮은 용량과 적은 투여 횟수로도 더 높은 효과를 보였다는 점에서 리가켐바이오의 링커 기술력을 재확인했다. 또한 소티오는 진단용 항체를 개발해 SOT106 치료에 더욱 이점을 갖기 쉬운 환자군을 선별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추후 개시될 임상 1/2상에서 성공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익수다에서 개발 중인 ‘IKS04’는 CA242(CanAg, cancer-specific carbohydrate antigen)를 타겟하는 익수다의 독자 개발한 단일클론 항체와 리가켐바이오의 ADC 플랫폼 ‘ConjuALL’, 리가켐바이오가 독자 개발한 페이로드인 ‘PBD 전구체(prodrug)’를 결합된 ADC로 2020년 리가켐바이오와의 ADC 플랫폼 기술이전을 통해 도출된 후보물질이다. IKS04가 타겟하는 CA242는 대장암, 췌장암, 위암 등에서 고발현되며 정상 조직에서는 발현이 제한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앞서 CA242를 타겟하는 경쟁사들의 ADC 임상 연구들을 통해 CA242가 ADC로써 약물 표적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하지만 위장암 적응증에서 미세소관 억제제(microtubule inhibitor) 페이로드 기반 페이로드의 임상적 효능이 제한적이라는 점도 확인됐다. 따라서 IKS04에 적용된 PBD와 같은 강력한 효능을 지닌 DNA 손상(damaging) 페이로드가 결합된 ADC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치료법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리가켐바이오의 prodrug 방식은 종양 선택적 방출 및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여, 안전성 측면에서도 이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했다.
공개된 초록에 따르면 CA242는 대장암 및 위암 고발현 모델에서 매우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어 항원이 장벽 역할을 해 ADC가 종양 내로 침투하는 데 장애가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익수다는 ‘ultra-low DAR(약물-항체 비율)’ 접근 방식을 활용해 ‘naked 항체’를 ADC와 함께 투여함으로써 종양 침투력을 향상시켰고, 모든 CA242 발현 모델들에서 일관되고 0.5mg/kg 미만의 최소 유효 용량만으로도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입증했다. 참고로, 비교 대상 약물인 ‘칸투주맙 랩탄신(cantuzumab ravtansine)’은 같은 모델에서 2mg/kg 용량에서도 비활성 상태였으며, 이는 페이로드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중요한 점은, ‘ultra-low DAR’ 접근 방식이 독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IKS04는 전임상 단계에서 치료 지수(Therapeutic Index)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는 지금까지 고형암을 대상으로 평가된 PBD 기반 ADC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결론적으로, IKS04의 위암 및 대장암을 포함한 다양한 소화기 종양 모델에서 강력하고 일관된 항종양 효능을 보였고, 우수한 치료 지수도 나타났다. 이 ADC 프로그램은 LCB의 독자적인 PBD 전약 기술이 특정 종양에 대한 ADC 치료 전략으로서 임상적으로 유익할 수 있음을 추가로 입증한 성과다. 익수다는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IKS04의 임상 시험을 곧 시작할 계획이다.
또한 익수다는 리가켐바이오에서 도입한 링커 기술의 우위를 입증하는 연구성과도 발표했다. 공개된 초록에 따르면 익수다가 자체 개발한 ADC 결합방식인 ‘Permalink’와 리가켐바이오의 링커, MMAE 페이로드를 적용한 FRα(Folate-Receptor alpha) ADC와 항체, 결합방식, 페이로드는 유지하되 링커만 현재 특허가 만료돼 대부분의 글로벌 ADC 기업들이 적용하고 있는 valine-citrulline(vc) 링커가 적용된 ADC를 비교했다. 이때 전임상 실험을 통해 리가켐바이오의 링커가 적용된 ADC가 vc 링커가 적용된 ADC 대비 우수한 내약성과 혈중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연구 성과를 통해 기존 링커 기술들 대비 리가켐바이오의 자체 개발 링커 기술의 우월성을 재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보도자료] 리가켐바이오, AACR서 ‘STING agonist 포함 5건’ 전임상 결과 발표
- STING agonist ‘LCB39’, 계열 내 Best-in-class 가능성. 2026년 초 글로벌 임상 시작 목표
- ADC 플랫폼 기술이전 파트너사 소티오, LRRC15 ADC ‘SOT106’ 구두발표 선정
- ADC 플랫폼 기술이전 통해 도출된 후보물질 연구성과 다수 발표. 플랫폼 계약 가치 부각 기대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141080KS, 이하 ‘리가켐바이오’)는 면역항암제로 개발 중인 STING agonist ‘LCB39’와 ADC 플랫폼 기술이전을 통해 후보물질이 도출된 LRRC15 ADC ‘SOT106’, CA242 ADC ‘IKS04’ 등 총 5건에 대한 전임상 연구 결과를 미국 연구학회(AACR 2025)에서 발표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들은 4월 25일부터 30일(현지 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리가켐바이오와 파트너사들을 통해 구두 발표 및 포스터로 발표될 예정이며, 이와 관련한 초록은 25일 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됐다.
LCB39는 리가켐바이오가 독자 개발 중인 차세대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이다. STING(Stimulator of Interferon Gene) 단백질을 타겟하여 선천성 면역세포의 활성을 유도하는 기전을 갖고 있다. STING 작용제(agonist)는 기존 면역항암제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약물 기전으로 주목받으며 수많은 글로벌 제약사들이 개발을 시도했으나 약효 부족 및 부작용 이슈로 대부분 포기한 바 있다. 리가켐바이오의 LCB39는 리가켐바이오의 고유 기술력을 활용해 경쟁 STING agonist 약물들 대비 세포투과성(cell permeability)은 낮추고 암조직내로의 침투성 및 노출 기간은 높인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차별성을 통해 기존의 STING agonist들의 강력한 효능은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안전성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앞선 경쟁사들의 실패 사례를 극복하고 2026년 초로 예정된 LCB39의 임상 진입 시 성공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번 AACR 2025에서는 지난해 면역항암학회(SITC 2024)에서 공개했던 LCB39의 단독투여에서의 우수성뿐만 아니라 ADC, 면역관문억제제 등 다양한 기전의 항암제들과의 병용투여에서도 시너지 효과를 입증한 결과들을 추가적으로 공개할 예정으로, 확장성에 기반한 높은 시장 가치를 인정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독자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 외에도 ADC 플랫폼 기술이전을 통해 도출된 후보물질 2종과 플랫폼 연구에 대한 전임상 연구 결과들도 발표될 예정이다. 2020년과 2021년 각각 ADC 플랫폼 기술이전을 체결한 파트너사인 익수다(IKSUDA)와 소티오(SOTIO)에서 발표를 진행할 예정으로 향후 순차적으로 글로벌 임상 진입이 계획됨에 따라 플랫폼 기술이전에 따른 가치도 부각될 것으로 기대된다.
소티오에서 개발 중인 ‘SOT106’은 LRRC15(Leucine-rich containing protein 15)를 타겟하는 단일클론 항체와 리가켐바이오의 ADC 플랫폼 ‘ConjuALL’, MMAE 페이로드가 결합된 ADC로 2021년 리가켐바이오와 ADC 플랫폼 기술이전을 통해 도출된 후보물질이다. SOT106이 타겟하는 LRRC15은 정상 조직에서의 발현은 최소화되어 있는 반면 육종 및 교모세포종과 같은 악성 종양 뿐만 아니라 두경부편평세포암, 비소세포폐암, 삼중음성유방암 등 미충족 의료 수요가 높은 암종에서 과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ADC 치료제 개발 관점에서 유망한 타겟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공개된 초록에 따르면 SOT106은 질병 관련 다양한 마우스 모델에서 강력하고 지속적인 용량 의존적 종양 성장 억제 효과가 확인됐으며, 1mg/kg의 임상적으로도 적절한 용량(clinically relevant dose)에서 완전관해(complete response)가 관찰되기도 했다. 특히 SOT106은 비교 약물대비 더 낮은 용량과 적은 투여 횟수로도 더 높은 효과를 보였다는 점에서 리가켐바이오의 링커 기술력을 재확인했다. 또한 소티오는 진단용 항체를 개발해 SOT106 치료에 더욱 이점을 갖기 쉬운 환자군을 선별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추후 개시될 임상 1/2상에서 성공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익수다에서 개발 중인 ‘IKS04’는 CA242(CanAg, cancer-specific carbohydrate antigen)를 타겟하는 익수다의 독자 개발한 단일클론 항체와 리가켐바이오의 ADC 플랫폼 ‘ConjuALL’, 리가켐바이오가 독자 개발한 페이로드인 ‘PBD 전구체(prodrug)’를 결합된 ADC로 2020년 리가켐바이오와의 ADC 플랫폼 기술이전을 통해 도출된 후보물질이다. IKS04가 타겟하는 CA242는 대장암, 췌장암, 위암 등에서 고발현되며 정상 조직에서는 발현이 제한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앞서 CA242를 타겟하는 경쟁사들의 ADC 임상 연구들을 통해 CA242가 ADC로써 약물 표적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하지만 위장암 적응증에서 미세소관 억제제(microtubule inhibitor) 페이로드 기반 페이로드의 임상적 효능이 제한적이라는 점도 확인됐다. 따라서 IKS04에 적용된 PBD와 같은 강력한 효능을 지닌 DNA 손상(damaging) 페이로드가 결합된 ADC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치료법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리가켐바이오의 prodrug 방식은 종양 선택적 방출 및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여, 안전성 측면에서도 이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했다.
공개된 초록에 따르면 CA242는 대장암 및 위암 고발현 모델에서 매우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어 항원이 장벽 역할을 해 ADC가 종양 내로 침투하는 데 장애가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익수다는 ‘ultra-low DAR(약물-항체 비율)’ 접근 방식을 활용해 ‘naked 항체’를 ADC와 함께 투여함으로써 종양 침투력을 향상시켰고, 모든 CA242 발현 모델들에서 일관되고 0.5mg/kg 미만의 최소 유효 용량만으로도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입증했다. 참고로, 비교 대상 약물인 ‘칸투주맙 랩탄신(cantuzumab ravtansine)’은 같은 모델에서 2mg/kg 용량에서도 비활성 상태였으며, 이는 페이로드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중요한 점은, ‘ultra-low DAR’ 접근 방식이 독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IKS04는 전임상 단계에서 치료 지수(Therapeutic Index)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는 지금까지 고형암을 대상으로 평가된 PBD 기반 ADC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결론적으로, IKS04의 위암 및 대장암을 포함한 다양한 소화기 종양 모델에서 강력하고 일관된 항종양 효능을 보였고, 우수한 치료 지수도 나타났다. 이 ADC 프로그램은 LCB의 독자적인 PBD 전약 기술이 특정 종양에 대한 ADC 치료 전략으로서 임상적으로 유익할 수 있음을 추가로 입증한 성과다. 익수다는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IKS04의 임상 시험을 곧 시작할 계획이다.
또한 익수다는 리가켐바이오에서 도입한 링커 기술의 우위를 입증하는 연구성과도 발표했다. 공개된 초록에 따르면 익수다가 자체 개발한 ADC 결합방식인 ‘Permalink’와 리가켐바이오의 링커, MMAE 페이로드를 적용한 FRα(Folate-Receptor alpha) ADC와 항체, 결합방식, 페이로드는 유지하되 링커만 현재 특허가 만료돼 대부분의 글로벌 ADC 기업들이 적용하고 있는 valine-citrulline(vc) 링커가 적용된 ADC를 비교했다. 이때 전임상 실험을 통해 리가켐바이오의 링커가 적용된 ADC가 vc 링커가 적용된 ADC 대비 우수한 내약성과 혈중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연구 성과를 통해 기존 링커 기술들 대비 리가켐바이오의 자체 개발 링커 기술의 우월성을 재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25.03.202507:01
https://www.medicopharma.co.kr/news/articleView.html?idxno=63899
리가켐바이오는 지난해 기술이전 계약과 관련 계약부채 중 선수금 계정으로 737억원을 인식했다. 이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른 회계처리 방식 때문이다. 계약부채 선수금(737억원)은 1년 내 분할 수익으로 회계처리가 가능해 올해 확정적 매출인 셈이다. 여기에 추가적인 마일스톤도 유입될 전망이어서 실적 전망이 밝다.
참고로, 단기 마일스톤을 포함한 마일스톤은 추가적으로 수령 예정인 금액들이기 때문에 위의 선수금과는 별도입니다.
리가켐바이오는 지난해 기술이전 계약과 관련 계약부채 중 선수금 계정으로 737억원을 인식했다. 이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른 회계처리 방식 때문이다. 계약부채 선수금(737억원)은 1년 내 분할 수익으로 회계처리가 가능해 올해 확정적 매출인 셈이다. 여기에 추가적인 마일스톤도 유입될 전망이어서 실적 전망이 밝다.
참고로, 단기 마일스톤을 포함한 마일스톤은 추가적으로 수령 예정인 금액들이기 때문에 위의 선수금과는 별도입니다.


28.03.202507:06
안녕하세요, 리가켐바이오 IR/BD팀입니다. 금일 UBS증권 Brandon Suh 위원님께서 당사에 대한 신규 커버리지를 개시하는 리포트를 발간해주셨습니다. 목표주가 15만원, 투자의견 매수로 제시해주셨습니다. "Just getting started"라는 제목으로 작성해주셨습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보고서 원문은 규정상 올리지 못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보고서 원문은 규정상 올리지 못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26.03.202500:30
28.03.202501:57
금일 ROR1 ADC 'CS5001'의 파트너사인 시스톤(CStone Pharmaceuticals)에서 2024년 연간 실적 발표를 통해 CS5001의 잠재 시장 규모와 현재 진행 중인 임상 1b상 디자인, 향후 스케줄을 업데이트해 공개했습니다.
요약하자면, 2029년까지 글로벌 혈액암 시장 규모는 1,390억달러(203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중 CS5001의 핵심이 될 DLBCL 시장의 경우에는 전체 시장의 31%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S5001은 DLBCL 1차 치료 시장부터 2차 이후 시장까지 단독 및 병용요법으로 진출할 예정이며 주요 DLBCL 치료제들 중 매출 상위 품목들의 경우 Rituximab은 최대 매출 기준 75억달러(11조원), Polatuzumab은 최대 매출 기준 24억달러(4조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CS5001은 임상 1b상을 통해 재발성/불응성 DLBCL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기 승인을 위한 단독요법 임상을 진행 중이며, 1차 치료제 및 2차 치료 이후 시장 진출을 위한 병용요법 임상도 진행 중에 있습니다.
혈액암 외에도 더 큰 시장 규모를 형성하고 있는 고형암 시장으로는 ROR1 ADC들 중에서는 최초로 효능을 확인, 임상 1b상을 통해 단독 및 면역항암제 병용요법으로 임상을 진행 중입니다.
CStone은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2Q25 DLBCL 1차 치료제 병용요법 임상을 개시할 예정이며, 3Q25 허가를 위한 재발성/불응성 DLBCL 환자 대상 임상을 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임상 1b상 중간 결과는 12월 예정된 ASH(미국 혈액암학회)를 통해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감사합니다.
요약하자면, 2029년까지 글로벌 혈액암 시장 규모는 1,390억달러(203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중 CS5001의 핵심이 될 DLBCL 시장의 경우에는 전체 시장의 31%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S5001은 DLBCL 1차 치료 시장부터 2차 이후 시장까지 단독 및 병용요법으로 진출할 예정이며 주요 DLBCL 치료제들 중 매출 상위 품목들의 경우 Rituximab은 최대 매출 기준 75억달러(11조원), Polatuzumab은 최대 매출 기준 24억달러(4조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CS5001은 임상 1b상을 통해 재발성/불응성 DLBCL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기 승인을 위한 단독요법 임상을 진행 중이며, 1차 치료제 및 2차 치료 이후 시장 진출을 위한 병용요법 임상도 진행 중에 있습니다.
혈액암 외에도 더 큰 시장 규모를 형성하고 있는 고형암 시장으로는 ROR1 ADC들 중에서는 최초로 효능을 확인, 임상 1b상을 통해 단독 및 면역항암제 병용요법으로 임상을 진행 중입니다.
CStone은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2Q25 DLBCL 1차 치료제 병용요법 임상을 개시할 예정이며, 3Q25 허가를 위한 재발성/불응성 DLBCL 환자 대상 임상을 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임상 1b상 중간 결과는 12월 예정된 ASH(미국 혈액암학회)를 통해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감사합니다.
01.04.202502:14
[리가켐바이오 IR/BD팀] 오노약품, 멀티타겟 ADC 플랫폼 기술이전 첫 번째 타겟 지정 완료
안녕하세요, 리가켐바이오 IR/BD팀입니다. 2024년 10월 멀티타겟 ADC 플랫폼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파트너사 오노약품(Ono Pharmaceuticals)에서 전일 첫 번째 타겟을 지정했습니다. 계약조건에 따라 타겟 지정에 따른 ‘타겟 독점권유지금(target exclusivity fee)’을 수령하게 되며 이는 계약금과 마찬가지로 1분기부터 매출액으로 기간 인식될 예정입니다. 계약조건에 따라 해당 금액은 미공개됐습니다.
이번 타겟 지정은 기술이전 후 약 5개월 만에 매우 신속하게 이뤄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특히 오노약품을 비롯해 기존 ADC 플랫폼 기술이전들에서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ADC 플랫폼 기술이전에서의 가시적인 성과들이 꾸준히 발표될 예정입니다.
최근 보도자료를 통해 말씀드린 바와 같이 앞서 ADC 플랫폼 기술이전을 체결했던 소티오(SOTIO)와 익수다(IKSUDA)는 타겟 지정을 마치고 4월 25일부터 30일까지 개최되는 AACR 2025에서 전임상 성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특히 소티오에서 당사 ADC 플랫폼을 통해 도출한 SOT106(LRRC15 ADC)은 구두 발표로 선정돼 글로벌 연구진들로부터 당사 ADC 플랫폼의 높은 기술 경쟁력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또한 기존 파트너사들의 추가적인 타겟 지정도 연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추가적인 글로벌 제약사와의 ADC 플랫폼 기술이전 계약을 위한 논의는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현재 복수의 글로벌 제약사와 논의 중으로 최근 연이은 성공적인 임상 성과들을 통해 당사 ADC 플랫폼의 경쟁 플랫폼 대비 우수한 안전성과 유효성을 바탕으로 협상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2025년에도 복수의 ADC 기술이전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리가켐바이오 IR/BD팀입니다. 2024년 10월 멀티타겟 ADC 플랫폼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파트너사 오노약품(Ono Pharmaceuticals)에서 전일 첫 번째 타겟을 지정했습니다. 계약조건에 따라 타겟 지정에 따른 ‘타겟 독점권유지금(target exclusivity fee)’을 수령하게 되며 이는 계약금과 마찬가지로 1분기부터 매출액으로 기간 인식될 예정입니다. 계약조건에 따라 해당 금액은 미공개됐습니다.
이번 타겟 지정은 기술이전 후 약 5개월 만에 매우 신속하게 이뤄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특히 오노약품을 비롯해 기존 ADC 플랫폼 기술이전들에서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ADC 플랫폼 기술이전에서의 가시적인 성과들이 꾸준히 발표될 예정입니다.
최근 보도자료를 통해 말씀드린 바와 같이 앞서 ADC 플랫폼 기술이전을 체결했던 소티오(SOTIO)와 익수다(IKSUDA)는 타겟 지정을 마치고 4월 25일부터 30일까지 개최되는 AACR 2025에서 전임상 성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특히 소티오에서 당사 ADC 플랫폼을 통해 도출한 SOT106(LRRC15 ADC)은 구두 발표로 선정돼 글로벌 연구진들로부터 당사 ADC 플랫폼의 높은 기술 경쟁력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또한 기존 파트너사들의 추가적인 타겟 지정도 연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추가적인 글로벌 제약사와의 ADC 플랫폼 기술이전 계약을 위한 논의는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현재 복수의 글로벌 제약사와 논의 중으로 최근 연이은 성공적인 임상 성과들을 통해 당사 ADC 플랫폼의 경쟁 플랫폼 대비 우수한 안전성과 유효성을 바탕으로 협상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2025년에도 복수의 ADC 기술이전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Пераслаў з: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08.04.202507:17
2025.04.08 16:16:31
기업명: 리가켐바이오(시가총액: 3조 4,670억)
보고서명: 주요사항보고서(자기주식처분결정)
* 보통주
처분수량 : 189,845주(170억)
전체대비 :
* 우선주
처분수량 : (-)
전체대비 :
처분목적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에 따른 자기주식 교부
중개업자 : -
결정일자 : 2025-04-08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800260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41080
기업명: 리가켐바이오(시가총액: 3조 4,670억)
보고서명: 주요사항보고서(자기주식처분결정)
* 보통주
처분수량 : 189,845주(170억)
전체대비 :
* 우선주
처분수량 : (-)
전체대비 :
처분목적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에 따른 자기주식 교부
중개업자 : -
결정일자 : 2025-04-08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800260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41080
26.03.202500:17
AACR 2025 발표 세부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LCB39(STING agonist)
- 포스터 제목: “LCB39, a novel systemically deliverable STING agonist with strong preclinical activity and tolerability”
- 초록 번호: 4882
- 세션명: Modulation of Tumor Microenvironment: Modulation of Lymphocyte Influx
- 발표자: Jihye Oh
- 일시: 4월 29일 오전 9시-오후 12시
2) SOT106(LRRC15 ADC)
- 구두 발표 제목: “SOT106, a novel best-in-class antibody-drug conjugate targeting LRRC15, to treat sarcomas and other advanced solid cancers”
- 초록 번호: 1164
- 세션명: Experimental and Molecular Therapeutics
- 발표자: Michaela Fojtu
- 일시: 4월 27일 오후 4시 40분-4시 55분
3) IKS04(CA242 ADC)
- 포스터 제목: “IKS04, an antibody drug conjugate with a highly potent DNA crosslinker payload for the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cancers”
- 초록 번호: 2885
- 세션명: Antibody-Based Cancer Therapeutics 2
- 발표자: Jutta Deckert
- 일시: 4월 28일 오후 2시-5시
4) IKSUDA 플랫폼 연구
- 포스터 제목: “PermaLink®, a stable and scalable bioconjugation platform as an alternative to maleimide-based conjugation”
- 초록 번호: 1570
- 세션명: Antibody-Based Cancer Therapeutics 1
- 발표자: Will A. Stanley
- 일시: 4월 28일 오전 9시-오후 12시
5) LCB22A(미공개 타겟 ADC)
- 포스터 제목: “Status-agnostic therapy of breast cancer using antibodies targeting O-glycosylated proteins”
- 초록 번호: 7209
- 세션명: Targeted Therapies and Combinations 4
- 발표자: Aaron C. Groen
- 일시: 4월 30일 오전 9시-오후 12시
끝.
1) LCB39(STING agonist)
- 포스터 제목: “LCB39, a novel systemically deliverable STING agonist with strong preclinical activity and tolerability”
- 초록 번호: 4882
- 세션명: Modulation of Tumor Microenvironment: Modulation of Lymphocyte Influx
- 발표자: Jihye Oh
- 일시: 4월 29일 오전 9시-오후 12시
2) SOT106(LRRC15 ADC)
- 구두 발표 제목: “SOT106, a novel best-in-class antibody-drug conjugate targeting LRRC15, to treat sarcomas and other advanced solid cancers”
- 초록 번호: 1164
- 세션명: Experimental and Molecular Therapeutics
- 발표자: Michaela Fojtu
- 일시: 4월 27일 오후 4시 40분-4시 55분
3) IKS04(CA242 ADC)
- 포스터 제목: “IKS04, an antibody drug conjugate with a highly potent DNA crosslinker payload for the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cancers”
- 초록 번호: 2885
- 세션명: Antibody-Based Cancer Therapeutics 2
- 발표자: Jutta Deckert
- 일시: 4월 28일 오후 2시-5시
4) IKSUDA 플랫폼 연구
- 포스터 제목: “PermaLink®, a stable and scalable bioconjugation platform as an alternative to maleimide-based conjugation”
- 초록 번호: 1570
- 세션명: Antibody-Based Cancer Therapeutics 1
- 발표자: Will A. Stanley
- 일시: 4월 28일 오전 9시-오후 12시
5) LCB22A(미공개 타겟 ADC)
- 포스터 제목: “Status-agnostic therapy of breast cancer using antibodies targeting O-glycosylated proteins”
- 초록 번호: 7209
- 세션명: Targeted Therapies and Combinations 4
- 발표자: Aaron C. Groen
- 일시: 4월 30일 오전 9시-오후 12시
끝.
28.03.202501:47
Увайдзіце, каб разблакаваць больш функцы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