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캬오의 공부방 avatar
캬오의 공부방
캬오의 공부방 avatar
캬오의 공부방
Перыяд
Колькасць праглядаў

Цытаванні

Пасты
Схаваць рэпосты
25.02.202513:57
#DUV #반도체 #에스앤에스텍 #에프에스티
CXMT는 D램 생산능력을 지난 2022년 월 7만장 수준에서 지난해 월 20만장까지 끌어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에도 중국 상하이 지역에 신규 공장을 설립할 계획이다. 신규 공장의 최대 생산능력은 월 10만장 정도로 추산된다.
중국 주요 파운드리 SMIC 역시 지난해 연 매출이 80억3천만 달러(한화 약 11조6천억원)로 전년 대비 27% 급증한 바 있다. 이 회사는 DUV 공정만으로 화웨이의 7나노 시스템반도체 양산하는 등, 기술력을 빠르게 끌어 올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https://zdnet.co.kr/view/?no=20250225143127
Пераслаў з:
선진짱 주식공부방 avatar
선진짱 주식공부방
25.02.202511:11
25.02.202507:07
2025.02.25 16:03:42
기업명: 카페24(시가총액: 1조 3,048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871억(예상치 : 816억)
영업익 : 130억(예상치 : 89억)
순이익 : 113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4.4Q 871억/ 130억/ 113억
2024.3Q 765억/ 67억/ 49억
2024.2Q 758억/ 69억/ 67억
2024.1Q 669억/ 22억/ 7억
2023.4Q 745억/ 40억/ -129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2590072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42000
Пераслаў з:
PLUS ETF 리서치룸 avatar
PLUS ETF 리서치룸
25.02.202505:34
➕미국과 러시아가 가까워지는 모양새가 나오고 있는데.. 이렇게 되면 유럽은 스스로 살아남기 위해 국방력 강화가 필수적이게 됩니다.🪖 유럽은 지상무기가 중요하기 때문에 지상방산에 장점을 지닌 K방산에 좋은 그림이긴한데.. 미국-유럽 서방국가의 공고함이 깨지는 그림이네요🥲

[러·북과 함께 반대표 던진 미국...달라진 UN 지형]
https://www.ytn.co.kr/_cs/_ln_0104_202502250654290603_005.html

[푸틴 “미국과 국방비 삭감 논의 준비됐다”…양국 예산 50% 삭감 제안]
https://www.etoday.co.kr/news/view/2447738
25.02.202505:23
한국이 계속 잘할수 있는 사업 중 하나가 원전인데요. 방산처럼 수출이 크게 확장될 수도 있겠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29/0000367799?sid=101
25.02.202509:05
대신증권 채널 꽤 알차네요
25.02.202507:56
카페24 4Q24 실적발표 자료
25.02.202506:55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올해와 내년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1%대에 머물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 “그게 우리의 실력”이라고 평가했다. 이 총재는 “그간 구조조정도 하지 않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키우지 않은 채 기존 산업에만 의존해왔기 때문에 이 같은 성장률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25.02.202505:05
LG전자가 시총 상위주에서 사라진것 알고 계셨나요?
25.02.202511:30
#로봇 #배터리
인산철 배터리를 로봇에 달 수는 없겠죠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51164
25.02.202507:48
2025.02.25 16:08:54
기업명: 키움증권(시가총액: 3조 683억)
보고서명: 주식소각결정

소각할 주식수
- 보통주 : 700,000주
- 우선주 :

예정금액 : 704억
시총대비 : 2.3%

취득방법 : 기취득자기주식
예정일자 : 2025-03-11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2580072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39490
Пераслаў з:
RR
Rafiki Research
25.02.202505:25
2월 금통위 주요 문구 변화

1줄 요약
경제가 문제


▶ 통화정책 결정배경

(수정) 성장의 하방위험이 커지고 환율 변동성이 증대 -> 왼환시장의 경계감이 여전하지만 성장률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

(추가) 예상치 못한 정치적 리스크 확대

(수정)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대내외 여건 변화를 좀 더 점검하는 것이 적절 ->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하여 경기 하방압력을 완화하는 것이 적절

※ 환율 현상유지, 경기 대응 필요


▶ 세계 경제

(수정) 국가별로 경기 흐름이 차별화 + 성장 및 물가 전망의 불확실성이 증대 -> 성장의 하방위험이 확대되고 물가경로의 불확실성도 높아졌음

(추가) 미 신정부 경제정책에 대한 우려가 다소 완화되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가능성이 부각

※ 성장은 둔화, 물가 불확실성은 증가


▶ 국내 경제

(수정) 수출 증가율이 다소 높아졌으나 소비 회복세가 약화되고 건설투자 부진이 이어졌음 -> 소비가 부진한 가운데 수출 증가세가 약화

(수정) 수출 증가세가 둔화되고 내수 회복세가 예상보다 더딜 것 -> 내수 회복세와 수출 증가세가 당초 예상보다 낮을 것

(전망) 11월 전망치(1.9%)를 하회할 가능성이 큼 -> 금년 성장률은 지난 11월 전망치를 큰 폭 하회하는 1.5%

(수정) 국내 정치 상황 변화, 정부의 경기대응책, 미 신정부의 정책방향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 -> 주요국 통상정책과 미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 국내 정치 상황 변화 및 정부의 경기부양책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

※ 수출 너마저 + 추경 중요


▶ 물가

(수정) 안정세 지속 -> 국제유가 및 환율 상승의 영향으로 높아졌으나 근원물가 상승률은 안정세를 이어갔음

(전망) 금년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전망(1.9%)에 부합하는 1.9%로 전망되며, 근원물가 상승률은 지난 전망치(1.9%)를 소폭 하회하는 1.8%로 예상

(수정) 국제유가 움직임, 국내외 경기 흐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 -> 환율 및 국제유가 움직임, 국내외 경기 흐름, 정부의 물가안정 대책 등에 영향받을 것

※ 불확실성 단어 삭제 = No Problem


▶ 금융 안정

(수정) 원/달러 환율이 큰 폭 상승 -> 원/달러 환율이 높은 변동성을 이어가다 하락

(수정) 전국주택가격은 하락 전환 -> 주택가격은 서울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하락

※ 특이사항 부재


▶ 정책 방향

(수정) 성장의 하방위험이 증대되고 경제전망의 불확실성도 커진 상황 + 환율 변동성 확대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유의할 필요 -> 물가상승률이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는 가운데 낮은 성장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

(수정) 환율이 높은 변동성을 나타낼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 -> 환율 변동성 확대가 물가와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유의할 필요

(수정) 가계부채 둔화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환율 변동성 확대가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유의할 필요 -> 가계부채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금리하락 기조로 인한 재확대 가능성과 높은 환율 변동성에는 유의할 필요

(수정) 성장의 하방리스크가 완화될 수 있도록 기준금리의 추가 인하 시기 및 속도 등을 결정해 나갈 것 -> 앞으로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 시기 및 속도 등을 결정해 나갈 것

※ 계속 내릴 것
25.02.202504:19
#CJ
Пераслаў з:
가투방(DCTG) 저장소 avatar
가투방(DCTG) 저장소
25.02.202508:38
지금까지 시장에서 인기주, 급등주에 투자한 적은 거의 없다. 저평가 소외주에 투자한 것인데 사람들이 이제 알아보기 시작해서 인기 주식이 된 것일 뿐.

같은 종목에 투자한다고 모두 똑같은 방식으로 투자하는 게 아니다. 누군가는 투자를 하고 누군가는 투기를 하고 누군가를 도박을 한다.
25.02.202507:15
부스트하면 뭐가 좋은건가요?
https://t.me/boost/Kyaooo
25.02.202505:35
좀 말이 안되는 상상이긴 한데 러시아가 유럽으로 쳐들어오면 미국이 도와줄지 안도와줄지 학신이 안선다면 유럽은 얼마나 무서울까 생각도 듭니다
#방산
25.02.202505:23
#원전
Пераслаў з:
프리라이프 avatar
프리라이프
25.02.202504:12
[스킨1004, 인도 주요 뷰티 플랫폼 9곳에 입점](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257222i)

스킨1004, 인도 시장 공략 강화
• 인도 최대 뷰티 e커머스 '티라', '나이카', '아마존' 등 현지 주요 플랫폼 9곳에 입점
• '인도의 올리브영'으로 불리는 나이카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 상승 기대

제품 론칭 행사 및 마케팅 활동
• 2월 27일, 나이카와 함께 제품 론칭 행사 개최 예정
• 인스타그램 팔로워 760만 명 이상의 인기 배우 '크리스틀 두수자' 등 뷰티 크리에이터 초청
• 대표 제품 '마다가스카르 센텔라 앰플', '마다가스카르 센텔라 라이트 클렌징 오일' 체험 가능한 마스터 클래스 진행

인도 내 K뷰티 시장 성장 전망
• 뷰티 인플루언서 및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K뷰티 수요 급증
• 시장조사기관 모더인텔리전스에 따르면, 2026년까지 인도 내 K뷰티 시장 연평균 9.4% 성장 예상
•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2025년 인도 뷰티 및 퍼스널 케어 시장 규모는 약 331억 달러(약 47조 3,300억 원)에 달할 전망

다른 K뷰티 기업들의 인도 진출 현황
• 아모레퍼시픽: 인도 퀵커머스 플랫폼 '블링킷', '젭토'와 협업하여 라네즈, 이니스프리, 에뛰드 제품 10분 내 배송 서비스 제공
• 코스맥스: 현지 파트너사와 제품 개발 논의 등 네트워크 확대

인도 시장 진출에 대한 신중한 접근 필요성
• 인도의 성장 가능성은 높으나, 미국·유럽만큼 시장 투명성이 부족하여 현지 법인 설립 등에 어려움 존재
• 'K뷰티의 중국 수난사'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신중한 접근 필요

원문 발췌:
- "스킨1004는 인도 최대 뷰티 e커머스 '티라'를 비롯해 '나이카', '아마존' 등 현지 주요 플랫폼 9곳에 입점했다고 25일 밝혔다."
- "특히 '인도의 올리브영'으로 불리는 나이카는 현지 뷰티 팬들이 자주 이용하는 온·오프라인 플랫폼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데 용이할 것이란 설명이다."
- "스킨1004는 인도 공략을 위해 나이카와 손 잡고 제품 론칭 행사도 진행한다."
- "오는 27일 열리는 행사에선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760만 명이 넘는 인기 배우 '크리스틀 두수자' 등 뷰티 크리에이터들을 초청한다."
- "스킨1004의 대표 제품 '마다가스카르 센텔라 앰플', '마다가스카르 센텔라 라이트 클렌징 오일' 등을 체험할 수 있는 마스터 클래스도 열 계획이다."
- "최근 인도에선 뷰티 인플루언서 및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K뷰티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 "시장조사기관 모더인텔리전스에 따르면 2026년까지 인도 내 K뷰티 시장은 연 평균 9.4% 성장할 전망이다."
- "인도 전체의 뷰티 시장도 빠르게 커고 있다."
-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올해 인도 뷰티 및 퍼스널 케어 시장 규모는 331억달러(약 47조33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 "아모레퍼시픽, 코스맥스 등도 최근 실적 발표 때 인도를 대표적인 신흥시장으로 꼽았다."
- "아모레퍼시픽은 인도 퀵커머스 플랫폼 '블링킷', '젭토' 등과 손 잡고 라네즈·이니스프리·에뛰드 제품을 10분 내 배송해주는 서비스를 진행 중이다."
- "코스맥스도 현지 파트너사와 제품 개발을 논의하는 등 네트워크를 넓혀가고 있다."
- "다만 인도가 K뷰티의 미국·유럽에 이은 차세대 핵심 시장이 될 지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린다."
- "한 뷰티업계 관계자는 '인도가 성장세는 확실하지만 미국, 유럽만큼 시장이 투명하지 않아 현지 법인 설립 등에 어려움이 있다'며 '자칫 'K뷰티의 중국 수난사'를 되풀이할 수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했다."
#화장품
Паказана 1 - 24 з 615
Увайдзіце, каб разблакаваць больш функцы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