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coin Community
Notcoin Community
Proxy MTProto | پروکسی
Proxy MTProto | پروکسی
Proxy MTProto | پروکسی
Proxy MTProto | پروکسی
iRo Proxy | پروکسی
iRo Proxy | پروکسی
쟁글(Xangle) 리서치 채널 avatar
쟁글(Xangle) 리서치 채널
쟁글(Xangle) 리서치 채널 avatar
쟁글(Xangle) 리서치 채널
Перыяд
Колькасць праглядаў

Цытаванні

Пасты
Схаваць рэпосты
[Weekly Xangle] AI 모멘텀과 관세 이슈 교차 속 크립토 시장은 혼조세

2025년 2월 셋째 주 가상자산 시장은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과 중국 AI·테크주에 대한 투자심리 개선이 동시에 부각되면서 혼조세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4월부터 자동차·반도체·의약품 등에 관세율을 최대 25%까지 단계적으로 인상할 수 있다고 시사했고, 19일(현지시간) 공개된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FOMC 의사록에 따르면 연준은 이 같은 관세 조치가 인플레이션을 다시 자극할 수 있다고 우려해 이번 회의에서 금리 동결을 택했다고 밝혔다. 비트코인은 전주 대비 1.77% 오른 $98,300선에서, 이더리움은 2.43% 오른 $2,700 선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한편, 중국 빅테크와 AI 테마주가 강세를 보이면서 신흥국 전반으로의 투자 관심도 높아졌다. 특히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등장으로 글로벌 AI 경쟁이 가속화되자, 위험자산 전반에 대한 선호 심리가 소폭 개선되는 분위기다.

이번 주 주요 소식은 아르헨티나 대통령 밀레이 밈코인, LIBRA 폭락 사태와 글로벌 가상자산 제도권 편입 가속화이다. LIBRA 폭락 사태는 단순히 한 국가의 정치적 스캔들에 그치지 않고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에도 파급 효과를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미국, 홍콩,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이 가상자산을 제도권으로 편입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반면, 한국은 아직 디지털자산 산업 진흥을 위한 명확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지 못해 경쟁에서 뒤처질 우려가 제기된다.

👉쟁글에서 ‘2월 셋째 주 Weekly Xangle' 보기
Pebble City: NHN의 Web3 소셜 카지노 게임 도전

NHN은 한국 게임 시장에서 웹보드 게임의 강자로 자리 잡은 후, 모바일 및 IT 기업으로 성장해온 국내 대표 IT 기업이다. 해외 진출과 게임 매출 반등이라는 숙제를 풀기 위해 NHN은 Web3 기반 소셜 카지노 게임 Pebble City를 출시했다. 국경의 장벽이 없는 Web3의 성격과 투기적 수요가 존재하는 크립토 시장은 웹보드 강자 NHN이 진출하지 않을 수 없는 시장이었을 것이다.

다음주 Pebble City NFT 프리세일이 시작되고, 본격적으로 게임이 출시
되며 글로벌 카지노 게임 유저들에게 다가갈 것으로 기대된다.

✅ Pebble City, NHN의 첫 Web3 게임으로 글로벌 소셜 카지노 시장 공략
✅ Starble 토큰 기반의 Web3 경제 모델 도입으로 유저 소유권 강화
✅ 기존 Web3 게임들의 한계(진입 장벽, 재미 부족, 불안정한 토크노믹스)를 극복하기 위해 고민
✅ 2월 12~14일 카지노 멤버십 NFT 프리세일 진행 예정

👉 쟁글에서 ‘Pebble City: NHN의 Web3 도전’ 리포트 보러가기
제타체인 4Q24 Review
Written by @jun7543

2024년 4분기 제타체인은 게이트웨이 업그레이드와 솔라나 네트워크 지원 통해 기술적인 향상을 이뤄내고 생태계 확장의 기반을 다졌다. 게이트웨이 업그레이드는 체인 간의 상호작용을 단일 인터페이스로 제어할 수 있게 지원하며, 외부 체인의 자산을 직접 출금, 호출할 수 있도록 컨트랙트의 기능을 개선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체인 간의 복잡성을 해소하고 상호운용성을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제타체인은 솔라나 네트워크 지원을 통해 비트코인, 이더리움, 솔라나를 모두 지원하는 첫 번째 L1이 되었는데, 이를 기반으로 유저와 유동성을 늘려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4분기 제타체인은 생태계 확장을 위한 활발한 움직임도 보였다. 특히 비트코인 생태계로의 확장 시도가 눈에 띄였다. 비트 스마일리, 아발론 파이낸스 등 비트코인 생태계의 대표 디파이 프로젝트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비트코인 생태계로 확장을 시도하는 모습이다.

본 글을 통해 구체적으로 4분기 동안 제타체인 생태계에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살펴보자

✅ 게이트웨이 업그레이드, 여러 체인의 여러 자산을 잇다
✅ 비트코인, 이더리움, 솔라나를 연결하는 첫 번째 체인

👉쟁글에서 ‘제타체인 4Q24 Review’ 보러가기
트럼프의 가상자산 행정명령 서명! 가상자산 새 시대 열리나?

금일 트위터 커뮤니티에서는 트럼프의 가상자산 행정명령 서명과 관련된 내용이 트렌딩 되고 있음. 대표적으로 @Cointelegraph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을 암호화폐의 수도로 만들기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전했음. 주요 내용은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대통령 실무 그룹 설립, 디지털 자산 부문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규정 및 기타 기관 조치 중 폐지 또는 수정이 필요한 사항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권고안을 실무 그룹에 제출, 기관이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CBDC)를 제정, 발행 또는 홍보하기 위한 어떠한 조치도 취하는 것을 금지, 이전 행정부의 디지털 자산 행정명령과 재무부의 디지털 자산에 대한 국제적 참여 프레임워크를 철회 들로 이루어짐. 마침, 오늘 아침 행정명령이 진짜임을 SAB 121 폐지로 증명됨. 기존 금융기관이 가상자산 보유를 강제로 회계상 부채로 기록하던 것을 일반 회계 기준을 따르게 됨.

이와 관련해 크립토 커뮤니티에서는 긍정적인 반응이 다수 존재함. 대표적으로 "이제 우리가 항상 원했던 것이 이뤄질 것입니다. 좋은 기업들은 수면 위로 떠오르고, 도둑과 사기꾼들은 업계에서 퇴출당할 것입니다"와 같은 반응이 존재함. 한편, 행정명령 서명에도 비트코인 가격은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 않음. 이는 이미 기대감이 반영되어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했던 것, 트럼프, 멜라니아 밈코인으로 시장 동력이 많이 소비된 것, 행정명령은 중장기적으로 이뤄질 예정이며 즉각적으로 시장에 돈이 유입되지는 않는 것이 반영된 것으로 보임. 다만 중장기적으로 가상자산 시장에 긍정적인 이슈인 것은 확실하기에 계속해서 지켜볼 필요 있음.

🔥'쟁글 뉴스레터' 구독하기 https://xangle.io/about/newsletter
🟢 LINE, Web3 글로벌 포털 'Dapp Portal' 공개

LINE이 Kaia와 협력하여 메신저 앱 내 Web3 플랫폼 'Dapp Portal'을 출시했습니다. LINE 앱 내에서 다양한 Mini Dapp을 이용할 수 있으며, Kaia 지갑 생성과 연동도 가능합니다. 현재 다양한 포인트 미션을 수행하면 Kaia 토큰과 NFT 리워드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미 Cattea, SuperZ, 캡틴 츠바사 등 인기 게임들이 탑재되어 있어, 누구나 쉽게 Web3 게임을 경험해 볼 수 있도록 했네요.

텔레그램이 TON 기반의 dApp들로 인기를 끌었다 최근 시들해지는 모습인데요. LINE과 KAIA의 협업은 얼마나 좋은 dApp들이 온보딩 되어 유저들에게 오랜기간 선택 받을 수 있는지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 일단 포인트 준다고 하니 받으로 가보겠습니다.

지금 바로 Dapp Portal 이용하기 👇
1. 링크 접속 (LINE앱과 계정 필수!)
2. Kaia 지갑 생성 및 연동
3. Mini Dapp 탐색 및 플레이
4. 미션 참여로 리워드 획득

다음에도 포텐있는 프로젝트 소개로 돌아올겠습니다😎

👉쟁글에서 [KAIA] 정보 확인하기
#KAIA #LINE
트럼프 취임 첫날, 가상자산 시장은?

지난 주말 트럼프가 공식 밈코인을 출시하며 가상자산 시장에 매우 친화적인 모습을 보여줌. 이에 금주 가상자산 시장에서는 트럼프 취임에 대한 기대감이 확산되는 모습을 보임. 실제로 20일 비트코인 가격이 한때 10만9천달러를 돌파하며 신고점을 경신. 또한 온체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 룩온체인에 따르면 트럼프 일가에서 주도하고 있다고 알려진 디파이 프로젝트 World Liberty Finance에서 $ETH, $LINK, $TRX, $AAVE를 각 $4.7M 씩 매수했는데, 이에 기대감이 더욱 확산.

그러나 취임식에서 트럼프가 비트코인 및 가상자산 시장과 관련한 어떠한 언급도 하지 않음. @News_Of_Alpha에 따르면 "트럼프는 비트코인이나 전략적 유보금에 대한 언급 없이 집무실에서 2차 행정명령 서명식 완료" 했다고 함. 이에 크립토 커뮤니티에서는 실망감을 보이는 반응이 다수 존재하는 상황. 그러나 트럼프가 가상자산 시장에 친화적인 행보를 보였던 것은 분명하고, 아직 취임 첫날이기 때문에 지켜볼 필요는 있음.

🔥 '쟁글 뉴스레터' 구독하기 https://xangle.io/about/newsletter
📢 $KAITO 오늘 에어드랍 및 거래 시작! 우리.. 졸업 가능?🤪

AI 기반 Web3 정보 플랫폼 KAITO의 토큰 에어드랍과 거래소 상장이 큰 화제🔥

1. 주요 내용
$KAITO 토큰 출시
클레임 시작: 오늘(20일) 오후 9시(한국시간)
거래 개시: 오후 10시
체인: Base



2. 거래소 상장
OKX와 Binance에서 KAITO/USDT 현물 거래 지원 예정
추정 비율: 1 Yaps = 100 $KAITO
프리마켓 가격: 약 $1.3
예상 FDV(완전 희석 가치): 13억 달러



3. KAITO 플랫폼 특징
Web3 관련 정보 인덱싱 및 제공
정보 금융(InfoFi) 모델 구축
사용자 소셜 미디어 활동으로 Yaps 포인트 적립



4. 프로젝트 전망
현재 뚜렷한 경쟁자 부재
TGE 프로젝트 중 최다 소셜 미디어 언급
단계별 에어드랍과 프로젝트 온보딩 확대로 중장기 성장 가능성 기대



이번 KAITO 토큰 출시는 Web3 및 암호화폐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보임👀

추가 정보는??!👇
🔥'쟁글 뉴스레터' 구독하기 https://xangle.io/about/newsletter

#KAITO #Xangle #InfoFi
SEC, 크립토 TF 웹사이트 공개.. 규제 방향 드디어 잡히나? 🔎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크립토 태스크포스(Crypto Task Force)’ 웹사이트를 공개하면서 본격적인 출범을 알렸고, 이에 X(구 트위터) 커뮤니티에서도 큰 관심을 받고 있음. 이번 TF는 암호화폐 규제 가이드라인을 명확히 하고 혁신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기존 SEC의 강경한 법적 조치를 비판하며 명확한 규제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고 주장해온 헤스터 피어스 위원이 직접 이끌 예정. 이번 TF 출범으로 인해 법적 프레임워크가 정리됨에 따라 전통 금융시장과의 연결을 위한 인프라 정비 및 기관 투자자의 참여가 촉진될 것으로 기대됨. 이번에 공개된 웹사이트는 업계 관계자 및 커뮤니티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의견을 제출할 수 있도록 운영될 계획.

커뮤니티에서는 이번 웹사이트 공개로 규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오랜 기간 어려움을 겪었던 업계가 본격적으로 제도권에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기대감을 보임. 업계 관계자와 시장 참여자들은 SEC의 태스크포스가 실질적인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을지, 혹은 또 다른 규제 혼선을 초래할지 주의 깊게 지켜보고 있는 상황. Ripple의 Chief Legal Officer인 @s_alderoty는 이번 발표에 대해 “이전 행정부가 펼쳤던 '크립토와의 전쟁' 속에서도 피어스 위원은 일관되게 합리적인 규제 방안을 주장해왔음. 오늘 발표는 SEC의 혼란스러운 규제 접근 방식을 정리하고, 보다 명확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신속하고 중요한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평가.

🔥'쟁글 뉴스레터' 구독하기 https://xangle.io/about/newsletter
24.01.202511:01
쟁글이 스폰서로 참여하는 블록체인 학회 연합행사 KOBAC 2025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KOBAC은 국내 블록체인 학회들이 1년간 활동한 성과를 공유하고 교류하는 자리입니다. Web3와 블록체인에 관심 있는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국내외 주요 블록체인 프로젝트 및 재단과의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합니다.

📌 주요 프로그램
- 국내 빌더들의 데모 피칭
- 블록체인/Web3 시장 인사이트 세션
- 학회 간 교류 및 네트워킹

🔍 참여 학회 및 스폰서
- 고려대, 연세대, 이화여대 등 국내 주요 학회의 Web3 활동 소개
- Xangle, A41, Uniswap Labs 등 다양한 스폰서들과의 네트워킹

📅 일시: 내일 2025년 1월 25일 (토) 13:00 ~ 20:00

📍 더 자세한 정보와 행사 등록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행사 등록하기
제로지(Ø,G)가 오늘 저녁 7시 “Road to Mainnet” 이벤트를 개최합니다 🚀

0g는 총 $369M 투자를 유치한 블록체인 인프라 프로젝트입니다. 이번 행사는 0G 팀과 생태계 빌더들이 모여 분산형 AI 운영체제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갈지 이야기 하는 자리인데요.

0g 팀의 주요 로드맵, 빌더를 위한 보조금, 해커톤 계획, 커뮤니티 협업 등 다양한 논의가 이뤄질 예정입니다! 오늘 저녁 7시부터 10시까지 진행될 예정으로 0G의 혁신과 함께할 모든 분들을 기다립니다🤗🤗🤗

0G OG, AI 전문가, 웹3 초보자 모두 환영!!!

행사 등록하기: https://lu.ma/lkpkrd8h?tk=HOuKpm
SEC의 크립토 TF출범 🔥앞으로의 규제 방향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암호화폐 시장의 명확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기 위해 새로운 태스크포스 ‘Crypto 2.0’을 출범시켰다는 소식이 X(구 트위터) 커뮤니티에서 큰 주목을 받음. 해당 TF의 출범은 마크 우예다(Mark T. Uyeda) SEC 의장 대행이 발표했으며, 헤스터 퍼스(Hester Peirce) 위원이 이끌 예정.

SEC는 그동안 주로 사후 대응적인 집행 조치에 의존해 왔는데, 이로 인해 새로운 법적 해석이 검증 없이 채택되고, 등록 대상과 방법에 대한 명확성이 부족했으며, 결과적으로 합법성에 대한 혼란과 혁신을 저해했다는 비판을 수용. 이번 태스크포스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투자자 보호와 혁신 지원을 균형 있게 다룰 계획이라고 밝힘.

🔥'쟁글 뉴스레터' 구독하기 https://xangle.io/about/newsletter
21.01.202501:45
1분기 TGE가 기대되는 유니콘 프로젝트들 정리
Written by: @kp

- 정치인 밈코인으로 변동성이 높아졌으나 이럴 때일수록 열심히 1분기 출시를 준비중인 프로젝트들을 조명해 보았습니다.
- 그 중 FDV 기준 $1B 이상이 기대되는 유니콘 프로젝트들을 리스트업 (리서처 개인 의견으로 틀릴 수 있고, 일정이 미뤄질 수 있습니다)

1. Initia - $25M (총 투자유치규모)

- 이니시아는 쉽게 말해 이더리움 롤업(OP, Arbitrum 등) 사이의 파편화를 해결해 주는 레이어1 프로젝트
- CosmosSDK 기반으로 만들어지고 있으며, EVM, WasmVM, MoveVM, Celestia DA 등을 모듈화하여 Dev팀 입맛대로 만들고 싶은 롤업을 구축할 수 있음
- 현재 L1 오딧 과정에 있어 추가 개발이 멈춰졌으며, 오딧 끝나고 바로 TGE 하지 않을까 예상
- 아주 귀여운 강아지 Jennie가 마스코트로 Initia의 밸류에 큰 기여를 하는 중 (진짜 귀여움)

2. 0g Labs - $369M

- 0g Labs는 모듈형으로 AI 블록체인 개발을 도와주는 인프라 프로젝트.
- AI로 인해 늘어나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 및 처리하기 위한 모듈형 아키텍처를 제공하며, 초당 50GB 데이터 처리 성능을 통해 기존 Web2 성능에 도전하는 프로젝트
- 노드 세일 및 VC 투자유치를 통해 $369M라는 어마어마한 펀딩에 성공한 곳으로 AI 테마와 함께 1분기 기대주로 등극할 가능성이 높음

3. Babylon - $96M

- 바빌론은 비트코인 보유자들이 자신의 비트코인을 스테이킹하여 지분증명(PoS) 블록체인의 보안을 강화하고, 그 대가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 쉽게 말해 비트코인 예치해서 이더리움이나 Cosmos 계열 코인을 채굴할 수 있는 것
- 기존 이더리움 생태계에 아이겐레이어가 있다면 비트코인 생태계는 바빌론이 대표주자
- 현재 바빌론에 예치된 비트코인 규모는 약 $6B으로 엄청난 기대를 받는중으로, 추후 PoS 스테이킹에 따르는 보상이 얼마나 될지가 주요 관전 포인트

4. Monad - $244M

- 모나드는 높은 TPS(초당 처리량)과 빠른 Finality를 목표로 하는 EVM 호환 레이어1 블록체인
- 10,000 tps에 1초 미만의 Finality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모나드는 블록체인 업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EVM을 병렬로 처리하는 기술을 도입
- 모나드가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은 EVM 병렬 처리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를 지지하는 탄탄한 커뮤니티도 이에 한 몫
- 기술과 커뮤니티라는 두 가지 무기를 갖춘 모나드이기에 EVM 진영에서 솔라나를 위협할 체인으로 기대 받는중

5. Anime Chain - N/A

- 애니메 체인은 Azuki NFT를 만든 팀에서 빌딩하는 체인으로 애니메이션 기반 콘텐츠의 허브 체인이 되는 것이 목표
- 구체적으로는 기존 애니메이션 IP에 파생되어 생성되는 수많은 2차 컨텐츠들을 블록체인 위에 기록하고, 그에 대한 보상체계를 투명하게 수립해 팬과 크리에이터 모두를 만족시키는 인프라 플랫폼을 지향
- 초기엔 Azuki 기반의 콘텐츠를 필두로 일본의 인디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와 협업하여 기존 콘텐츠를 온체인으로 확장하는 전략을 펼칠 것으로 보임

6. Berachain - $142M

- 베라체인은 Cosmos SDK 기반으로 빌딩된 EVM 호환 체인으로, 독특한 합의 알고리즘인 Proof of Liquidity(PoL)를 도입해 DeFi 중심의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프로젝트
- 프로젝트명에서 드러나듯 ‘곰(Bear)’을 메인 테마로 활용해 NFT, 밈(meme) 문화, DeFi를 결합한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며 아주 강력한 커뮤니티 집단을 형성
- 탄탄한 커뮤니티에 기반했기에 1월 11일 테스트넷 출시 후 6시간 만에 이더리움 1년 트랜젝션을 추월하는 어마어마한 성장세를 보이며 기대감을 높인 체인

7. Story Protocol - $134M

- 스토리 프로토콜은 크리에이터들을 위한 IP 관리 및 수익화 프로토콜로, 웹소설, 만화, 영화 등 컨텐츠 크리에이터들이 블록체인 상에서 콘텐츠를 관리하고 수익화할 수 있도록 지원
- IP 저작권에 대한 개념이 흐려지고 있는 AI 시대에 콘텐츠에 대한 보상과 거래를 토큰을 통해 지원하여 크리에이터를 보호하고, 콘텐츠 창작에 대한 확실한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목표
- 최근엔 AI Agent가 생성한 콘텐츠의 데이터 공유 및 거래를 지원하는 에이전트 TCP/IP 프레임워크를 발표하며, AI 시대의 허브가 되기 위한 로드맵을 추가

8. Particle Network - $23.8M

- 파티클 네트워크는 Web3 서비스의 큰 문제점 중 하나인 불편한 UI/UX를 “체인 추상화”라는 기술을 통해 해결하려는 프로젝트
- 유저가 “체인추상화” 기술을 적용한 서비스 사용 시 하나의 지갑으로 다양한 블록체인 위의 서비스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기 다른 블록체인 별로 지갑을 만들고 잔고를 관리해야 했던 현재의 불편함이 해결됨
- 모놀리틱 체인 대비 사용자 경험이 나쁜 EVM 생태계를 우선적으로 지원하며 추후 확장 예정

9. Abstract Chain - N/A

- 펏지펭귄 팀이 빌딩하고 있는 Abstract 체인은 zkSync 기술을 활용한 이더리움 레이어2 롤업
- 마케팅의 황제펭귄 격인 펏지펭귄 팀이 구축하는 롤업 체인인 만큼 컨슈머 블록체인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해당 목표 달성을 위해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중
- 펭구 토큰, 앱스트랙트 토큰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펏지펭귄 홀더들은 사랑스러운 눈으로 파운더 루카 넷츠를 바라보고 있을 것으로 보임
- 콘텐츠 시장의 가장 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큰 꿈을 가진 프로젝트로 높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기대

8. Particle Network - $23.8M

- 파티클 네트워크는 Web3 서비스의 큰 문제점 중 하나인 불편한 UI/UX를 “체인 추상화”라는 기술을 통해 해결하려는 프로젝트
- 유저가 “체인추상화” 기술을 적용한 서비스 사용 시 하나의 지갑으로 다양한 블록체인 위의 서비스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기 다른 블록체인 별로 지갑을 만들고 잔고를 관리해야 했던 현재의 불편함이 해결됨
- 모놀리틱 체인 대비 사용자 경험이 나쁜 EVM 생태계를 우선적으로 지원하며 추후 확장 예정

9. Abstract - N/A

- 펏지펭귄 팀이 빌딩하고 있는 Abstract 체인은 zkSync 기술을 활용한 이더리움 레이어2 롤업
- 마케팅의 황제펭귄 격인 펏지펭귄 팀이 구축하는 롤업 체인인 만큼 컨슈머 블록체인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해당 목표 달성을 위해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중
- 펭구 토큰, 앱스트랙트 토큰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펏지펭귄 홀더들은 사랑스러운 눈으로 파운더 루카 넷츠를 바라보고 있을 것으로 보임
🚀 BNB 생태계, HashKey 상장과 CZ 복귀로 기대감 상승🔥

금일 Hashkey에 BNB 현물 거래 상장을 발표하며 BNB 생태계가 뜨거운 화제가 되고 있음.

1️⃣ HashKey Global, BNB 현물 거래 상장 발표
CZ: "홍콩 규제 승인과 다름없음" → 후에 공식적인 규제 승인은 아닌 상태로 정정

2️⃣ BNB 생태계 확장 및 홍콩 규제 완화 가능성 시사
글로벌 규제 당국 감시 지속, 주요 거래소 추가 상장 여부 주목

3️⃣ CZ 복귀 후 BNB 생태계 활성화 전략 본격화
$TST 토큰 테스트
AI 에이전트 튜토리얼 준비 중
밈코인 런치 플랫폼 'Four.Meme' 활성화

최근 솔라나의 악재와 BNB의 호재로 시장의 이목 집중, BNB가 다시 한번 도약할 수 있을 지 지켜볼 필요 있음 👀

🔥'쟁글 뉴스레터' 구독하기 https://xangle.io/about/newsletter
#BNB #바이낸스 #CZ #HashKey #암호화폐 #Xangle
Web3 내부자 고발로 인해 점화된 바이낸스 랩스를 둘러싼 논란

금일 트위터 커뮤니티에서는 바이낸스랩스의 내부 부패 및 특혜 의혹이 제기되며 큰 논란이 되고 있음. 특히 한 익명의 Web3 창업자가 바이낸스 랩스의 투자 및 상장 과정에서 불투명한 절차가 존재하며, 내부 관계자들이 특정 프로젝트를 우선적으로 밀어주는 구조가 형성되었다는 내용을 폭로하면서 시장의 반응이 뜨거움.

익명의 Web3 창업자는 "바이낸스 랩스의 주요 인사들이 프로젝트 평가 과정에서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뒷문 거래’를 진행하며, 일부 프로젝트들은 특정 인물들의 개입을 통해 투자 및 상장 절차가 빠르게 진행되었다"며 바이낸스 랩스의 직원들에 대한 이야기를 구체적으로 전함.
이와 관련해 바이낸스 랩스의 공동 창업자인 Yi He는 해명문을 전함. 이에 현재 크립토 커뮤니티에서는 바이낸스를 비판하는 반응이 다수 존재하는 상황. 다만 아직 익명의 증언에서 나온 이야기이니, 추가적인 증언과 증거를 확인할 필요 있음.

🔥️️️️'쟁글 뉴스레터' 구독하기 https://xangle.io/about/newsletter
절킷(ZRC) 4Q24 Review

절킷은 작년 4분기 메인넷 2단계 업그레이드를 통해 L2 유동성 허브와 브릿지를 전면 오픈하고, $ZRC TGE와 에어드랍을 진행하며 생태계를 빠르게 확장했다. 특히 에어드랍 시즌 2~3에서 스테이킹 참여를 촉진하고, EIGEN 페어드롭으로 소규모 투자자까지 포용함으로써 유동성과 거래량을 끌어올려 롤업 TVL 3위에 자리 잡았다.

향후 절킷은 Chunk Prover와 zkTrie를 도입해 증명 효율을 높이고, SLS 2.0/3.0 및 zkVM 전환 검토를 통해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면서 확장성까지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AI 에이전트 프로젝트 GudTech를 중심으로 자동화 금융(DeFAI)을 고도화해, DeFi와 AI가 결합된 차세대 생태계를 더욱 활성화하겠다는 비전을 내세우고 있다.

✅메인넷 2단계와 TGE로 L2 유동성 허브·브릿지를 전면 오픈하고 생태계를 빠르게 확장
✅에어드랍 시즌 2~3과 EIGEN 페어드롭을 통해 유동성·거래량을 끌어올려 롤업 TVL 3위 달성
✅Chunk Prover·zkTrie 도입으로 증명 효율성을 높여 네트워크 처리 속도와 비용 효과성 강화
✅SLS 2.0/3.0와 zkVM 검토로 보안을 단계적으로 개선하며 확장성까지 확보하는 로드맵 추구
✅GudTech를 중심으로 DeFAI 자동화 금융 전략을 구현해 DeFi와 AI의 혁신적 생태계 활성화 계획

👉 쟁글에서 ‘절킷(ZRC) 4Q24 Review’ 보러가기
이더리움에 새로운 재단이?! ‘Second Foundation’ 논란🏛️

이더리움 생태계에 새로운 재단인 Second Foundation 설립 가능성이 제기되며 X 커뮤니티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음. 리도(Lido) 창립자 콘스탄틴 로마슈크(@Lomashuk)는 “현재 이더리움 재단(EF) 체계에선 재단 외부인이 이더리움에 기여하기 어렵다”며, 이더리움 생태계의 다양성을 위해 새로운 재단의 필요성을 암시. Second Foundation 계정과 첫 트윗이 화제가 되자 로마슈크는 “제2 재단 설립은 실제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단순한 아이디어일 뿐”이라고 해명.

한편, 최근 이더리움 재단과 비탈릭 부테린은 ETH 매각과 리더십 문제를 둘러싸고 커뮤니티의 비판을 받고 있음. 최근 이더리움 재단이 운영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ETH를 매각한 사실이 밝혀지며 홀더들의 비난이 이어졌으며, 비탈릭은 리더십 문제에 대해 “현재 결정권은 내가 책임져야 한다”고 밝혀 리더십의 중앙 집중화 논란이 생긴 바 있음. VanEck 디지털 자산 리서치 책임자인 매튜 시겔(@matthew_sigel)은 “이더리움의 미래를 결정할 단체가 꼭 EF 하나일 필요는 없다”며 긍정적인 의견을 밝히기도 함.

🔥 '쟁글 뉴스레터' 구독하기 https://xangle.io/about/newsletter
스크롤(SCR) 4Q24 Review
Written by @juwonleedev

2024년 4분기는 스크롤(Scroll)이 글로벌 사용자 기반 확대와 생태계 성장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한 시기였다. 에어드랍과 바이낸스 파트너십을 통해 사용자 기반을 강화했으며, 디파이와 멀티체인 프로젝트 온보딩, Scroll DAO 거버넌스 출시, ‘레벨업(LevelUp)’ 이니셔티브 등을 통해 생태계를 다각화하고 확장하고자 노력했다. 기술적으로는 OpenVM을 통한 zkVM 전환과 Scroll SDK를 통해 효율과 개발자 경험을 크게 개선했으며, 체인링크 CCIP 통합으로 상호운용성을 한층 강화했다.

에어드랍 이후 활성화 지갑 수와 트랜잭션 수가 감소하며 사용자 리텐션과 생태계 활성화 전략이 과제로 남아 있으나, 트럼프 테마로 주목받으며 마켓캡이 반등했다. 내부자 매도 의혹에 대해 발빠르게 소명하며 커뮤니티 신뢰 회복에 나선 모습 또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스크롤의 이러한 행보가 중장기적인 성장과 생태계 활성화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 $SCR 토큰 런치와 바이낸스 파트너십, 내부자 매도 의혹에 대한 신속한 대응
✅ 디파이 및 멀티체인 프로젝트 온보딩, Scroll DAO 거버넌스, ‘레벨업’ 이니셔티브로 생태계 확장 노력
✅ OpenVM, Scroll SDK, 체인링크 CCIP 통합으로 성능 개선과 UX/DX 및 상호운용성 강화

👉 쟁글에서 ‘스크롤(SCR) 4Q24 Review’ 보러가기
이주의 락업해제 스케쥴을 확인해보세요! 🔓

현재 390개 이상의 토큰 유통계획이 공개되어 있는 쟁글 유통량 대시보드에서 파편화되어 있는 유통계획 정보를 한 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주의 주요 락업해제:
▶️ 알트레이어(ALT): 240.09M ALT(10.43%)
▶️ 월드코인(WLD): 38.32M WLD(4.22%)
▶️ 그래스(GRASS): 5.58M GRASS(2.56%)
▶️ 스페이스 아이디(ID): 18.38M ID(2.13%)
▶️ 아캄(ARKM): 3.48M ARKM(1.55%)
[Weekly Xangle] 글로벌 관세 전쟁 속 리스크 확대, 크립토 시장 조정세

2025년 2월 첫째 주 가상자산 시장은 글로벌 무역 긴장 고조와 매크로 불확실성 속에서 하락세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캐나다, 멕시코에 대한 전면적인 관세 부과를 선언하면서 금융시장이 출렁였으며,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가 가중되며 위험자산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비트코인은 전주 대비 7.7% 하락한 $96,593, 이더리움은 17.22% 하락한 $2,688에서 거래되며 약세를 이어갔다. 특히 미국의 주요 원유 수입국인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관세 부과 가능성이 높아지며, 에너지 가격 상승과 소비 둔화 가능성이 대두 되었다. 다행히 일부 국가에서 협상을 통해 관세 부과를 유예하였지만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기에 무역 리스크는 당분간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주 주요 소식은 SEC 리플, 솔라나, 라이트코인 ETF 승인 절차 개시와 미 의회 가상화폐 정책 실무그룹 출범이다. SEC의 이러한 행보는 단순히 개별 ETF 승인 절차를 넘어서 암호화폐 시장 전반의 제도적 틀을 마련하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한편, 미 의회는 크립토 차르 데이비드 삭스가 첫 기자회견에서 밝힌 양원 암호화폐 의원단 구성 정책의 현실화를 나타내듯이 실무그룹을 출범시켰으며, 가상화폐 산업의 제도권 편입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쟁글에서 ‘2월 첫째 주 Weekly Xangle' 보기
03.02.202504:16
이주의 락업해제 스케쥴을 확인해보세요! 🔓

현재 390개 이상의 토큰 유통계획이 공개되어 있는 쟁글 유통량 대시보드에서 파편화되어 있는 유통계획 정보를 한 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주의 주요 락업해제:
▶️ 다이멘션(DYM): 22.7M DYM(10.10%)
▶️ 엑시인피니티(AXS): 10.7M AXS(6.78%)
▶️ 자이(XAI): 35.8M XAI(5.01%)
▶️ 월드코인(WLD): 38.3M WLD(3.94%)
▶️ 그래스(GRASS): 5.58M GRASS(2.43%)
[Weekly Xangle] 트럼프 정부 출범 기대감 속 변동성 확대

2025년 1월 넷째 주 가상자산 시장은 트럼프 취임을 전후로 혼조세를 보였다. 비트코인은 트럼프 정부 출범 기대감이 선반영되어 20일 신고가를 경신하였으나 이내 차익실현 움직임으로 큰 변동성이 발생하였다. 비트코인은 전주 대비 4.2% 상승한 10만 4천 달러, 이더리움은 0.8% 상승한 3천 3백 달러 부근에서 거래 중이다. 취임 직후에도 구체적인 정책 언급이 없어 시장은 잠시 조정을 받았으나, 23일 다보스 포럼에서 미국을 AI와 가상자산의 '세계 수도'로 만들겠다는 비전 제시로 시장 심리가 다소 회복됐다.

이번 주 주요 소식은 이더리움 재단의 리더십 의구심과 트럼프 밈코인 발행 소식이다. 이더리움의 가격 부진이 재단의 리더십 문제라는 의견이 제기되었으며, 이더리움 생태계의 주요 비판들이 나오며, 향후 재단이 커뮤니티 신뢰 회복을 어떻게 하냐에 따라 미래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밈코인 발행으로 암호화폐 업계의 뜨거운 감자가 되었으나, 잇따라 찬반 논쟁이 진행되고 있으며, 정치 권력과 암호화폐 결합으로 생긴 규제 및 윤리적 문제가 대두될 것으로 보인다.

👉쟁글에서 ‘1월 넷째 주 Weekly Xangle' 보기
🔥규제 라이센스를 보유한 DEX인 GRVT, $5M 투자 유치

버뮤다 BMA 라이센스를 보유한 하이브리드 DEX GRVT(그래비티)가 Further Ventures로부터 $5M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라이센스를 보유한 DEX라는 색다른 접근을 보이는 GRVT는 투자금을 활용해 기관투자자 대상으로 영업을 전개하고, 제공하는 투자 상품 라인업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Moonshot, Jupiter 사용자가 급증하는 등 DEX의 대중화 흐름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GRVT도 그 흐름을 탈 수 있을지 기대가 됩니다.

현재 메인넷 출시 후 서비스 사용 시 리워드 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데 아무래도 라이센스 DEX인 만큼 KYC 과정이 필요해 보입니다.

GRVT 하이브리드 DEX 사용법
1. 로그인 사이트 접속(링크)
2. 초대 코드 A8HS7MY 입력 (없으면 안된다고 하네요..)
3. 메인넷 지갑 생성
4. GRVT 거래소에서 거래시작!


다음에도 포텐있는 프로젝트 소개로 돌아올겠습니다😎

👉쟁글에서 [GRVT] 정보 확인하기

#GRVT #그래비티
분산형 보안 컴퓨팅 네트워크 닐리언, 2월 메인넷 출시와 커뮤니티 에어드랍 발표 !

🚀 Nillion은 어떤 프로젝트?
Nillion은 블록체인이 트랜잭션 신뢰를 탈중앙화했던 것처럼, 고가치·민감 데이터를 안전하게 처리하는 탈중앙화 보안 네트워크

Nillion팀의 핵심 인물:
- Uber 창립 엔지니어 출신의 CTO, Hedera 창립 마케팅 책임자 출신의 CSO , Coinbase 법무팀 출신의 법률자문가
- ConsenSys, LayerZero, Polygon, Google 등 글로벌 테크 기업 출신 개발자들

💰 토크노믹스
총 공급량: 10억 NIL

토큰 유통 계획:
Treasury: 17.5% / 생태계 및 파트너: 21% / 커뮤니티: 20% / 핵심 기여자: 20% / 초기 투자자: 21.5%


🏃‍➡️ 투자 및 파트너십
- 총 5,000만 달러 이상의 자금 조달 완료
- Hack VC, Distributed Global, HashKey 등 주요 투자자 참여
- Virtuals, NEAR, Aptos, Arbitrum 등 35개 이상의 프로젝트 및 기업과 공식 파트너십 체결
→ Nillion은 현재 AI 에이전트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중점을 두고 있음


✅ 에어드랍
▶️ 닐리언은 적격 커뮤니티 참여자 및 개발자에게 총 발행량의 7.5% (7,500만 $NIL)을 할당

1️⃣ 검증자 프로그램 참여자: 1주 이상 검증자 프로그램 운영자
2️⃣ 커뮤니티 노력: 디스코드, OG, 블라인드 워리어 및 기타 커뮤니티 참여
3️⃣ 개발자: 깃허브, 해커톤, 바운티 빌더, SDK 사용자, 기술 콘텐츠 제작자 등

▶️ 참여자는 2월 4일 오전 2시(KST)까지 [https://claims.nillion.com]에 접속 후 지갑을 등록해야만 할당 받은 $NIL 토큰을 수령할 수 있음
▶️ 보너스 프로그램: 향후 공개 예정#NIL #닐리언 #에어드랍 #Airdrop

👉쟁글에서 <$NIL> 정보 보러가기
트럼프의 밈코인 출시로 판도가 바뀐 시장

지난주 토요일 오전 트럼프 대통령이 Truth Social을 통해 공식 트럼프 밈코인 출시를 발표. 출시 당시 트럼프 Truth Social 계정이 해킹 당한 것이라는 의견이 다수 존재했으나 토큰 가격이 계속 상승하고 이내 트럼프의 트위터 계정에도 게시글이 올라오면서, 트럼프가 밈코인을 출시한 것이 공식화됨. 이후 트럼프 밈코인의 가격은 폭등하여 100조원이 넘는 시가 총액을 달성하기도 함. 현재는 다소 하락한 $45B 수준.

트럼트에 이어 오늘 오전은 아내인 멜라니아가 트위터를 통해 "공식 멜라니아 밈코인을 출시했다"고 전. 멜라니아 밈코인도 출시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으며, 현재 시가총액 약 $10B을 기록 중. 이번 밈코인 출시는 트럼프가 얼마나 가상자산 시장에 친화적인가를 알 수 있는 대목임. 이를 시작으로 정치인, 연예인, 기업가들의 밈코인 출시가 이어질 것으로 보임. 그러나 영향력을 이용해서 무분별하게 토큰을 출시하고 가격을 상승시키는 행위는 되려 가상자산 시장이 카지노판이라는 안좋은 이미지를 씌우고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견도 존재. 트럼프가 쏘아올린 밈코인 메타로 대중들이 블록체인 서비스에 익숙해지는 것을 계기로 업계 전반에 좋은 서비스들이 더 많이 등장하기를 기대.

🔥 '쟁글 뉴스레터' 구독하기 https://xangle.io/about/newsletter
Паказана 1 - 24 з 91
Увайдзіце, каб разблакаваць больш функцы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