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시 트레이딩 - 매크로, 시황으로 드리블
매크로, 시황 관련 원하는 정보가 있으면 제안할 수 있습니다. #매크로 #시황 #경제지표 #FRB #FED #FOMC #ECB #금리 #고용 #물가 #GDP #PMI #PCE #CPI #PPI #LEI
해당 채널의 게시물은 단순 스크랩 및 기록용도이고 매수-매도 등 투자권유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어떤 경우에도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해당 채널의 게시물은 단순 스크랩 및 기록용도이고 매수-매도 등 투자권유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어떤 경우에도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Рэйтынг TGlist
0
0
ТыпПублічны
Вертыфікацыя
Не вертыфікаваныНадзейнасць
Не надзейныРазмяшчэнне
МоваІншая
Дата стварэння каналаСіч 26, 2024
Дадана ў TGlist
Вер 18, 2024Прыкрепленая група
Падпісчыкаў
1 201
24 гадз.
20.2%Тыдзень
413.5%Месяц
877.8%
Індэкс цытавання
0
Згадкі0Рэпостаў на каналах0Згадкі на каналах0
Сярэдняе ахоп 1 паста
859
12 гадз.8590%24 гадз.8590%48 гадз.525
29.4%
Узаемадзеянне (ER)
0.93%
Рэпостаў8Каментары0Рэакцыі2
Узаемадзеянне па ахопу (ERR)
71.64%
24 гадз.0%Тыдзень0%Месяц
45.57%
Ахоп 1 рэкламнага паста
129
1 гадз.4232.56%1 – 4 гадз.00%4 - 24 гадз.3023.26%
Усяго пастоў за 24 гадзіны
1
Дынаміка
9
Апошнія публікацыі ў групе "매시 트레이딩 - 매크로, 시황으로 드리블"
11.04.202502:26
🎯 기업들의 실적 가이던스가 악화되었고, 투자자들은 어닝시즌에 대해 불안해하고 있다.
🗣 뱅크오브아메리카 :
기업들의 실적 가이던스가 상당히 악화되었다. 컨센서스를 넘는 가이던스와 미달하는 가이던스의 비율이 3개월 0.4로 떨어졌는데, 이는 2020년 4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고 역사적 평균인 1.0보다 훨씬 낮다. 기업들은 불확실성 속에서 실적 가이던스를 축소하는 경향이 있다.
🗣 모건스탠리자산운용 :
관세 부과 여파는 소비자에게는 가격 상승 형태로, 기업에는 마진 하락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거의 모든 시나리오에서 기업 수익성은 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크다. S&P500 기업의 2025년 주당순이익(EPS) 추정치가 기존 270달러에서 255~260달러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이로 인해 지수는 5100~5900 사이의 범위에서 거래될 가능성이 크다.
🗣 뱅크오브아메리카 :
기업들의 실적 가이던스가 상당히 악화되었다. 컨센서스를 넘는 가이던스와 미달하는 가이던스의 비율이 3개월 0.4로 떨어졌는데, 이는 2020년 4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고 역사적 평균인 1.0보다 훨씬 낮다. 기업들은 불확실성 속에서 실적 가이던스를 축소하는 경향이 있다.
🗣 모건스탠리자산운용 :
관세 부과 여파는 소비자에게는 가격 상승 형태로, 기업에는 마진 하락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거의 모든 시나리오에서 기업 수익성은 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크다. S&P500 기업의 2025년 주당순이익(EPS) 추정치가 기존 270달러에서 255~260달러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이로 인해 지수는 5100~5900 사이의 범위에서 거래될 가능성이 크다.
10.04.202513:29
💼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
🎯 헤드라인 요약
- 신규 실업수당 청구(계절조정 기준)는 223K로 전주 대비 +4K 증가
- 4주 이동평균은 223K로 변동 없음
- 계속 청구건수는 1.85M로 전주 대비 -43K 감소
- 계속 청구자 수 기준 실업률은 1.2% (변동 없음)
🎯 세부 동향 분석
- 계절조정되지 않은 실업수당 신규청구는 215,392건, 전주 대비 +15,307건(+7.7%)
- 예상 증가폭(6.1%)보다 높은 증가폭 기록 → 계절효과 외의 실질 증가 가능성
- 전년 동기(215,265건)와 유사, 전년 대비 큰 변화 없음
🤔 시사점
- 고용시장 안정적이나 일부 산업에서 구조조정 신호
- 신규청구 수의 증가에도 전체 청구자 수는 감소세, 실업률도 1.2%로 낮은 수준 유지
- 계절조정되지 않은 수치 기준으로는 상승폭이 커 주의 요망
- 고용시장 둔화가 본격화되기 전의 변곡점 가능성 모니터링 필요
🎯 헤드라인 요약
- 신규 실업수당 청구(계절조정 기준)는 223K로 전주 대비 +4K 증가
- 4주 이동평균은 223K로 변동 없음
- 계속 청구건수는 1.85M로 전주 대비 -43K 감소
- 계속 청구자 수 기준 실업률은 1.2% (변동 없음)
🎯 세부 동향 분석
- 계절조정되지 않은 실업수당 신규청구는 215,392건, 전주 대비 +15,307건(+7.7%)
- 예상 증가폭(6.1%)보다 높은 증가폭 기록 → 계절효과 외의 실질 증가 가능성
- 전년 동기(215,265건)와 유사, 전년 대비 큰 변화 없음
🤔 시사점
- 고용시장 안정적이나 일부 산업에서 구조조정 신호
- 신규청구 수의 증가에도 전체 청구자 수는 감소세, 실업률도 1.2%로 낮은 수준 유지
- 계절조정되지 않은 수치 기준으로는 상승폭이 커 주의 요망
- 고용시장 둔화가 본격화되기 전의 변곡점 가능성 모니터링 필요
10.04.202513:21
🗽 2025년 3월 소비자물가지수
🎯 주요 항목별 동향
- 에너지 물가가 2.4% 하락하며 전체 CPI 하락을 주도 (특히 가솔린 가격 -6.3%)
- 식품 가격은 전월 대비 0.4% 상승 (계란 가격 급등 +5.9%)
- 근원 CPI(식품 및 에너지 제외)는 전월 대비 0.1% 소폭 상승, 전년 대비 2.8% 상승으로 최근 4년 내 최저치 기록
🎯 세부 품목 주요 변동
- 항공 운임(-5.3%), 중고차(-0.7%), 차량보험료(-0.8%), 여가(-0.1%) 등 소비경기 민감 항목에서 하락세
- 개인 관리 서비스(+1.0%), 의료 서비스(+0.5%), 교육(+0.4%), 의류(+0.4%)는 상승세 유지
- 주거비는 전월 대비 0.2% 상승했으나, 전년 대비 증가율(4.0%)은 2021년 이후 최저 수준
🤔 시사점
- 서비스 부문 중심의 끈적한 상승세는 지속
- 경기 민감 품목 하락은 소비 수요의 점진적인 약화를 시사
-> 서비스 물가는 상승 지속, 경기는 둔화
🎯 주요 항목별 동향
- 에너지 물가가 2.4% 하락하며 전체 CPI 하락을 주도 (특히 가솔린 가격 -6.3%)
- 식품 가격은 전월 대비 0.4% 상승 (계란 가격 급등 +5.9%)
- 근원 CPI(식품 및 에너지 제외)는 전월 대비 0.1% 소폭 상승, 전년 대비 2.8% 상승으로 최근 4년 내 최저치 기록
🎯 세부 품목 주요 변동
- 항공 운임(-5.3%), 중고차(-0.7%), 차량보험료(-0.8%), 여가(-0.1%) 등 소비경기 민감 항목에서 하락세
- 개인 관리 서비스(+1.0%), 의료 서비스(+0.5%), 교육(+0.4%), 의류(+0.4%)는 상승세 유지
- 주거비는 전월 대비 0.2% 상승했으나, 전년 대비 증가율(4.0%)은 2021년 이후 최저 수준
🤔 시사점
- 서비스 부문 중심의 끈적한 상승세는 지속
- 경기 민감 품목 하락은 소비 수요의 점진적인 약화를 시사
-> 서비스 물가는 상승 지속, 경기는 둔화


10.04.202505:48
🎯 [Goldman Sachs, 미국 경기 침체 예측 철회]
Goldman Sachs는 미국 경기 침체 예측을 철회했습니다.
하지만 연준 관계자들은 스태그플레이션의 위험이 여전히 남아 있다고 말합니다.
Goldman Sachs는 미국 경기 침체 예측을 철회했습니다.
하지만 연준 관계자들은 스태그플레이션의 위험이 여전히 남아 있다고 말합니다.
10.04.202500:33
🎯 최근 약세장의 배경과 원인
현재의 약세장은 미중 무역관세와 같은 이벤트 기반으로 시작되었지만, 거시경제 지표 악화와 경기침체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경기순환적 약세장으로 전환될 위험이 있습니다.
🎯 약세장 내의 일시적 상승(Bear Market Rally)
약세장 기간 중에도 일시적인 상승(베어마켓 랠리)이 자주 발생합니다. 과거 데이터를 보면 약세장 랠리의 평균 기간은 약 44일이며, 평균적으로 주가가 10~15%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경기민감주(Cyclicals)가 방어주(Defensives) 대비 평균적으로 4% 가량 더 좋은 성과를 보였습니다.
🎯 향후 전망
최근 약세장이 경기순환적 성격을 갖고 있고, 장기적으로 투자 수익률에 영향을 줄 주요 구조적 변화들이 있습니다.
- 글로벌화 둔화 및 무역 제약 증가
- 장기적으로 증가하는 자본 비용(높아진 장기 금리 수준)
- 정부 지출 증가로 인한 재정 적자 확대
- 기업의 이익률 하락 압력
이러한 변화들은 과거 30년간 주식 시장의 수익률을 끌어올렸던 여러 요소들의 반전(inflection)을 의미하며, 향후 장기적 투자 수익률을 제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결론
이벤트 기반 약세장에서 경기순환적 약세장으로 전환될 수 있는 위험이 있는 시점입니다. 장기적으로 투자자들은 위험조정 수익률을 극대화하기 위해 질적 성장 기업(Quality Growth)과 지속적 배당을 제공하는 가치 기업(Quality Value)에 집중하고, 국제적으로 분산된 투자를 고려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현재의 약세장은 미중 무역관세와 같은 이벤트 기반으로 시작되었지만, 거시경제 지표 악화와 경기침체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경기순환적 약세장으로 전환될 위험이 있습니다.
🎯 약세장 내의 일시적 상승(Bear Market Rally)
약세장 기간 중에도 일시적인 상승(베어마켓 랠리)이 자주 발생합니다. 과거 데이터를 보면 약세장 랠리의 평균 기간은 약 44일이며, 평균적으로 주가가 10~15%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경기민감주(Cyclicals)가 방어주(Defensives) 대비 평균적으로 4% 가량 더 좋은 성과를 보였습니다.
🎯 향후 전망
최근 약세장이 경기순환적 성격을 갖고 있고, 장기적으로 투자 수익률에 영향을 줄 주요 구조적 변화들이 있습니다.
- 글로벌화 둔화 및 무역 제약 증가
- 장기적으로 증가하는 자본 비용(높아진 장기 금리 수준)
- 정부 지출 증가로 인한 재정 적자 확대
- 기업의 이익률 하락 압력
이러한 변화들은 과거 30년간 주식 시장의 수익률을 끌어올렸던 여러 요소들의 반전(inflection)을 의미하며, 향후 장기적 투자 수익률을 제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결론
이벤트 기반 약세장에서 경기순환적 약세장으로 전환될 수 있는 위험이 있는 시점입니다. 장기적으로 투자자들은 위험조정 수익률을 극대화하기 위해 질적 성장 기업(Quality Growth)과 지속적 배당을 제공하는 가치 기업(Quality Value)에 집중하고, 국제적으로 분산된 투자를 고려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09.04.202523:12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로 인해 기업 실적과 소비자 심리가 악화될 것으로 예상.
🗣 클리어노믹스의 린지 벨 :
시장 반응은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 의향이 있다는 안도감에 따른 것이다.
🗣 델타항공의 에드 바스티안 CEO :
전반적인 경제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성장이 크게 정체되고 있다.
🗣 아폴로매니지먼트의 토스텐 슬록 :
이제 관세가 기업 매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나타날 것이다.
🎯 JP모건이 금요일에 대손충당금을 늘릴 것으로 전망됩니다.
🗣 JP모건의 다이먼 CEO :
채무불이행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 클리어노믹스의 린지 벨 :
시장 반응은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 의향이 있다는 안도감에 따른 것이다.
🗣 델타항공의 에드 바스티안 CEO :
전반적인 경제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성장이 크게 정체되고 있다.
🗣 아폴로매니지먼트의 토스텐 슬록 :
이제 관세가 기업 매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나타날 것이다.
🎯 JP모건이 금요일에 대손충당금을 늘릴 것으로 전망됩니다.
🗣 JP모건의 다이먼 CEO :
채무불이행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09.04.202523:11
🎯 골드만삭스는 트럼프의 관세 유예로 경기 침체가 더 이상 기본 시나리오가 아니라고 발표.
🗣 골드만삭스의 얀 하치우스 :
우리는 경기 침체 수준의 관세 인상에서 성장에 매우 부정적인 수준으로 이동했다.
🗣 캐피털이코노믹스의 폴 애시워스 :
트럼프 대통령의 90일 관세 유예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다.
🗣 골드만삭스의 얀 하치우스 :
우리는 경기 침체 수준의 관세 인상에서 성장에 매우 부정적인 수준으로 이동했다.
🗣 캐피털이코노믹스의 폴 애시워스 :
트럼프 대통령의 90일 관세 유예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다.
09.04.202522:59
🎯 상호관세가 발효되면서 미 국채 금리가 급등. 10년물 수익률은 한때 4.5%까지 치솟았고, 30년물과 20년물 수익률은 모두 5% 초과.
🗣 JP모건자산운용의 프리야 미스라 포트폴리오 매니저 :
무역 전쟁, 불확실성, 이제 더 높은 금리라는 세 가지 고통이 경제에 닥치고 있다.
🗣 도이치뱅크 :
미 국채 시장의 혼란이 계속된다면 Fed가 국채를 긴급 매수하여 시장을 안정시키는 것 외에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본다.
🗣 아폴로매니지먼트의 마크 로완 CEO :
팬데믹 때 Fed는 하루 1000억 달러 규모의 국채를 매입했다. 경제를 지탱하는 자본 시장이 근본적으로 흔들리게 된다면 Fed가 개입하여 안정화 조치를 취하는 것도 놀랍지 않을 것.
🗣 JP모건자산운용의 프리야 미스라 포트폴리오 매니저 :
무역 전쟁, 불확실성, 이제 더 높은 금리라는 세 가지 고통이 경제에 닥치고 있다.
🗣 도이치뱅크 :
미 국채 시장의 혼란이 계속된다면 Fed가 국채를 긴급 매수하여 시장을 안정시키는 것 외에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본다.
🗣 아폴로매니지먼트의 마크 로완 CEO :
팬데믹 때 Fed는 하루 1000억 달러 규모의 국채를 매입했다. 경제를 지탱하는 자본 시장이 근본적으로 흔들리게 된다면 Fed가 개입하여 안정화 조치를 취하는 것도 놀랍지 않을 것.
09.04.202522:26
🎯 [중국, 미국 제품에 25% 관세 부과]
중국이 미국의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에 대한 보복으로 아몬드, 오렌지 주스, 가금류, 대두, 철강, 알루미늄, 담배 보트 등 다양한 미국 제품에 25% 관세를 승인했습니다.
중국이 미국의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에 대한 보복으로 아몬드, 오렌지 주스, 가금류, 대두, 철강, 알루미늄, 담배 보트 등 다양한 미국 제품에 25% 관세를 승인했습니다.
09.04.202522:24
🎯 [트럼프 대통령, 관세 90일 연기 발표]
트럼프 대통령이 여러 무역 파트너에 대한 높은 상호 관세를 90일 연기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발표는 자정 이후 수십 개의 무역 파트너에 영향을 미칠 예정이었습니다.
중국은 이에 대응하여 해당 국가에 대한 관세를 125%로 인상했습니다.
🗣 트럼프 대통령 :
우리는 몇몇 국가에 대해 관세를 90일 연기할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여러 무역 파트너에 대한 높은 상호 관세를 90일 연기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발표는 자정 이후 수십 개의 무역 파트너에 영향을 미칠 예정이었습니다.
중국은 이에 대응하여 해당 국가에 대한 관세를 125%로 인상했습니다.
🗣 트럼프 대통령 :
우리는 몇몇 국가에 대해 관세를 90일 연기할 것입니다.
09.04.202514:25
🎯 EU, 미국에 보복관세 단행
4월 15일부터 단계적 발효 (5/16, 12/1 2차례 추가 부과 예정)
🇪🇺 EU 발표 내용
1. 美 철강·알루미늄·자동차 관세에 대한 맞대응
- 미국이 EU산 철강(25%), 알루미늄(10%), 자동차(25%)에 고율 관세 부과한 데 대한 보복
- EU 27개 회원국, 집행위 제안한 보복조치 승인 예정
2. 주요 관세 대상 품목
- 미국산 오토바이, 가금류, 과일, 목재, 의류 등 → 최대 25% 추가 관세
- 대상 수입 규모: 약 210억 유로 (23조 원)
3. 향후 추가 대응 가능성
- 자동차 및 기타 품목에 대한 보복 확대 검토 중
- 유제품·주류는 제외되었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경고로 주류 관련 추가 갈등 가능성 상존
4. 절차적 확정
- 회원국 인구 기준 65% 이상 반대 없을 시 자동 승인
- 대부분 국가들이 이미 강한 지지 표명
🤔 시사점
- 글로벌 무역전쟁 리스크 본격 확산 중
- 미국 vs 중국 → 미국 vs EU까지 전선 확대
- 소비재·산업재 가격 압력↑ → 인플레이션 우려 재점화
- 자동차·기계·명품·음료 등 글로벌 공급망 타격 우려
- 글로벌 자산시장 내 리스크오프 정서 확대 주의 요망
4월 15일부터 단계적 발효 (5/16, 12/1 2차례 추가 부과 예정)
🇪🇺 EU 발표 내용
1. 美 철강·알루미늄·자동차 관세에 대한 맞대응
- 미국이 EU산 철강(25%), 알루미늄(10%), 자동차(25%)에 고율 관세 부과한 데 대한 보복
- EU 27개 회원국, 집행위 제안한 보복조치 승인 예정
2. 주요 관세 대상 품목
- 미국산 오토바이, 가금류, 과일, 목재, 의류 등 → 최대 25% 추가 관세
- 대상 수입 규모: 약 210억 유로 (23조 원)
3. 향후 추가 대응 가능성
- 자동차 및 기타 품목에 대한 보복 확대 검토 중
- 유제품·주류는 제외되었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경고로 주류 관련 추가 갈등 가능성 상존
4. 절차적 확정
- 회원국 인구 기준 65% 이상 반대 없을 시 자동 승인
- 대부분 국가들이 이미 강한 지지 표명
🤔 시사점
- 글로벌 무역전쟁 리스크 본격 확산 중
- 미국 vs 중국 → 미국 vs EU까지 전선 확대
- 소비재·산업재 가격 압력↑ → 인플레이션 우려 재점화
- 자동차·기계·명품·음료 등 글로벌 공급망 타격 우려
- 글로벌 자산시장 내 리스크오프 정서 확대 주의 요망
09.04.202513:38
🎯 미국 재무장관, 채권시장 디레버리징 언급 및 지나국 환율 조작 경고
🗣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현재 시장은 디레버리징 중이다. 특히 레버리지가 과도했던 투자자들이 손실을 보고 있는 중이다. 이번 국채 매도는 시스템 리스크는 아니며, 정상적인 디레버리징 현상으로 본다. 과거 헤지펀드 시절에도 이런 현상을 많이 봤다. 지나국이 위안화를 절하하면 전 세계에 세금을 부과하는 행위와 같다. 다른 국가는 이를 상쇄하기 위해 관세를 인상할 수 밖에 없을 것이며, 지나국은 환율 조작 대신 협상 테이블에 나와야 한다.
🎯 미국의 지나국 대상 금융 제재 가능성
🗣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미 증권거래소에서 지나국 주식 전면 퇴출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다. 모든 옵션이 테이블 위에 있다. 지나국은 국제무역 시스템 내에서 가장 악질적인 범죄자이다.
🎯 지나국, 전면적 보복관세 단행
🗣 지나국 국무원
미국산 수입품 대상 관세율 84%로 인상하며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지나국산 제품에 총 104% 관세 부과한 데 대한 맞불 조치이다. 미국의 조치는 지나국의 정당한 권익 침해이며, 다자무역 질서에 대한 훼손이며, 지나국은 무역전쟁을 원하진 않지만, 결코 수세에 머물지 않겠다. 모든 수단을 동원해 단호히 대응할 것이다. 지나국은 일방적으로 무역흑자를 추구하지 않는다. 양국 간 무역은 장기적 균형구조. 최근 미국의 일방주의·보호주의가 교란 초래한 것이다. 미국이 계속 압박할 경우, 계속해서 대응 조치 나설 것이다.
🗣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현재 시장은 디레버리징 중이다. 특히 레버리지가 과도했던 투자자들이 손실을 보고 있는 중이다. 이번 국채 매도는 시스템 리스크는 아니며, 정상적인 디레버리징 현상으로 본다. 과거 헤지펀드 시절에도 이런 현상을 많이 봤다. 지나국이 위안화를 절하하면 전 세계에 세금을 부과하는 행위와 같다. 다른 국가는 이를 상쇄하기 위해 관세를 인상할 수 밖에 없을 것이며, 지나국은 환율 조작 대신 협상 테이블에 나와야 한다.
🎯 미국의 지나국 대상 금융 제재 가능성
🗣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미 증권거래소에서 지나국 주식 전면 퇴출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다. 모든 옵션이 테이블 위에 있다. 지나국은 국제무역 시스템 내에서 가장 악질적인 범죄자이다.
🎯 지나국, 전면적 보복관세 단행
🗣 지나국 국무원
미국산 수입품 대상 관세율 84%로 인상하며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지나국산 제품에 총 104% 관세 부과한 데 대한 맞불 조치이다. 미국의 조치는 지나국의 정당한 권익 침해이며, 다자무역 질서에 대한 훼손이며, 지나국은 무역전쟁을 원하진 않지만, 결코 수세에 머물지 않겠다. 모든 수단을 동원해 단호히 대응할 것이다. 지나국은 일방적으로 무역흑자를 추구하지 않는다. 양국 간 무역은 장기적 균형구조. 최근 미국의 일방주의·보호주의가 교란 초래한 것이다. 미국이 계속 압박할 경우, 계속해서 대응 조치 나설 것이다.
09.04.202510:11
🇯🇵 일본은행(BOJ) 우에다 총재 연설
🎯 일본 경제·물가 현황 및 금융정책 방향
- 일본 경제는 일부 부진한 모습은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완만한 회복세를 지속 중.
- 현재 물가 상승률은 비용 상승 요인을 제외하면 아직 2% 미만이나, 임금 상승 지속에 따라 점차 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음.
- 최근 세계 주요국의 통상정책 변화(특히 미국 관세정책 등)로 인해 경제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에 주의 필요.
🎯 금융정책 운영 방침
- 향후 일본의 경기 개선과 기존 전망 실현이 계속된다면, 이에 맞추어 정책금리 인상 및 금융완화 정도의 조정이 필요.
- 매번 금융정책 결정 회의에서 편견 없이 국내외 경제·금융시장 상황을 꼼꼼히 점검하며 신중히 결정할 예정.
🎯 신탁업계에 대한 기대
- 일본의 저출산·고령화 가속화로 신탁 서비스의 역할 확대가 예상됨.
- 가계 부문에서는 젊은 세대부터의 자산 형성, 자산의 원활한 세대 이전 및 치매 대비 자산관리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
- 기업 부문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사업승계 지원 역할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
- 작년 개정된 공익신탁법을 통해 교육·복지 등 사회공익 분야에서도 민간의 역할 확대 전망.
[ 시사점 ]
🎯 BOJ가 일본 경제의 완만한 회복세와 물가상승 압력을 인지하고 향후 정책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함.
🎯 일본의 금리 정상화 움직임은 글로벌 자금 흐름 변화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미 국채에 대한 일본계 투자자의 수요 감소를 불러와 미 국채금리에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 존재.
🎯 일본 경제·물가 현황 및 금융정책 방향
- 일본 경제는 일부 부진한 모습은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완만한 회복세를 지속 중.
- 현재 물가 상승률은 비용 상승 요인을 제외하면 아직 2% 미만이나, 임금 상승 지속에 따라 점차 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음.
- 최근 세계 주요국의 통상정책 변화(특히 미국 관세정책 등)로 인해 경제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에 주의 필요.
🎯 금융정책 운영 방침
- 향후 일본의 경기 개선과 기존 전망 실현이 계속된다면, 이에 맞추어 정책금리 인상 및 금융완화 정도의 조정이 필요.
- 매번 금융정책 결정 회의에서 편견 없이 국내외 경제·금융시장 상황을 꼼꼼히 점검하며 신중히 결정할 예정.
🎯 신탁업계에 대한 기대
- 일본의 저출산·고령화 가속화로 신탁 서비스의 역할 확대가 예상됨.
- 가계 부문에서는 젊은 세대부터의 자산 형성, 자산의 원활한 세대 이전 및 치매 대비 자산관리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
- 기업 부문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사업승계 지원 역할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
- 작년 개정된 공익신탁법을 통해 교육·복지 등 사회공익 분야에서도 민간의 역할 확대 전망.
[ 시사점 ]
🎯 BOJ가 일본 경제의 완만한 회복세와 물가상승 압력을 인지하고 향후 정책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함.
🎯 일본의 금리 정상화 움직임은 글로벌 자금 흐름 변화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미 국채에 대한 일본계 투자자의 수요 감소를 불러와 미 국채금리에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 존재.
09.04.202504:02
🎯 주요 지수 모두 상대강도지수(RSI)가 25 아래로 떨어짐. RSI 30 아래는 과매도로 간주되며 많은 투자자가 주식에 대한 좋은 진입점으로 생각.
🗣 찰스슈왑 :
문제는 이 시점에서 '위험자산 반등'이 장기적으로 이어질 것이란 확신이 없다는 것.
🗣 바이탈날리지의 애덤 크리사펄리 설립자 :
반등 대부분은 기술적이었다. 지난 며칠 동안의 폭력적 하락 속도는 매일 지속 가능하지 않으며, 그 과정에서 반등은 생기기 마련.
🗣 펀드스트랫의 리 설립자 :
많은 기업이 2018년 중국에서 벗어나야 할 필요성 때문에 공급망을 옮겼으나, 상호관세 때문에 다시 수조 달러의 돈을 써야 할 상황. 백악관의 메시지가 '협상 없음'에서 '협상을 위한 최대 레버리지를 확보했다'로 바뀌었으나, 시장이 신뢰를 회복하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
🎯 블랙록은 향후 3개월 동안 미국 주식에 대한 투자등급을 '중립'으로 낮춤. 현재 매우 높은 불확실성 속에서 투자자들이 매수를 주저하고 있음.
🗣 블랙록의 웨이 리 글로벌 전략가 :
일반적으로 20% 시장 하락은 투자자들이 매수를 위해 전면적으로 뛰어들 때이지만, 이번에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 지금 보고 있는 것은 매우 높은 불확실성. 움직이는 부분이 많고 아주 가까운 시기를 넘어서는 명확성을 갖는 것은 불가능.
🗣 찰스슈왑 :
문제는 이 시점에서 '위험자산 반등'이 장기적으로 이어질 것이란 확신이 없다는 것.
🗣 바이탈날리지의 애덤 크리사펄리 설립자 :
반등 대부분은 기술적이었다. 지난 며칠 동안의 폭력적 하락 속도는 매일 지속 가능하지 않으며, 그 과정에서 반등은 생기기 마련.
🗣 펀드스트랫의 리 설립자 :
많은 기업이 2018년 중국에서 벗어나야 할 필요성 때문에 공급망을 옮겼으나, 상호관세 때문에 다시 수조 달러의 돈을 써야 할 상황. 백악관의 메시지가 '협상 없음'에서 '협상을 위한 최대 레버리지를 확보했다'로 바뀌었으나, 시장이 신뢰를 회복하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
🎯 블랙록은 향후 3개월 동안 미국 주식에 대한 투자등급을 '중립'으로 낮춤. 현재 매우 높은 불확실성 속에서 투자자들이 매수를 주저하고 있음.
🗣 블랙록의 웨이 리 글로벌 전략가 :
일반적으로 20% 시장 하락은 투자자들이 매수를 위해 전면적으로 뛰어들 때이지만, 이번에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 지금 보고 있는 것은 매우 높은 불확실성. 움직이는 부분이 많고 아주 가까운 시기를 넘어서는 명확성을 갖는 것은 불가능.
08.04.202505:15
[무역협상]
🎯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과의 무역 협상을 즉시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EU와 베트남 등은 협상을 통해 관세를 낮추려는 움직임을 보임.
🗣 트럼프 대통령 :
내일까지 34% 보복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9일부터 중국에 추가 50%를 매기겠다. (관세 관련) 회의를 요청한 다른 국가와의 협상은 즉시 시작될 것이다. 많은 나라가 우리와 협상하기 위해 오고 있다. 우리는 엄청난 진전을 이루고 있다. 그것은 공정한 계약이 될 것이며 많은 경우 그들은 상당한 관세를 낼 것이다. 관세는 영구적일 수 있으며 그것은 협상이 될 수도 있다.
🗣 케빈 해셋 국가경제위원장 :
관세에 대해 몇몇 국가가 좋은 거래를 하고 있다. 트럼프는 다른 나라가 정말 좋은 거래를 제안하면 경청하고 거래가 충분히 좋은지 결정할 것이다. (애커먼의) 핵겨울이 올 것이라는 생각은 완전히 무책임한 발언이다.
🗣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 :
일본과 무역 협상을 시작할 것이다.
🗣 EU :
자동차를 포함한 모든 공산품에 대한 상호 무관세(zero-for-zero tariffs)를 미국에 제안했다. 이번 주 확정 예정인 철강 관세 보복 계획도 애초보다 축소하기로 했다.
🗣 트럼프 대통령 :
베트남의 토람 공산당 서기장과 매우 생산적인 통화를 나누었다. 그는 미국과 합의할 수 있다면 관세를 0%로 낮추고 싶다고 했다.
🗣 파이퍼샌들러 :
베트남의 관세율이 낮아질지 주목하라. 그게 트럼프가 협상을 통해 관세를 낮출 의향이 있음을 나타내는 시금석이 될 것이다.
🗣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 고문 :
베트남이 관세를 0으로 인하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진짜 초점은 비관세 장벽에 맞춰져 있다.
🗣 베트남 정부 :
비관세 장벽에 대한 미국 우려에 대응하겠다.
🎯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과의 무역 협상을 즉시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EU와 베트남 등은 협상을 통해 관세를 낮추려는 움직임을 보임.
🗣 트럼프 대통령 :
내일까지 34% 보복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9일부터 중국에 추가 50%를 매기겠다. (관세 관련) 회의를 요청한 다른 국가와의 협상은 즉시 시작될 것이다. 많은 나라가 우리와 협상하기 위해 오고 있다. 우리는 엄청난 진전을 이루고 있다. 그것은 공정한 계약이 될 것이며 많은 경우 그들은 상당한 관세를 낼 것이다. 관세는 영구적일 수 있으며 그것은 협상이 될 수도 있다.
🗣 케빈 해셋 국가경제위원장 :
관세에 대해 몇몇 국가가 좋은 거래를 하고 있다. 트럼프는 다른 나라가 정말 좋은 거래를 제안하면 경청하고 거래가 충분히 좋은지 결정할 것이다. (애커먼의) 핵겨울이 올 것이라는 생각은 완전히 무책임한 발언이다.
🗣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 :
일본과 무역 협상을 시작할 것이다.
🗣 EU :
자동차를 포함한 모든 공산품에 대한 상호 무관세(zero-for-zero tariffs)를 미국에 제안했다. 이번 주 확정 예정인 철강 관세 보복 계획도 애초보다 축소하기로 했다.
🗣 트럼프 대통령 :
베트남의 토람 공산당 서기장과 매우 생산적인 통화를 나누었다. 그는 미국과 합의할 수 있다면 관세를 0%로 낮추고 싶다고 했다.
🗣 파이퍼샌들러 :
베트남의 관세율이 낮아질지 주목하라. 그게 트럼프가 협상을 통해 관세를 낮출 의향이 있음을 나타내는 시금석이 될 것이다.
🗣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 고문 :
베트남이 관세를 0으로 인하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진짜 초점은 비관세 장벽에 맞춰져 있다.
🗣 베트남 정부 :
비관세 장벽에 대한 미국 우려에 대응하겠다.
Рэкорды
11.04.202523:59
1.2KПадпісчыкаў11.09.202423:59
0Індэкс цытавання03.04.202523:59
4.5KАхоп 1 паста26.01.202502:59
411Ахоп рэкламнага паста28.09.202423:59
8.33%ER03.04.202523:59
387.27%ERRРазвіццё
Падпісчыкаў
Індэкс цытавання
Ахоп 1 паста
Ахоп рэкламнага паста
ER
ERR
Увайдзіце, каб разблакаваць больш функцы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