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ераслаў з: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30.04.202510:07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아모레퍼시픽(090430.KS/매수):
1Q25 Review: 백점 만점의 백점
■ 1Q25 Review: 백점 만점의 백점
아모레퍼시픽의 1분기 실적은 연결 매출 1조 675억원(YoY+17%), 영업이익 1.2천억원(YoY+62%, 영업이익률 11%)를 시현, 컨센서스(995억원)을 18% 상회했다. 국내 호실적에 기반한 PS/인센티브 충당금 250억원*이 반영된 실적으로 이익 체력이 상당히 상승했다. 상회 요인은 선택과 집중의 일환으로, 자체 브랜드 호조로 ①북미/EMEA 지역의 높은 수익성, ②국내 성장 채널 집중에 따른 내수 수익성 상승과 ③중국 흑자 전환으로 인한 해외 이익 체력 개선 등으로 전사 수익성이 11%에 안착한 점이다. 특히 핵심 브랜드의 글로벌 확장이 본격화되면서 국내 생산기지의 가동률이 상승하였고, 이에 따라 매출총이익률은 15개 분기 만에 72%에 도달했다. 중국의 흑자 전환 또한 주목할 만하다. 고정비 축소와 선택적 비용 집행에 기반해 일회성 비용(약 20억원) 반영되었음에도 50억원에 육박하는 이익을 기록했다. ‘국내 성장 채널로의 점유율 확대 + 전방위적인 글로벌 확장 + 중국 체질 개선’ 등 백점 만점의 실적이었다. COSRX 실적은 매출 996억원, 영업이익 279억원 추산하며, COSRX 제외 본업의 실적은 매출 6% 성장, 영업이익 24% 성장한 것으로 파악된다. 영업 외적으로는 구딸 상표권 매각 무형자산 처분이익이 반영되며, 지배주주순이익은 1.1천억원(YoY+41%)을 기록했다.
■ 국내 +2%, 해외 +40% 성장 달성
▶국내는 매출 5.7천억원(YoY+2%), 영업이익 494억원(YoY+1%, 이익률 9%) 기록했다. 면세는 감소했으나, MBS/이커머스 등이 성장, 손익이 개선되었다(충당금 250억원 반영). 채널별 매출 성장률(% YoY)은 MBS +20% 이상/순수 이커머스 +10% 이상/백화점 하이싱글 성장/면세 -21% 기록했다.
▶해외는 매출 4.7천억원(YoY+40%), 영업이익 696억원(YoY+120%, 이익률 15%) 달성했다. 북미/EMEA의 호실적과 중국의 흑자전환으로 해외 이익이 전체 이익의 59% 도달, 체력 상승이 주목된다. [북미]는 매출 1.6천억원(YoY+79%), 영업이익은 434억원(YoY+77%, 이익률 28%) 추산한다. COSRX 제외하더라도 30% 고성장했다. 라네즈의 신제품 효과가 폭발적인 가운데, 에스트라의 세포라 입점 효과도 더해졌다. 마케팅 비용이 확대되었음에도 매출 확대에 기인 높은 이익률 달성했다.
[유럽]은 매출 553억원(YoY+220%), 영업이익은 148억원(YoY+227%, 이익률 27%) 시현했다. 라네즈가 80% 이상 성장한 가운데, 본업이 70% 이상 성장했다.
[중국]은 매출 18% 감소하나, 효율적 비용 집행 등에 기인 흑자전환(YoY+125억원) 달성했다.
■ 2025년: 전방위적인 글로벌 확장 본격화
아모레퍼시픽은 ‘중국 부담 축소 + 글로벌 확장 가속화’ 등으로 2025년 이익 모멘텀 본격화 기대한다. 중국의 체질 개선과 전방위적인 글로벌 확장(2025년은 미국/EMEA/일본 중심, 이후 인도/중동으로 확장)이 본격화 되면서 2025년에는 해외 이익 중심의 뚜렷한 증익 사이클이 전개될 전망이다. 2025년은 처음으로 해외 이익이 처음으로 국내 이익을 상회하는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아모레퍼시픽의 2025년 실적은 연결 매출 4.4조원(YoY+13%), 영업이익 4.3천억원(YoY+95%) 전망하며,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0만원으로 상향한다.
전문: https://vo.la/efZjMF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텔레그램 채널
https://bit.ly/3iuQwik
아모레퍼시픽(090430.KS/매수):
1Q25 Review: 백점 만점의 백점
■ 1Q25 Review: 백점 만점의 백점
아모레퍼시픽의 1분기 실적은 연결 매출 1조 675억원(YoY+17%), 영업이익 1.2천억원(YoY+62%, 영업이익률 11%)를 시현, 컨센서스(995억원)을 18% 상회했다. 국내 호실적에 기반한 PS/인센티브 충당금 250억원*이 반영된 실적으로 이익 체력이 상당히 상승했다. 상회 요인은 선택과 집중의 일환으로, 자체 브랜드 호조로 ①북미/EMEA 지역의 높은 수익성, ②국내 성장 채널 집중에 따른 내수 수익성 상승과 ③중국 흑자 전환으로 인한 해외 이익 체력 개선 등으로 전사 수익성이 11%에 안착한 점이다. 특히 핵심 브랜드의 글로벌 확장이 본격화되면서 국내 생산기지의 가동률이 상승하였고, 이에 따라 매출총이익률은 15개 분기 만에 72%에 도달했다. 중국의 흑자 전환 또한 주목할 만하다. 고정비 축소와 선택적 비용 집행에 기반해 일회성 비용(약 20억원) 반영되었음에도 50억원에 육박하는 이익을 기록했다. ‘국내 성장 채널로의 점유율 확대 + 전방위적인 글로벌 확장 + 중국 체질 개선’ 등 백점 만점의 실적이었다. COSRX 실적은 매출 996억원, 영업이익 279억원 추산하며, COSRX 제외 본업의 실적은 매출 6% 성장, 영업이익 24% 성장한 것으로 파악된다. 영업 외적으로는 구딸 상표권 매각 무형자산 처분이익이 반영되며, 지배주주순이익은 1.1천억원(YoY+41%)을 기록했다.
■ 국내 +2%, 해외 +40% 성장 달성
▶국내는 매출 5.7천억원(YoY+2%), 영업이익 494억원(YoY+1%, 이익률 9%) 기록했다. 면세는 감소했으나, MBS/이커머스 등이 성장, 손익이 개선되었다(충당금 250억원 반영). 채널별 매출 성장률(% YoY)은 MBS +20% 이상/순수 이커머스 +10% 이상/백화점 하이싱글 성장/면세 -21% 기록했다.
▶해외는 매출 4.7천억원(YoY+40%), 영업이익 696억원(YoY+120%, 이익률 15%) 달성했다. 북미/EMEA의 호실적과 중국의 흑자전환으로 해외 이익이 전체 이익의 59% 도달, 체력 상승이 주목된다. [북미]는 매출 1.6천억원(YoY+79%), 영업이익은 434억원(YoY+77%, 이익률 28%) 추산한다. COSRX 제외하더라도 30% 고성장했다. 라네즈의 신제품 효과가 폭발적인 가운데, 에스트라의 세포라 입점 효과도 더해졌다. 마케팅 비용이 확대되었음에도 매출 확대에 기인 높은 이익률 달성했다.
[유럽]은 매출 553억원(YoY+220%), 영업이익은 148억원(YoY+227%, 이익률 27%) 시현했다. 라네즈가 80% 이상 성장한 가운데, 본업이 70% 이상 성장했다.
[중국]은 매출 18% 감소하나, 효율적 비용 집행 등에 기인 흑자전환(YoY+125억원) 달성했다.
■ 2025년: 전방위적인 글로벌 확장 본격화
아모레퍼시픽은 ‘중국 부담 축소 + 글로벌 확장 가속화’ 등으로 2025년 이익 모멘텀 본격화 기대한다. 중국의 체질 개선과 전방위적인 글로벌 확장(2025년은 미국/EMEA/일본 중심, 이후 인도/중동으로 확장)이 본격화 되면서 2025년에는 해외 이익 중심의 뚜렷한 증익 사이클이 전개될 전망이다. 2025년은 처음으로 해외 이익이 처음으로 국내 이익을 상회하는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아모레퍼시픽의 2025년 실적은 연결 매출 4.4조원(YoY+13%), 영업이익 4.3천억원(YoY+95%) 전망하며,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0만원으로 상향한다.
전문: https://vo.la/efZjMF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텔레그램 채널
https://bit.ly/3iuQwik
Пераслаў з:
AWAKE 플러스

29.04.202507:28
📌 에스티팜(시가총액: 1조 5,921억)
📁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2025.04.29 14:04:14 (현재가 : 79,000원, 0%)
매출액 : 524억(예상치 : 608억/ -14%)
영업익 : 10억(예상치 : 40억/ -75%)
순이익 : 10억(예상치 : 26억/ -62%)
**최근 실적 추이**
매출/영업익/순익/예상대비 OP
2025.1Q 524억/ 10억/ 10억/ -75%
2024.4Q 1,157억/ 228억/ 124억/ +11%
2024.3Q 617억/ 61억/ 137억/ +15%
2024.2Q 446억/ -31억/ 9억/ -220%
2024.1Q 517억/ 19억/ 54억/ -52%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90033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37690
📁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2025.04.29 14:04:14 (현재가 : 79,000원, 0%)
매출액 : 524억(예상치 : 608억/ -14%)
영업익 : 10억(예상치 : 40억/ -75%)
순이익 : 10억(예상치 : 26억/ -62%)
**최근 실적 추이**
매출/영업익/순익/예상대비 OP
2025.1Q 524억/ 10억/ 10억/ -75%
2024.4Q 1,157억/ 228억/ 124억/ +11%
2024.3Q 617억/ 61억/ 137억/ +15%
2024.2Q 446억/ -31억/ 9억/ -220%
2024.1Q 517억/ 19억/ 54억/ -52%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90033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37690
Пераслаў з: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9.04.202501:00
2025.04.29 09:56:15
기업명: 아이센스(시가총액: 4,334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763억(예상치 : -)
영업익 : 32억(예상치 : -)
순이익 : 25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5.1Q 763억/ 32억/ 25억
2024.4Q 813억/ -39억/ -23억
2024.3Q 715억/ 38억/ 7억
2024.2Q 699억/ 20억/ 0억
2024.1Q 684억/ 8억/ -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90015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99190
기업명: 아이센스(시가총액: 4,334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763억(예상치 : -)
영업익 : 32억(예상치 : -)
순이익 : 25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5.1Q 763억/ 32억/ 25억
2024.4Q 813억/ -39억/ -23억
2024.3Q 715억/ 38억/ 7억
2024.2Q 699억/ 20억/ 0억
2024.1Q 684억/ 8억/ -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90015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99190
28.04.202509:24
https://m.blog.naver.com/james_lee_advisors/223848931943
실리콘투 BM의 강점, 약점을 깔끔하게 정리해주셨네요 ㅎㅎ
K-뷰티 홧팅!!
실리콘투 BM의 강점, 약점을 깔끔하게 정리해주셨네요 ㅎㅎ
K-뷰티 홧팅!!
Пераслаў з:
신한투자증권 제약/바이오 엄민용

24.04.202513:56
할로자임과 머크의 PGR(특허무효심판청구)이 진행 여부가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소송이 제기되었습니다.
중요한 것은 할로자임은 머크 키트루다SC에 소송을 걸게 아니라 알테오젠 ALT-B4 자체에 특허 침해 소송을 하면 그만입니다. 직접 부딛히지 않고 한 발 뒤로 빼고 있는 이유가 있겠죠.
Enhanze특허는 알테오젠과 소송해봤자 100% 질 것이 뻔하기 때문입니다. 본인들 원천특허인 Enhanze특허침해가 아니라 MDASE를 침해했다고 하는 것도 웃긴 일입니다.
할로자임은 주주들의 요청에 의해 어쩔수없이 최종 발악 중이라고 보입니다. 이미 머크, 다이이찌산쿄 그리고 지난달 아스트라제네카 신규 계약으로 특허 이슈가 없다는 것이 증명된 상태입니다.
None of the MDASE patent rights which Halozyme is seeking to enforce in this suit relate to the Company's ENHANZE® licensing program. The MDASE patents are not licensed to any of Halozyme's licensees. Therefore, the outcome of this dispute will not impact ENHANZE®, the ability of any licensee to use ENHANZE®, or revenues Halozyme receives from ENHANZE® licensees.
MDASE로는 실질적 발명이 존재하지 않아 침해 자체도 불가능합니다. 위 문장을 보면 할로자임 스스로가 Enhanze 특허로 개발한 SC제품들과 MDASE 특허는 전혀 무관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말인즉슨 MdASE로는 제품 개발 이력이 없고 Enhanze의 후속특허도 아니란 뜻이고… 결국 뭔가 만들어본 적이 없으므로 ‘실질적’ 발명으로 인정되지 못한단 뜻입니다.
MDASE는 페이퍼로만 존재하는 특허라는 것을 스스로 고백하는 모순을 일으키고 있죠.
최근 할로자임은 PGR 중인 MDASE 특허의 activity(활성도)와 관련해 disclaim(청구항 삭제)를 해 스스로 계속 특허 범위를 ‘축소’시키고 있습니다.
특허가 억지였음을 스스로 인정 중입니다. 그에따라 주가 또한 지속 하락 중입니다.
참고 부탁 드립니다.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halozyme-sues-merck-for-patent-infringement-over-subcutaneous-keytruda-formulation-302437331.html
중요한 것은 할로자임은 머크 키트루다SC에 소송을 걸게 아니라 알테오젠 ALT-B4 자체에 특허 침해 소송을 하면 그만입니다. 직접 부딛히지 않고 한 발 뒤로 빼고 있는 이유가 있겠죠.
Enhanze특허는 알테오젠과 소송해봤자 100% 질 것이 뻔하기 때문입니다. 본인들 원천특허인 Enhanze특허침해가 아니라 MDASE를 침해했다고 하는 것도 웃긴 일입니다.
할로자임은 주주들의 요청에 의해 어쩔수없이 최종 발악 중이라고 보입니다. 이미 머크, 다이이찌산쿄 그리고 지난달 아스트라제네카 신규 계약으로 특허 이슈가 없다는 것이 증명된 상태입니다.
None of the MDASE patent rights which Halozyme is seeking to enforce in this suit relate to the Company's ENHANZE® licensing program. The MDASE patents are not licensed to any of Halozyme's licensees. Therefore, the outcome of this dispute will not impact ENHANZE®, the ability of any licensee to use ENHANZE®, or revenues Halozyme receives from ENHANZE® licensees.
MDASE로는 실질적 발명이 존재하지 않아 침해 자체도 불가능합니다. 위 문장을 보면 할로자임 스스로가 Enhanze 특허로 개발한 SC제품들과 MDASE 특허는 전혀 무관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말인즉슨 MdASE로는 제품 개발 이력이 없고 Enhanze의 후속특허도 아니란 뜻이고… 결국 뭔가 만들어본 적이 없으므로 ‘실질적’ 발명으로 인정되지 못한단 뜻입니다.
MDASE는 페이퍼로만 존재하는 특허라는 것을 스스로 고백하는 모순을 일으키고 있죠.
최근 할로자임은 PGR 중인 MDASE 특허의 activity(활성도)와 관련해 disclaim(청구항 삭제)를 해 스스로 계속 특허 범위를 ‘축소’시키고 있습니다.
특허가 억지였음을 스스로 인정 중입니다. 그에따라 주가 또한 지속 하락 중입니다.
참고 부탁 드립니다.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halozyme-sues-merck-for-patent-infringement-over-subcutaneous-keytruda-formulation-302437331.html
Пераслаў з:
AWAKE 플러스

23.04.202507:05
📌 삼성바이오로직스(시가총액: 75조 8,715억)
📁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2025.04.23 15:36:57 (현재가 : 1,066,000원, 0%)
매출액 : 12,983억(예상치 : 12,108억+/ 7%)
영업익 : 4,867억(예상치 : 3,550억/ +37%)
순이익 : 3,756억(예상치 : 2,843억+/ 32%)
**최근 실적 추이**
매출/영업익/순익/예상대비 OP
2025.1Q 12,983억/ 4,867억/ 3,756억/ +37%
2024.4Q 12,564억/ 3,257억/ 3,215억/ +13%
2024.3Q 11,871억/ 3,386억/ 2,645억/ +11%
2024.2Q 11,569억/ 4,345억/ 3,180억/ +42%
2024.1Q 9,469억/ 2,213억/ 1,794억/ 0%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3800326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07940
📁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2025.04.23 15:36:57 (현재가 : 1,066,000원, 0%)
매출액 : 12,983억(예상치 : 12,108억+/ 7%)
영업익 : 4,867억(예상치 : 3,550억/ +37%)
순이익 : 3,756억(예상치 : 2,843억+/ 32%)
**최근 실적 추이**
매출/영업익/순익/예상대비 OP
2025.1Q 12,983억/ 4,867억/ 3,756억/ +37%
2024.4Q 12,564억/ 3,257억/ 3,215억/ +13%
2024.3Q 11,871억/ 3,386억/ 2,645억/ +11%
2024.2Q 11,569억/ 4,345억/ 3,180억/ +42%
2024.1Q 9,469억/ 2,213억/ 1,794억/ 0%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3800326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07940
30.04.202501:05
✅ [단독] 한한령 사실상 전면 해제…中서 9월 '5만명' 규모 K팝 공연 열린다
https://m.newspim.com//news/view/20250430000195
https://m.newspim.com//news/view/20250430000195
29.04.202503:03
[파마리서치] 결국 정해진 미래는 온다.
[출처] [파마리서치] 결국 정해진 미래는 온다.|작성자 라이언K
https://blog.naver.com/ryankim1106/223849773491
[출처] [파마리서치] 결국 정해진 미래는 온다.|작성자 라이언K
https://blog.naver.com/ryankim1106/223849773491


28.04.202523:32
우기가 웨이보 기준 KPOP 아티스트 중에는 천만명이 넘는 가장 많은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Пераслаў з: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8.04.202504:57
2025.04.28 13:46:59
기업명: 한화오션(시가총액: 27조 7,611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31,431억(예상치 : 30,720억+/ 2%)
영업익 : 2,586억(예상치 : 1,588억/ +63%)
순이익 : 2,157억(예상치 : 1,144억+/ 89%)
**최근 실적 추이**
2025.1Q 31,431억/ 2,586억/ 2,157억
2024.4Q 32,532억/ 1,690억/ 5,794억
2024.3Q 27,031억/ 256억/ -748억
2024.2Q 25,361억/ -97억/ -274억
2024.1Q 22,836억/ 529억/ 510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880025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42660
기업명: 한화오션(시가총액: 27조 7,611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31,431억(예상치 : 30,720억+/ 2%)
영업익 : 2,586억(예상치 : 1,588억/ +63%)
순이익 : 2,157억(예상치 : 1,144억+/ 89%)
**최근 실적 추이**
2025.1Q 31,431억/ 2,586억/ 2,157억
2024.4Q 32,532억/ 1,690억/ 5,794억
2024.3Q 27,031억/ 256억/ -748억
2024.2Q 25,361억/ -97억/ -274억
2024.1Q 22,836억/ 529억/ 510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880025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42660


24.04.202512:01
4월 23일 현대차증권
Пераслаў з:
投資, 아레테



23.04.202502:06
#실적
실적 시즌 이제 막 시작했지만 특이적으로 기록할 만한 종목 첫 스타트가 모두 반도체 소부장입니다.
중국향 소부장 업체 전반적으로 숫자가 올라오는지, 기존에 안보던 종목들 숫자가 얼마나 올라올지 관심이 가긴합니다.
실적 시즌 이제 막 시작했지만 특이적으로 기록할 만한 종목 첫 스타트가 모두 반도체 소부장입니다.
중국향 소부장 업체 전반적으로 숫자가 올라오는지, 기존에 안보던 종목들 숫자가 얼마나 올라올지 관심이 가긴합니다.
30.04.202500:50
끌올
29.04.202502:46
https://blog.naver.com/forsword/223849557617
아모레 1분기 영업손실 50억(기존 100억 예상 )
로레알 중국사업 전년 수준 회복
인디 브랜드 업체는 중국에 250만개 일시 납품
아모레 1분기 영업손실 50억(기존 100억 예상 )
로레알 중국사업 전년 수준 회복
인디 브랜드 업체는 중국에 250만개 일시 납품
Пераслаў з:
신한투자증권 제약/바이오 엄민용

28.04.202523:05
화이자의 PD-1 억제제 피하주사 제형 사산리맙, 표준치료와 병용시 질병 위험 32% 감소 입증했으나 주요 2차 평가지표에선 실패
알테오젠 할로자임 없이는 화이자도 쉽지않은 피하주사 개발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pfizer-ties-pd-1-drug-32-bladder-cancer-risk-reduction-phase-3-misses-secondaries
알테오젠 할로자임 없이는 화이자도 쉽지않은 피하주사 개발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pfizer-ties-pd-1-drug-32-bladder-cancer-risk-reduction-phase-3-misses-secondaries
Пераслаў з:
허혜민의 제약/바이오 소식통

28.04.202501:37
[안내] 에스티팜이 원료를 공급 중인 미국 바이오텍 사 임상3상 성공
에스티팜이 small molecule (저분자 화학 합성) 신약 원료의약품을 공급 중인 미국 바이오텍 사가 긍정적인 임상3상 탑라인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로써 에스티팜은 올리고 뿐만 아니라 저분자 화학합성 신약 분야까지 글로벌 수준의 cGMP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을 다시 한번 입증하게 되었습니다.
에스티팜이 신약허가 승인에 필요한 PPQ 배치 생산을 이미 완료하였기에 미국 바이오텍 사는 신속하게 올해 내 미국 FDA에 신약허가를 신청할 예정입니다.
위장관질환 등을 적응증으로 하는 해당 신약의 미국 시장규모는 30억달러 (약 4조원) 이상으로 추정되며 상업화 후 해당 신약의 미국 내 매출은 2030년 7억달러 (약 1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https://www.stpharm.co.kr/ko/pr/st-pharm-news/%ec%95%88%eb%82%b4-%ec%97%90%ec%8a%a4%ed%8b%b0%ed%8c%9c%ec%9d%b4-%ec%9b%90%eb%a3%8c%eb%a5%bc-%ea%b3%b5%ea%b8%89-%ec%a4%91%ec%9d%b8-%eb%af%b8%ea%b5%ad-%eb%b0%94%ec%9d%b4%ec%98%a4%ed%85%8d-%ec%82%ac
에스티팜이 small molecule (저분자 화학 합성) 신약 원료의약품을 공급 중인 미국 바이오텍 사가 긍정적인 임상3상 탑라인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로써 에스티팜은 올리고 뿐만 아니라 저분자 화학합성 신약 분야까지 글로벌 수준의 cGMP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을 다시 한번 입증하게 되었습니다.
에스티팜이 신약허가 승인에 필요한 PPQ 배치 생산을 이미 완료하였기에 미국 바이오텍 사는 신속하게 올해 내 미국 FDA에 신약허가를 신청할 예정입니다.
위장관질환 등을 적응증으로 하는 해당 신약의 미국 시장규모는 30억달러 (약 4조원) 이상으로 추정되며 상업화 후 해당 신약의 미국 내 매출은 2030년 7억달러 (약 1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https://www.stpharm.co.kr/ko/pr/st-pharm-news/%ec%95%88%eb%82%b4-%ec%97%90%ec%8a%a4%ed%8b%b0%ed%8c%9c%ec%9d%b4-%ec%9b%90%eb%a3%8c%eb%a5%bc-%ea%b3%b5%ea%b8%89-%ec%a4%91%ec%9d%b8-%eb%af%b8%ea%b5%ad-%eb%b0%94%ec%9d%b4%ec%98%a4%ed%85%8d-%ec%82%ac
24.04.202505:03
23.04.202502:01
수요 둔화 VS 금리 인하
이 둘 사이에서 계속 줄다리기 하지 않을까요?
이 둘 사이에서 계속 줄다리기 하지 않을까요?
30.04.202500:49
큐브엔터테인먼트 소속 걸그룹 (여자)아이들 우기(YUQI)와 미연(MIYEON)이 중국 음원차트에서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우기의 디지털 싱글 ‘Radio (Dum-Dum)’은 최근 중국 최대 음악 사이트 QQ뮤직에서 ‘트리플 골드’ 인증을 받았다. 트리플 골드 인증은 디지털 앨범 기준 판매액 75만 위안 초과 시 부여되는 인증으로, 우기를 향한 현지 팬들의 열렬한 관심을 증명했다. 이 외에도 중국 TME(텐센트 뮤직 엔터테인먼트) 한국 차트(21일~27일 기준)에서 1위에 오르며 6주 연속 정상을 차지했다. QQ뮤직 주간 디지털 베스트셀러 싱글 차트(18일~24일)에서는 3위에 오르며 6주 연속 TOP3에 진입하는 성적을 거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485046
우기의 디지털 싱글 ‘Radio (Dum-Dum)’은 최근 중국 최대 음악 사이트 QQ뮤직에서 ‘트리플 골드’ 인증을 받았다. 트리플 골드 인증은 디지털 앨범 기준 판매액 75만 위안 초과 시 부여되는 인증으로, 우기를 향한 현지 팬들의 열렬한 관심을 증명했다. 이 외에도 중국 TME(텐센트 뮤직 엔터테인먼트) 한국 차트(21일~27일 기준)에서 1위에 오르며 6주 연속 정상을 차지했다. QQ뮤직 주간 디지털 베스트셀러 싱글 차트(18일~24일)에서는 3위에 오르며 6주 연속 TOP3에 진입하는 성적을 거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485046
29.04.202502:37
https://www.imaeil.com/page/view/2025042911245617208
"아마존에서 5월 11일까지 바이오던스, 메디큐브, 라네즈, 닥터 자르트 등 인기 브랜드 제품들을 최대 48%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고 전했다.
"아마존에서 5월 11일까지 바이오던스, 메디큐브, 라네즈, 닥터 자르트 등 인기 브랜드 제품들을 최대 48%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고 전했다.
Пераслаў з:
한화투자 중국/신흥국 정정영

28.04.202522:46
* 단독공연. 이렇게 열려요?
=========================
~ 이펙스(위시, 금동현, 뮤, 아민, 백승, 에이든, 예왕, 제프)는 오는 5월 31일 중국 푸저우(FUZHOU)에 위치한 MAAQUU X CH8 livehouse에서 2025 단독 공연 ‘青春匮乏 in 福州’(청춘결핍 인 푸저우)를 개최한다
~ 이번 단독 공연은 이펙스의 첫 중국 현지 공연이라 특별함을 지니고 있다. 이펙스는 멤버 전원이 한국 국적인 K-POP 아이돌 그룹으로는 2016년 한한령 이후 9년만에 처음으로 중국 단독 공연 개최를 확정했다
https://m.entertain.naver.com/article/382/0001194202
=========================
~ 이펙스(위시, 금동현, 뮤, 아민, 백승, 에이든, 예왕, 제프)는 오는 5월 31일 중국 푸저우(FUZHOU)에 위치한 MAAQUU X CH8 livehouse에서 2025 단독 공연 ‘青春匮乏 in 福州’(청춘결핍 인 푸저우)를 개최한다
~ 이번 단독 공연은 이펙스의 첫 중국 현지 공연이라 특별함을 지니고 있다. 이펙스는 멤버 전원이 한국 국적인 K-POP 아이돌 그룹으로는 2016년 한한령 이후 9년만에 처음으로 중국 단독 공연 개최를 확정했다
https://m.entertain.naver.com/article/382/0001194202
Пераслаў з:
CTT Research

24.04.202522:49
반도체 일제 랠리, 반도체지수 6% 급등…4000 재돌파(종합) - 뉴스1
24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반도체지수는 5.63% 급등한 4208.19포인트를 기록했다. 반도체지수가 다시 4000을 돌파한 것. 이는 지난 4월 15일 이후 처음이다.
미중 무역 전쟁 완화 기대감 등으로 반도체주가 일제히 급등했다. 일단 엔비디아는 3.62% 급등한 106.43달러를 기록했다. 이로써 3일 연속 랠리를 이어갔다.
전일에도 엔비디아는 미중 무역전쟁 완화 기대로 4% 정도 급등해 주가가 100달러를 재돌파했었다. 주가가 100달러를 다시 넘어선 것은 지난 17일 이후 처음이었다.
미중 무역 긴장 완화 호재가 이틀 연속 반영되면서 엔비디아가 3일째 랠리를 이어간 것이다.
엔비디아가 급등하자 경쟁업체인 AMD도 4.51% 급등했다.
이외에 인텔이 4.37% 급등하는 등 주요 반도체주가 일제히 랠리했다. 마이크론은 6.16%, 대만의 TSMC는 4.04%, 브로드컴은 6.35% 각각 급등했다.
특히 브로드컴의 상승 폭이 컸다. 이는 한국의 SK하이닉스 덕분이다. 전일 실적을 발표한 SK하이닉스는 깜짝 실적을 발표, 인공지능(AI) 전용칩 수요가 여전히 강력하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에 따라 브로드컴은 6% 이상 급등했다.
이처럼 반도체주가 일제히 랠리하자 반도체지수도 6% 가까이 급등, 마감했다.
https://www.news1.kr/world/usa-canada/5764459
24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반도체지수는 5.63% 급등한 4208.19포인트를 기록했다. 반도체지수가 다시 4000을 돌파한 것. 이는 지난 4월 15일 이후 처음이다.
미중 무역 전쟁 완화 기대감 등으로 반도체주가 일제히 급등했다. 일단 엔비디아는 3.62% 급등한 106.43달러를 기록했다. 이로써 3일 연속 랠리를 이어갔다.
전일에도 엔비디아는 미중 무역전쟁 완화 기대로 4% 정도 급등해 주가가 100달러를 재돌파했었다. 주가가 100달러를 다시 넘어선 것은 지난 17일 이후 처음이었다.
미중 무역 긴장 완화 호재가 이틀 연속 반영되면서 엔비디아가 3일째 랠리를 이어간 것이다.
엔비디아가 급등하자 경쟁업체인 AMD도 4.51% 급등했다.
이외에 인텔이 4.37% 급등하는 등 주요 반도체주가 일제히 랠리했다. 마이크론은 6.16%, 대만의 TSMC는 4.04%, 브로드컴은 6.35% 각각 급등했다.
특히 브로드컴의 상승 폭이 컸다. 이는 한국의 SK하이닉스 덕분이다. 전일 실적을 발표한 SK하이닉스는 깜짝 실적을 발표, 인공지능(AI) 전용칩 수요가 여전히 강력하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에 따라 브로드컴은 6% 이상 급등했다.
이처럼 반도체주가 일제히 랠리하자 반도체지수도 6% 가까이 급등, 마감했다.
https://www.news1.kr/world/usa-canada/5764459
23.04.202515:22
미국 반봄온 ... ? 현재 시각 12시 20분
23.04.202501:58
반도체도 실적 잘나오니 격렬하게 반응해주네요 ~ 하반기 경기침체 수요 둔화 전망이 지배적이지만 수요가 늘 전망대로 움직인다면 사이클이라는게 존재하지 않겠죠.. ?
Паказана 1 - 24 з 1 129
Увайдзіце, каб разблакаваць больш функцы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