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У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У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avatar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avatar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 관세 업데이트: "계속되는 품목별 관세 부과" - 5월 7일

■ 미국, 자동차 부품에 25% 관세 부과 발효

■ 트럼프 대통령, 상무부와 미국무역대표부(USTR)에 외국에서 제작된 모든 영화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는 절차를 즉시 시작하도록 승인할 것이라고 밝힘

* 백악관, 트럼프 대통령의 해외 영화 관세 부과 발언 하루만에 외국 영화에 대한 관세는 아직 최종 결정된 사안이 아니며 모든 옵션을 검토 중이라 발표

■ 트럼프 대통령, 향후 2주 이내에 의약품에 대한 품목별 관세와 관련하여 큰 발표를 할 것이라 예고

* 트럼프 대통령은 식품의약국(FDA)에 미국 내 제약 공장을 짓는데 걸리는 승인 시간을 단축하도록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

*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한미 간 의약품 무역은 상호 신뢰에 기반한 전략적 협력으로, 미국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며 미국의 수입 의약품 관세 부과 추진에 반대 의견서 제출

■ 파이낸셜타임스,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고율 관세 부활 움직임에 중국 수출업체들이 제3국을 경유해 원산지 세탁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도

■ 워런 버핏 버크셔 CEO, 올해 말 은퇴를 선언하고 무역이 무기가 되어서는 안 된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부정적 견해 표출

(자료 원본 ☞ https://buly.kr/7bGmbt0)
[DAOL퀀트 김경훈] 5월 국내증시 리스크 시그널

REITERATE: "RATHER BUY IN MAY?"

▪︎ 국내 경기 사이클은 작년 5월을 기점으로 확장 추세에서 벗어났으며, 8월에는 본격적인 수축 사이클로 전환. 그 이후 10개월 내내 둔화하던 국내 경기의 침체 속도가 이번달 들어 가장 크게 줄어들며 속도조절에 들어간 모습

▪︎ 이번달 선행 및 후행경기지표의 동반상승이 목격되는데, 이는 두 지표가 교차하기 직전 나타난 상황으로 트럼프 관세 우려가 만든 밀어내기 물량 즉, “사이클 왜곡 현상”에 주로 기인. 이러한 왜곡은 추세라기 보단 단발성 요인인 만큼, 이번달 시그널의 큰 변화를 변곡으로 보기엔 무리수

▪︎ 국내 경기의 이번 수축 사이클이 아직 절반에도 못 미쳤다는 기존 시각을 유지하는 바, KOSPI의 상단은 제한적인 반면 하단은 국내 밸류에이션 상 락바텀인 2,400P 대에서 지지하는 횡보장세 지속 예상. 결론적으로 향후 경기 기초체력의 점진적 둔화는 불가피한 가운데, 중장기적 주식전략 차원에서 건강관리, 필수소비재, 유틸리티, 통신과 같은 성장주이자 방어주 컨셉을 띄는 "NON-CYCLICAL DEFENSIVE” 업종 유망 시각 지속 유지 (REITERATE)

(리포트 원본 ☞ https://buly.kr/4mcekvR)
# 관세 업데이트: "협상의 시기" - 5월 2일

■ 트럼프 대통령, 관세 부담을 줄이려고 미국과 현재 대화 중인 한국, 일본, 인도와 무역 합의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

*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 한국과 진행 중인 무역 협상 상황에 대해 한국은 먼저 제안을 내놨고 시간이 좀 걸리겠지만,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설명

■ 트럼프 대통령, 이란산 석유나 석유화학 제품을 구매하는 어떤 국가나 개인도 즉시 2차 제재의 대상이 될 것이며 미국과 어떠한 형태로도 거래할 수 없다고 강조

* 이는 하루 100만 배럴 넘게 이란산 석유를 수입하는 중국을 겨냥한 것이라는 해석

■ 중국 관영 CCTV, 최근 미국이 관세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여러 채널을 통해 접촉해 왔다고 보도

■ 미국 상무부, 올해 1분기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감률(속보치)이 -0.3%(직전분기 대비 연율)로 집계되었다 밝힘

* 스웡크 KPMG 수석 이코노미스트, 미국 1분기 GDP 성장률 둔화는 수입이 41.3% 급증하고 수출은 1.8% 증가에 그치면서 순수출이 감소해 전체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준 결과

* 스웡크 KPMG 수석 이코노미스트, 수입액이 급증한 것은 수입 업자들이 관세 부과 전에 세금을 피하고자 수입품 재고 물량을 일시적으로 크게 늘렸기 때문

* 전문가들은 미국이 관세 정책을 수정하지 않는다면 경제가 올해 여름부터 본격 침체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

■ 트럼프 대통령, 삼성이 관세 때문에 미국에 대규모 시설을 건설할 계획이라 들었다며 역성장한 미국 1분기 경제성장률에도 관세로 인한 자신의 경제 성과를 강조

(자료 원본 ☞ https://buly.kr/Eonp1Hv)
28.04.202500:19
[DAOL퀀트 김경훈] Active Quant의 定石 - 4/25

"한국콜마의 바턴 이어 받은 에이피알"

1Q25분기 3번째 업데이트 (4.25 ~ 5.9)

■ RESULTS:
* SURPRISE 예상
에이피알, 펄어비스 등 총 6종목

* SHOCK 예상
LG이노텍, 하이브 등 총 18종목

■ COMMENTS:
- 실적시즌인 만큼 다수의 리포트들이 발간됐으나, 시장 전반적인 "숏장 우위" 현상은 계속되는 상황

- 업종단에서는 대다수 "경기관련소비재"(수출주+내주소비주)에서 SHOCK가 예상되는 반면, LONG 쪽의 경우 "화장품", "조선", "방산" 등에서 SURPRISE 실적 지속 유지 중

- 특징적으로 LONG 포지션 중 CONVICTION으로 잡힌 "카카오페이""펄어비스"의 경우 리포트 빈도가 높은 종목들은 아니지만, 그간 소외됐던 'UNDERVALUED" 상태에서 추정치 상향이 일어나며 스탠스로 급반전

- 더 나아가 지난 1분기 호실적을 발표한 "삼성전자"의 다음 2분기 추정치는 6.1조원대에서 정체 중인 반면, "SK하이닉스"의 다음 2분기 실적은 1분기 발표 전 8.8조원대에서 발표 후 7.3조원대로 일단 하향 조정. 반도체 BIG2 외 자동차, 금융 등 국내 증시 프록시 업종들의 호전세 전환은 여전히 부재 중인 상황

(원본 링크 → https://buly.kr/EziXXY9)
# 관세 업데이트: 비관세 부정행위 - 4월 22일

■ 트럼프 대통령, 전 세계가 미국을 상대로 ‘비관세 부정행위’를 하고 있다며 8가지 비관세장벽을 직접 언급

* 환율 조작
* 관세 및 수출 보조금 역할 하는 부가가치세
* 원가보다 낮은 덤핑
* 수출 보조금 및 정부 보조금
* 농업 기준 (ex. EU의 유전자 변형 옥수수 수입 금지)
* 기술 표준 (ex. 일본의 볼링공 테스트)
* 위조, 불법 복제 및 지식재산권(IP) 도용
* 관세 회피 위한 환적

* 지난 9일 중국 인민은행은 달러당 위안화를 7.2066위안으로 절하 고시했으며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6거래일 연속 내린 것으로 2010년 이후 위안화 가치가 최약세를 기록

* 볼링공 테스트는 약 6m 높이에서 볼링공을 자동차 후드에 떨어뜨리는 자동차 안전성 시험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미국산 자동차가 일본 소비자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일본이 사용하는 술책이라고 비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24일 오후 9시 (KST)에 예고했던 한미 2+2 통상협의가 열릴 예정이라 밝히며 무역균형, 조선, LNG 등 3대 분야를 한미 상호 간의 관심 사항이라 구체적으로 언급

■ 포스코홀딩스와 현대차그룹, '철강 및 이차전지 분야의 상호 협력을 위한 MOU'를 통해 현대제철이 미국에 짓기로 한 전기로 제철소에 포스코가 지분 투자를 통해 동업자가 된다는 내용을 공식화

■ 트럼프 대통령, 파월 연준 의장을 중대 실패자(a major loser)라 칭하며 금리 인하를 하지 않으면 경기 둔화가 있을 수 있다고 재차 경고

■ 중국, 작년 8월 이후 매달 미국산 대두와 옥수수 구매 계약을 여러 건 체결했지만 지난 1월부터 예약 구매를 중단

(자료 원본 ☞ https://buly.kr/BeK7joN)
06.05.202522:37
[DAOL 퀀트 김경훈] 1분기 전종목 실적발표 스케줄

1Q25 Earnings Calendar - 5/7 업데이트

■ 시장 공시이익 현황

KOSPI
- 기발표 완료율 68%
- 전년동기비 성장률 +17%
- 성장률 상위: 조선(+469%) > 화학(+101%) > 디스플레이(+100%)
- 서프라이즈 섹터: 디스플레이 > 소매(유통) > 철강

KOSDAQ
- 기발표 완료율 9%
- 전년동기비 성장률 +10%
- 성장률 상위: 건설건축관련(+856%) > 기계(+386%) > 반도체(+78%)
- 서프라이즈 섹터: IT가전 > 상사,자본재

■ 실적발표 예정
- (5/8) 카카오 1,059억원 (-12%y / +40%q)
- (5/9) 셀트리온 2,154억원 (+1,295%y / +10%q)
- (5/9) NAVER 5,089억원 (+16%y / -6%q)

* P.S. 노랑색 음영부분은 회사가 공시한 실적발표 확정일이며, 기타 종목들은 예정일임을 알려드립니다. 예정일은 공시일자가 다소 변경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자료 원본 ☞https://buly.kr/9iFsNcB)
06.05.202504:55
# 대만의 SVB화 : "겨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

대만 달러 급등 요인과 금융시장 파급 요약

▪︎ 급등 현황

• 대만 달러는 하루 3% 상승하며 1988년 이후 최대 상승폭 기록.

• 대만 증시도 2.7% 상승해 아시아 주요 지수 중 최고 성과.


▪︎ 표면적 원인

• 대만 경제 성장률이 예상보다 높게 발표됨.

• 미·중 무역 협상 가능성 언급.

• 미국 기술주 실적 호조로 대만 반도체 수출 기대 상승.


▪︎ 실질적 원인

• 대만 생명보험사들이 1.7조 달러 규모의 미국 국채 등 해외 자산을 보유 중이나 환헤지를 제대로 하지 않아, 미국 달러 약세 시 손실 위험 커짐.

• 2025년 들어 달러 약세가 가속되자, 보험사들이 뒤늦게 환헤지에 나서며 대규모 TWD 매입 발생 → 환율 급등 유발.


▪︎ 파급 효과

• 한국 원화도 갑자기 강세. 일부 기관이 원화를 TWD 헤지 대체 수단으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

• 향후 한국, 일본 등 주변국 환율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


▪︎ 정책적 딜레마

• 대만 중앙은행은 통화 약세 유도를 꺼림 (e.g. 미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우려).

• 그러나 보험사의 환위험 노출 규모가 워낙 커, 실질적으로는 중앙은행이 방어해야 하는 구조.

• 현재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압박 속에서 외환시장 개입은 정치적으로도 민감.


▪︎ 결론

• 이번 TWD 급등은 기술적 수급 요인 (i.e. 보험사들의 늦은 환헤지)이 핵심 원인. 트럼프 2기 관세정책이 달러 강세 지속 될 거란 안일함.

• 단기적으로는 대만 금융시장 구조의 불균형이 외환시장 급변동을 초래했고, 그 여파가 다른 아시아 국가에도 확산 가능성 있음.

• 장기적으로는 트럼프 관세정책이 힘을 잃을수록 거세질 아메리카-엑소더스 (e.g. 금리상승, 달러 약세, etc.). 반대로 트럼트, 무역통상 원상복구시 업사이드 큰 달러.

• SVB는 미국채 몰빵, 대만은 외환보유고보다 몸집이 커진 생보사들의 환노출 미국채 자산-부채간 미스매치. 적극적 방어(SVB)든, 공격 목적(대만)이든 쏠림현상 극대화 됐을 때의 폐해.
30.04.202512:48
# GDP RECAP. - "매번 시차에 안주하는 우리"

* 3년만의 첫 경제 수축 (심지어 저건 명목)
* 물가는 예상치 상회 및 ADP고용 올해 증분 급감 (스테그플레이션 심화, "the only way out is printing money " -> 빈부격차 심화)

하드 데이타 벌써 꺾이나...🙈

https://t.me/purequant/11729
# 관세 업데이트: "중국을 개방하라" - 4월 28일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 인하 의지를 시사하는 등 유화 제스처를 취한 가운데 중국도 일부 미국산 품목에 대한 125%의 추가 관세를 이미 철회했거나 철회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짐

*외신과 중국 현지 매체, 아직 공식 발표를 하지는 않았지만 중국은 미국산 반도체 관련 관세 면제 조치는 이미 무역현장에서 이뤄지기 시작했으며, 에테인과 의료 장비 등에 대한 관세 면제도 검토되고 있다 보도

■ 트럼프 대통령, 중국을 개방하고(free up China), 중국에 미국이 들어가 일하게 하는 실질적인 양보를 주지 않으면 관세를 철회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힘

■ 트럼프 대통령, 시진핑 주석이 전화를 걸어왔으며 이것은 중국의 약점을 보여주는 신호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힘

* 중국, 정례 브리핑에서 중미 양국은 결코 관세 문제에 관해 협상이나 담판을 진행한 바 없다고 강력 부인

■ 트럼프 대통령, 어떤 협상에서도 군대 문제를 다루지 않을 것이라면서 한국 등과의 협상에서 방위비와 관세를 별도로 논의할 것을 시사

■ 트럼프 대통령, 일본과의 관세 문제를 합의하는 데 매우 근접했다 밝힘

(자료 원본 ☞ https://buly.kr/GvmtLXY)
# 원맨쇼 2 - "카드를 다 보여준 트럼프"

트럼프 : "파월 해고할 생각 없었다"
베센트 : "미중 무역갈등 아주 가까운 미래에 완화"

👉 설 곳 없이 카드를 다 보여준 트럼프...정상화에서 멀어질 때마다 금융시장 요동은 트럼프를 옥죌 것...점진적 꼬리 내리기는 수순 🙈🤣🤣

(이전 코멘트 참조 👉 https://t.me/purequant/12131)
# 관세 업데이트: 곧 시작하는 한국과의 협상 - 4월 21일

■ 이번 주 워싱턴에서 한미 고위급 통상협의가 양국 재무 장관과 통상 분야 수장이 함께 참여하는 '2+2' 형식으로 열릴 예정

* 한국 측에서는 최상목 경제 부총리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참석하고, 미국 측에서는 베선트 재무장관과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가 참석 예정

*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을 9배 수준으로 올려야 한다고 주장한 만큼, 미국 측은 관세에 방위비까지 포괄하는 '원스톱 쇼핑 협상'을 추구 할 예측이지만 대한민국은 통상과 안보를 분리하고, 우선 통상 주제에만 집중하겠다는 입장

* 안덕근 장관, 트럼프 대통령이 각별히 챙기는 한미 조선 협력과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 문제는 관세 최소화 목표 달성을 위한 협상 카드이며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대한민국과 가까이에 있는 알래스카에 안정적인 LNG 공급처를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카드라고 발언

* 최상목 경제부총리, 6월 3일 조기대선을 앞두고 있는 만큼, 현재는 국익 차원에서 최대한 협상하고 장기 국익이 걸린 중요한 부분은 새 정부가 출범하면 최종 결정하는것이 옳다고 밝힘

■ 일본, 미국과의 협상 카드로 트럼프 대통령이 지적한 쌀 시장의 비관세 장벽과 미 자동차의 대일본 수출이 저조한 것을 수용해 미국산 쌀 수입 확대와 자동차 검사 간소화 등을 검토 중

■ EU, 대미 관세협상 개시 직전 애플과 메타의 디지털 규제 위반에 따른 제재 발표를 연기 발표. 이는 본격 관세 협상 개시 전 미국을 자극하지 않기 위한 조치로 판단

■ 월스트리트저널, 중국 정부가 트럼프 대통령의 고관세에 보복 조치로 포드 자동차에 대한 관세가 최대 150%까지 올라감에 따라 포드는 F-150 랩터, 머스탱, 브롱코 SUV, 링컨 내비게이터 등의 차량의 중국 수출을 중단했다고 보도

(자료 원본 ☞ https://buly.kr/5q770QW)
06.05.202522:37
└ 반미 연대 + 미국 하드 데이터 둔화 가시화

= 기축통화 위상 의구심 강화 🙈🚬
# 관세 업데이트: "트럼프 100일" - 4월 29일

■ 워싱턴포스트,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 2기 취임 100일을 앞두고 진행한 지지율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평가한 응답자는 39%, 부정적은 55%라고 보도

* 관세 정책에 대해서 미국 국민 중 64%가 부정적이라 대답

* 지지율 39%는 지난 80년간 취임 100일을 맞은 미국 대통령 중 최저치

■ 베센트 재무장관, 15~17개국이 관세를 피하기 위해 좋은 조건을 제시했으며 한국과의 관세 협상도 매우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힘

* 높은 관세율이라는 채찍을 보여준 뒤 대미 관세나 비관세 무역 장벽, 통화 조작 등을 중단해야 협상을 시작할 수 있다는 당근을 제시하는 것이 트럼프의 전략이라고 소개

* 중국의 비즈니스 모델은 미국에 저가의 보조금 지원 상품을 판매하는 것에 기반을 두고 있다며 이 공급이 갑자기 중단되면 중국 경제도 갑자기 멈출 것이기에 중국은 반드시 협상할 것이라 전함

■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한 중국산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로 인해 무역에 영향을 주는 사례:

* 파이낸셜타임스, 중국발 상품의 주요 입국 경로인 미국 로스앤젤레스 항구의 다음주 예정된 도착 물량이 지난해보다 30% 줄어들 전망이고 운항 취소로 인해 약 20편의 빈 항해가 예상된다 보도

* 로이터통신, 2025년 아마존 프라임데이에서는 관세 부담으로 인해 중국산 제품을 판매하던 일부 판매자들이 행사 참여를 포기하거나 할인 폭을 줄이는 현상이 발생했다 보도

(자료 원본 ☞ https://buly.kr/8pg2aAJ)
# "트럼프 집에 가는 날까지 1,361일"

뭐 군대도 아니고 앞이 안보이네요 🤣🤣
# 관세 업데이트: 빨리 협상하고 싶은 트럼프 - 4월 23일

■ 트럼프 대통령, 미국은 중국에 강경한 태도를 취하지 않을 것이라며 궁극적으로 두 나라는 무역 협정에 도달할 것이라 밝힘

* 트럼프 대통령, 대중 관세 협상은 잘 되고 있으며, 협상 완료시 부과된 관세율은 상당히 내려갈 것이라 밝힘 (제로(0%)는 아니라고 언급)

* 트럼프 대통령, 중국과 관세율 협상 과정에서 코로나19 문제는 언급하지 않을 것

* 레빗 백악관 대변인, 미중간 새로운 무역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모색이 매우 잘 되고 있다고 밝힘

* 베선트 재무장관, JP모건이 비공개로 주최한 투자자 행사에서 관세로 인한 중국과의 교착 상태가 지속가능하지 않으며 상황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

■ 트럼프 대통령, 금리 인하는 재차 압박했지만 파월 연준 의장을 해임할 의도는 없다고 밝힘

■ IMF, 상호관세 조치로 트럼프 관세발 통상 전쟁이 글로벌 수준으로 진행되는 것을 반영해 올 세계 경제성장률을 3.3%에서 2.8%로 예측

* 미국은 2.7%에서 1.8%로, 중국은 4.6%에서 4.0%로, 한국은 2.0%에서 1.0%로 하향 조정

■ 트럼프 행정부, 동남아시아 4개국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베트남, 태국)에서 수입되는 태양광 제품에 최대 3,521%의 새 관세를 예고. 이는, 중국 기업들이 동남아에서 만든 태양광 패널 등을 덤핑 가격에 수출하며 중국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받고 있다고 판단해 내린 조치

■ 최상목 경제부총리, 한미 2+2 통상협의를 위해 방미 일정을 시작하며 한미동맹을 더 튼튼하게 하고, 한국의 입장도 적극적으로 설명하겠다 밝힘

(자료 원본 ☞ https://buly.kr/DaOStCw)
# 쉬어가는 코너 - "억만장자가 마이크 췍 하는 방법"

핫 둘이 아닌,
백만 이백만,,,우린 큰 숫자만 얘기하니까 🎵
[DAOL퀀트 김경훈] 5월 국내증시 스타일 전략

"트럼프처럼 주식 스타일도 오락가락"

▪︎ 5월 들어 주가 설명력이 높은 다수의 매크로 변수들이 "성장" 시그널로 둔화되며 1개월만에 강한 "성장 전략"으로 전환

▪︎ 이는 패시브 외국인 유출, 물동량 감소, 기대인플레 하락에 주로 기인하며, 반대로 최근 글로벌 반미 연대 확산 및 대만 생보사 환헷지 등의 달러 약세 환경이 국내 환 강세를 야기하며 개선. 이 또한 모두 "트럼프발 사이클 왜곡"에 해당되는 만큼, 앞으로도 로테이션 빈도가 잦을 수 밖에 없는 이유

▪︎ EQUITY DURATION상 다수의 국내 섹터들이 성장주 쪽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 중 대다수 건강관리, 조선, 방산(상사자본재) 등의 종목들이 리스트 상위에 등극된 유망 업종

(보고서 원본 ☞ https://buly.kr/2fdZ0CH)
# 글로벌 반미 연대 강화 영향? 🚨

👉 미국채 10년물 상단 타겟 mid-4% 돌파 수순??
28.04.202500:19
[DAOL 퀀트 김경훈] 1분기 전종목 실적발표 스케줄

1Q25 Earnings Calendar - 4/28 업데이트

■ 시장 공시이익 현황

KOSPI
- 기발표 완료율 53%
- 전년동기비 성장률 +18%
- 성장률 상위: 조선(+484%) > 건강관리(+119%) > 디스플레이(+100%)
- 서프라이즈 섹터: 건강관리> 디스플레이 > 반도체

KOSDAQ
- 기발표 완료율 2%
- 전년동기비 성장률 +19%
- 성장률 상위: 건설건축관련(+856%) > 소프트웨어(+530%) > 반도체(+42%)

■ 실적발표 예정
- (4/28) 한화오션 1,592억원 (+201%y / -6%q)
- (4/29) 크래프톤 3,865억원 (+25%y / +79%q)
- (4/30) 한화에어로스페이스 5,019억원 (+1,242%y / -44%q)

* P.S. 노랑색 음영부분은 회사가 공시한 실적발표 확정일이며, 기타 종목들은 예정일임을 알려드립니다. 예정일은 공시일자가 다소 변경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자료 원본 ☞ https://buly.kr/4FsKjkq)
└ 기아 BULLSEYE 🎯

컨센 대비 -6.7%
퀀트 대비 -0.3%
영업익 하회

허나 금일 실발 직전 PRE모델 업데이트 기준 예상된 실적이었을지언정 내년 연간 추정치 같이 빠지며 SHORT 생성 💡

(원본 참고 👉 https://buly.kr/EziXXY9)
# 시장이 과매도 국면서 헤매는 시간 ⏰

상단 차트는 2005년 이후 KOSPI의 단기저점이 장지저점 레벨을 밑돌 때 (i.e. -2 Sig × 변동성 > -1 Sig × 변동성) 증시가 바닥에서 평균적으로 헤매는 기간을 도표화 한 차트입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상태의 유지기간은 약 368일 정도이며, 여기에는 2008년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 외 유럽발 재정위기와 같은 여러 국면들이 포함됩니다.

이번 KOSPI의 "과매도" 국면은 올해 2월부터 시작됐으며, 현재 60일차를 막 지난 상황입니다.

👉 증시가 여전히 장기간 답보라면, "NON-CYCLICAL DEFENSIVE!"
# 관세 업데이트: 순조로운 관세 협상? - 4월 18일

■ 트럼프 대통령, 미국을 방문한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를 EU 대표자로 간주하고 미국과 EU는 공정한 합의에 도달할 수 있다고 100% 믿는다 강조

* 멜로니 총리는 유럽 내에서도 대표적인 친(親)트럼프 정치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EU에 20% 상호관세를 발표한 이후 처음으로 만나는 유럽 정상

* EU 집행위원회, 모든 유럽 국가의 대미 접촉을 환영하지만 유럽의 무역 정책을 총괄하는 건 EU라고 강조

■ 트럼프 대통령, 중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가 미국과 대화하고 싶어하고 미국과 중국은 매우 좋은 거래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매일 중국을 언급 중

■ 트럼프 대통령,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하지 않고 인플레이션 우려 등 미 경제에 경고음을 울리자 파월 연준 의장의 해임은 빠를수록 좋다며 압박

■ 젠슨 황 엔비디아 CEO,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의 대 중국 반도체 수출을 강화한 가운데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CCPIT) 초청으로 중국을 방문하여 계속 중국과 협력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힘

■ 베선트 재무장관, 이른바 빅15이라 불리는 나라들과 협상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며 다음주에 백악관 방문 예정인 한국을 언급

■ 작일 미국에서 개최된 미·일 첫 관세 협상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의 방위비 확대를 공개적으로 요구

(자료 원본 ☞ https://buly.kr/9tAWTiH)
显示 1 - 24 307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