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SOL기로운 HODL생활 avatar
SOL기로운 HODL생활
SOL기로운 HODL생활 avatar
SOL기로운 HODL생활
쿠모캣 NFT를 사면 에어드랍을 해주는 게이밍토큰 $KOBAN이 한국 시간 기준으로 14일 => 15일로 넘어가는 자정에 이뤄지네요!

출처 : https://x.com/luckykatstudios/status/1920093522872369296?s=46&t=Qyns4Kfmifo6n646v4GUQA
✖️ $KAITO 스테이커나 KAITO OG NFT 스테이커는 참고

https://boop.fun/airdrop

스테이킹하고, 카이토 계정에 솔라나 지갑연동해두신 분들은 BOOP 에어드랍 체커에 해당 솔라나 지갑 연동해보세요. 에어드랍 추가로 배정되어 있네요. 맛있잖아..
많은 프로토콜들을 초대해 그들을 위한 화려한 행사를 여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유관 인사들을 초청해 정기적으로 의미 있는 행사를 열어주시려는 해시드의 모습이 인상 깊고, 되려 제가 감사한 마음이 드네요.

이번 기회를 통해 한국에서도 좋은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에서 생산적인 논의들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를 진심으로 기대합니다.
24.04.202511:54
한국인 야퍼로 분류가 안된건 조금 서러운 느낌(?)이 있네요..!

한국에서 나고 대학까지나온 자랑스러운 토종 한국인인데..🇰🇷ㅠ
Reposted from:
마샬 공유방 2.0 avatar
마샬 공유방 2.0
🎮 그럼 혹시 수이랑 게임 깐부 맺은 오버테이크도? Source

「게임 자산 마켓플레이스로 바뀐 오버테이크는 지난 3월 수이와 파트너십을 체결」

오버테이크가 수이를 선택한 이유
· 실시간으로 바뀌는 객체 중심 구조
· 지연 없는 병렬 실행
· 지갑 생성 필요없는 zkLogin과 온보딩
· 모듈식 인프라


✔️ 수이랑 같이 오버테이크는 뭐가 바뀜?
· P2P 신뢰 공백을 없앤 온체인 에스크로
· 실제 게임과 연동된 자산 검증
· 실제 경제를 위한 인프라 제공


✍️ 시간이 갈수록 수이로 갈아탄게 신의 한 수가 되어가는 중

이제 준비 잘 마쳐서 장 좋을때 TGE 버튼만 눌러주면 완벽하다!

#오버테이크 #수이
: : [이슈] CPN: 디지털 네이티브 SWIFT를 향하여
작성자: @100y_eth

-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전 세계는 과거 어느 때보다도 서로 연결되어있지만, 아직까지 국제 송금과 관련된 활동은 구시대적인 네트워크에 기반하고 있다. 대표적인 글로벌 표준인 스위프트(SWIFT)는 국제 송금시 1~5 영업일이라는 긴 시간과, 수 많은 중개 수수료가 발생한다.

- 2025년 4월 22일, USDC의 발생사인 써클(Circle)이 공개한 써클 페이먼트 네트워크(Circle Payments Network; CPN)은 기관, 서비스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스테이블 코인 및 블록체인 인프라를 정산 과정에 활용하여 누구나 빠르고 저렴하게 국제 송금/결제를 할 수 있게 한다.

- 써클의 CPN 공개는 공교롭게도 USDT 특화 체인 플라즈마(Plasma)의 공개가 얼마 지나지 않아서 이루어졌다.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안이 통과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USDC와 USDT는 목표는 같지만 서로 다른 방향성을 택할 것으로 보인다.

이슈 아티클 전문 (트위터)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NFT 프로젝트인 두들스가 솔라나 위에서 밈코인 $DODO를 발행한다고 했는데요, TGE 때 에어드랍 대상자가 공개됐네요 👀

😳

1. BonkBot - 거래량 기준 상위 50명
2. Bonk - Bonk 리워드 프로그램에 상위 2500명
3. drip.haus - DRiP에서 발행된 두들 컬렉터블 홀더(1/1~3/5)
4. 솔라나 사가 2 프리오더 구매자
5. Vector - 벡터앱 사용자 중, Broadcast Volume 기준 상위 2500명
6. Helius - Helius로 스테이킹한 솔라나 스테이커 중 상위 5000명
7. ElizaOS - ElizaOS 기여자


Pre-registration 페이지가 다음과 같이 있긴 한데 솔라나 사가2 구매자는 아직 반영이 안된것같네요:
https://dood.doodles.app/

댓글보니 claim 페이지 오픈 때 제대로 확인할 수 있을 것 같다고 합니다!

출처 : https://dood.doodles.app/faq
단순함이라는 최후의 카드: 고성능 L1 경쟁 속 이더리움(Ethereum)의 전략적 선택 (by Hashed CEO Simon Kim)

“Simplifying the L1” 요약

1. 합의 구조 단순화: 복잡한 기존 시스템을 “3-slot 파이널리티 모델(3-slot finality model)”로 대체 - 제안, 투표, 확정의 3단계 구조로 약 200줄의 코드로 구현 가능

2. 실행 환경 재설계: ZK 증명에 최적화된 RISC-V 기반 가상머신 도입 제안. 복잡성은 줄이고 롤업 성능 향상

3. 프로토콜 표준화: SSZ(Simple Serialize)와 통합 머클 트리 구조 같은 일관된 포맷을 적용해 툴링, 증명 시스템, 코드 재사용성 향상

4. 미니멀 L1 철학: L1에는 필수 기능만 남기고, 스테이킹 풀·지갑 추적 등 복잡한 기능은 L2나 오프체인으로 이전해 단순성과 보안성 강화

인프라 중심의 접근법

1. 레이어 분리 철학: 이더리움은 기본 레이어(L1)를 단순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혁신과 성능 최적화는 레이어 2(L2) 솔루션에 맡기는 접근법을 취합니다. 이는 인터넷 아키텍처의 TCP/IP와 같은 역할로, 기본 프로토콜은 단순하게 유지하면서 그 위에서 다양한 응용이 발전할 수 있게 합니다.

2. 공개 표준으로서의 역할: 단순화된 이더리움은 모든 L2 솔루션과 DApp들이 준수해야 할 명확한 공개 표준을 제공합니다. 이는 생태계 전체에 일관성과 상호운용성을 부여하여, 네트워크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3. 시간 검증 가치: 2015년 출시된 이더리움은 솔라나(2020년)나 수이(2022년)보다 훨씬 오랜 기간 동안 시장에서 검증되었습니다. 단순화를 통해 이더리움은 이러한 시간적 이점을 더욱 강화할 수 있습니다. 단순한 시스템일수록 시간이 지나도 그 본질적 가치가 더 잘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가치 포착 메커니즘과의 시너지

1. ETH의 화폐성 강화: 단순한 프로토콜은 마치 비트코인(BTC)처럼 ETH의 화폐적 속성을 강화하여, 디지털 자산으로서의 매력을 높입니다. 보다 예측 가능하고 이해하기 쉬운 시스템은 기관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는 데 유리합니다.

2. 수수료 소각 메커니즘 효율화: EIP-1559 이후 도입된 수수료 소각 메커니즘은 단순화된 환경에서 더 효율적으로 작동하며, ETH의 공급 감소 효과를 더 분명하게 만듭니다.

3. MEV 재분배의 효율성: 단순화된 합의 메커니즘은 MEV(Maximal Extractable Value)의 공정한 분배를 가능하게 하여, 네트워크 보안 인센티브를 최적화합니다.

원문
https://medium.com/hashed-kr/simplifying-eth-90764ea64c11
Reposted from:
SB Crypto avatar
SB Crypto
29.04.202509:32
글로벌 웹3 리더, 정·재계 인사 서울에…'이스트포인트:서울 2025' 9월 개최

글로벌 웹3 벤처캐피털 해시드와 블루밍비트(Bloomingbit), 한경미디어그룹은 오는 9월 22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 서울에서 '이스트포인트:서울 2025(EastPoint:Seoul 2025, 이하 이스트포인트)' 행사를 공동 주최한다고 밝혔다.

이스트포인트는 한국을 디지털자산 산업의 중심지로 만들고 전통 금융과 디지털자산이 만나는 글로벌 허브로서 입지를 공고히 다지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라이빗 웹3 콘퍼런스다. 이스트포인트는 사전 초청자만 참석 가능한 행사로, 올해는 글로벌 블록체인 및 디지털자산을 선도하는 프로젝트들과 대기업, 기관 투자자, 글로벌 정책 입안자들이 대거 참여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라운드테이블(Roundtable) ▲비투비 매치메이킹(B2B Matchmaking) ▲지식 공유(Knowledge Sharing) ▲소셜 개더링(Social Gathering) 등 4가지 주요 세션으로 구성된다.

가장 핵심적인 '라운드테이블'은 초청자에 한해 직접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비공개 논의 세션으로 진행된다. '비투비 매치메이킹'은 참석자 간 비즈니스 수요와 관심사에 기반한 1대 1 미팅을 통해 실질적인 협업 가능성을 높이는 프로그램이다.

- 기사 원문: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289585O
- 이스트포인트 웹사이트: www.eastpoint.xyz
Reposted from:
Steve’s Catallaxy avatar
Steve’s Catallaxy
수빈님을 비롯한 저희 포필러스 사람들은 한국 얍퍼로도 분류가 안되는군요.
2,468명이 @zkme_ 를 통해 KYC 인증을 완료했습니다.

아직 완료하지 않았다면, 지금 여기에서 진행해 보세요:
https://discover.soo.network/account

https://x.com/soon_svm_korea/status/1915291984392233062
: : 이니시아: 멀티체인 에덴동산에 들어서며
작성자: 에렌

- 이니시아는 모듈성과 조율(Orchestration)을 통해 수천 개의 앱체인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멀티체인 에덴동산'을 구축하며, 레이어1, 인터우븐 롤업, 인터우븐 컴포넌츠 세 축으로 구성된 아키텍처를 제시한다.

- 이니시아 레이어1은 단순 정산 레이어가 아닌 Opinit 프레임워크를 통해 트랜잭션 생애주기를 관리하고, 내재화된 유동성과 미닛스왑으로 통합된 유동성 환경을 조율하는 생태계의 중심 축이다.

- 인터우븐 롤업은 디파이, 게이밍, NFT, AI 등 다양한 도메인에 특화된 풀스택 앱체인으로, 개발자에게 기술 선택의 부담없이 최적화된 실행 환경을 제공한다.

- 인터우븐 컴포넌츠는 VIP를 통한 경제적 연결, IBC와 레이어제로를 활용한 체인 간 연결, 통합된 UI/UX를 통한 프로덕트 연결로 멀티체인 생태계의 파편화를 방지한다.

- 이니시아는 메인넷 런칭 시점에 이미 16개 이상의 앱체인을 온보딩하였으며, 자율성을 보장하면서도 생태계 내 긴밀한 연결성을 형성함으로써 기존 모듈러 블록체인의 가능성과 한계를 모두 반영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

▫️ 이니시아: 모듈성과 조율이 공존하는 멀티체인 에덴동산
▫️ 이니시아 레이어1: 오케스트레이션 레이어
▫️ 레이어2: 인터우븐 롤업
▫️ 인터우븐 컴포넌츠: 이니시아를 연결하는 세가지 연결고리
▫️ 마치며: 멀티체인 에덴동산은 실현될 수 있을까?

아티클 전문 (트위터)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Reposted from:
Steve’s Catallaxy avatar
Steve’s Catallaxy
수이 기반의 프라이버시 중심의 분산형 AI 인프라인 아토마가 엔비디아 인셉션 프로그램에 선정됐네요.

예전에 아토마에 대해서 설명한 제 글이 있어서 짧게 첨부드립니다.

Atoma의 가장 큰 특징은 TEE(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기반의 노드 구조를 통해 연산 중에도 데이터와 모델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신뢰 가능한 실행 환경을 구현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민감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AI 연산을 수행하면서도 해당 데이터가 노드 운영자나 제3자에게 유출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Atoma는 Sampling Consensus Protocol을 도입하여, 분산된 노드들 간의 연산 결과를 상호 검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계산의 신뢰성과 정확성까지 보장한다.

Atoma는 자체 모델을 훈련하거나 보유하지 않으며, 오히려 OpenAI, Mistral, LLaMA 등의 외부 파운데이션 모델을 API 또는 로컬 실행 형태로 호출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처럼 Atoma는 파운데이션 모델의 실행 위치와 방식에 있어 사용자의 선택권과 프라이버시를 극대화하는 인프라 레이어로 기능한다. 또한, OpenAI와 동일한 API 형식을 유지하면서도 연산 환경을 TEE 기반의 탈중앙 노드로 전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업 및 기관 사용자에게 높은 수준의 보안성과 규제 회피 가능성을 제공한다.

Atoma Network는 이러한 탈중앙 AI 실행 구조를 온체인 상에서 투명하고 신뢰성 있게 운영하기 위해 Sui 블록체인을 기반 인프라로 채택하고 있다. AI 작업 요청, 노드 선택, 실행 결과에 대한 정산 및 보상 분배 등 핵심 메타데이터는 Sui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기록 및 처리되며, 이는 Atoma의 탈중앙 거버넌스와 인센티브 시스템의 기반이 된다. Sui의 고속 객체 지향 데이터 모델은 노드 간 실행 이력, 사용자 요청 상태, 연산 결과 등을 구조화된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며, 낮은 지연 시간과 높은 처리량(TPS)은 실시간 AI 정산 시스템 구현에 적합하다.

뿐만 아니라, Atoma는 Sui의 NFT 표준과 자산 토큰화를 활용해 노드 자격, 사용권, 프라이버시 정책 등을 온체인 자산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Sui Wallet을 통해 통합된다. 결과적으로 Atoma는 Sui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탈중앙 AI 마켓플레이스를 구성하고 있으며, 고신뢰 AI 실행 인프라와 고성능 L1 블록체인의 결합을 통해 차세대 AI 서비스 운영 모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이번에 수이 기반 게이밍 프로젝트인 소사이어티도 아디다스와 협업을 하던데. 확실히 이제 단순 하이프를 넘어서 그 하이프를 활용한 협업 사례들도 구체적으로 나오고 있는 모습입니다.
: : [이슈] 최근 PYUSD의 근황은 어떻게 될까?
작성자: 100y

- 최근 미국 정부의 친크립토 행보 및 상원의 GENIUS Act 등으로 인해 스테이블 코인 섹터는 가장 뜨거운 이슈 중 하나이지만, 그에 비해 페이팔의 PYUSD는 큰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 최근 SEC는 페이팔 PYUSD에 대한 조사를 종료하였으며, 이에 규제 불명확성이 해소되자 페이팔은 2025년 여름부터 페이팔 앱 내의 PYUSD 보유 잔고에 대해 3.7% 이자를 지급하는 보상 프로그램을 실시할 예정이다.

- 만약 GENIUS Act가 통과된다면 수 많은 은행, 자산운용사, IT 기업들이 스테이블 코인 발행 산업에 뛰어들면서 스테이블 코인 섹터의 경쟁은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페이팔은 기존 앱의 넓은 유저 베이스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나, 더 높은 점유율을 확보하기 위해선 심리스한 암호화폐 거래 경험 제공, 글로벌 PYUSD 서비스 지원, 활발한 온체인 디파인 서비스 통합이 필요해보인다.

이슈 아티클 전문 (트위터)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얼마전에 스캠소리듣던 소셜앱 Clout가 Believe 로 리브랜딩했네요.

속는셈치고 상호작용해봤는데 뭐 달라진거 없으면 그때처럼 욕할것같긴합니다..🤫
🇰🇷 카이토 국가별 야퍼 리더보드 공개

https://yaps.kaito.ai/user

한국도 있습니다. 확실히 중국에 비해 풀이 작네요. 중국 야퍼랑 붙으면 32등 정조
Reposted from:
흔자 avatar
흔자
IKA의 최종 인센티브 테스트넷이 곧 시작되네요. 이번 테스트넷은 IKA 프로젝트의 마지막 단계로, 다음 주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것 같습니다.

현재 시스템 최적화가 진행 중이며, 2PC-MPC v2의 배포도 임박한 상태라고 합니다.

🔗 https://x.com/ikadotxyz/status/1915208785292829148?s=46
Pre-approve라는 기능을 통해 congestion에 대비하여 빨리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앱도 있네요.

EVM 쪽 팔로업을 오랫동안 안해서그런지 Pre-Approve라는 기능이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 지 궁금하네요.. 보안적으로 문제가없을런지;;

+ 별개로 바이낸스 월렛의 빠른 상호작용(주로 빠른 덤핌용이겠죠)을 위한 별도의 앱도 있는 걸 보면, 이 시장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
🥷️ 인젝티브, 온체인 주식 거래 개시 안내
원문보기

인젝티브의 iAsset 프레임워크를 통해 누구나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넷플릭스 주식 온체인 거래가 가능합니다

iAsset은 누구나 접근 가능하고 높은 유동성을 갖춘 프로그래밍 가능한 금융 상품을 지원합니다

$AAPL, $MSFT, $AMZN, $NFLX가 최근 출시한 $META, $NVDA, $GOOGL, $TSLA 등 온체인 주식열에 합류했습니다. 전 세계 유저들은 헬릭스 거래소에서 위 주식을 포함한 다양한 RWA 거래가 가능합니다

이번 출시가 특별한 이유는 주식을 단순히 토큰화한다는 점을 넘어 새로운 금융 시스템 기반을 마련한다는 의미가 있기 때문입니다

온체인 월스트리트가 출시한 셈입니다

인젝티브 링크트리
인젝티브 원페이저
공지방 | 커뮤니티 | 디스코드
🪙 뭔가뭔가 뭔가 분위기를 잡을 수 있을 것 같은 아이오타

출처

내일 REBASED라는 메인넷이 열리는데 이게 수이기반 MOVE-VM임.

MoveVM for L1 smart contracts.


현재 수이의 Move 언어 라이벌은 거의 가사상태고, Move-VM의 대표였던 MOVEMENT는 이전에 언급한 일련의 사태로 그냥 주화입마에 빠져버림.

그런 상황에서 수이쪽 Move-VM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출시하는 상황. 아이오타도 꽤 오래된 코인이기 때문에 유통량이 80% 이상 풀려 인플레이션이 상당히 억제된 프로젝트임.

이 기회를 잡고 먹거리 많이 제공하면서 잘해주면 좋을텐데...메인넷 열리고 뭐 할 거 준비해놨겠...지?
: : 포필러스가 이니시아의 제네시스 밸리데이터로 합류합니다!

신뢰받는 리서치 기업으로서, 이니시아 생태계의 성장을 리서치와 인사이트를 통해 적극적으로 지원하겠습니다.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Reposted from:
Steve’s Catallaxy avatar
Steve’s Catallaxy
24.04.202508:12
수이의 분위기가 좋은 지금, 생각해보면 좋은 것들.

- 현재 수이의 기술력은 아무리봐도 레이어1 블록체인들중 탑티어가 맞다고 생각. 한 번 연구해서 프로덕션으로 내고 더 이상 해당 분야에 대한 연구를 안하는게 아니라 "어떻게 하면 더 좋은 컨센서스를 내지?" "어떻게 하면 레이턴시를 더 낮추지?"에 대한 고민을 그냥 지금도 계속 하고있는 팀. 미스티세티 V2가 끝이 아닐수도 있음. 파일럿피쉬 & 리모라가 끝이 아닐수도 있음. 이들은 더 좋은 기술을 만들 수 있으면 계속 연구하고 시핑할 준비가 되어있는 팀.(다만, 내부적으로 정치적인 이슈가 생겨서 팀이 분열된다면 이건 또 다른 변수겠지만 일단 지금은 그런 껀덕지는 없어보임)

- FDV는 부담스러운 구간에 돌입하고 있음. 최근 가격 상승으로 FDV가 약 30B이 되었음. 솔라나가 90B정도 되니까 1/3솔라나 수준까지 올라온 것임. 나는 개인적으로 수이가 솔라나보다 더 쓰기도 좋고, 컴포저빌리티도 솔라나보다 수이가 더 월등하다고 생각하지만(UI역시 그러함) 크립토 업계에서 가치를 산정할 때 기술은 그저 한 부분에 불과하다는 것. 솔라나는 지금의 가치를 만들기까지 단순히 기술적인 업적들만 있는 것이 아님. 그랬을 때 현재 수이가 1/3 솔라나 구간에 와있는지? 에 대한 질문을 꾸준히 해볼 것.

-수이의 가치는 한국인들이 올린 것이 아님. 대부분의 폭등 코인들이 업비트/빗썸 주도였던 반면, 수이는 여태까지 단 한 번도 업비트/빗썸 주도로 상승한 적이 없음. 대부분의 볼륨이 바이낸스나 코인베이스에서 주도되는 중.

- 수이 생태계는 메인넷 런칭 이후로 지금까지 계속 달려오기만 했음. 2023년 메인넷 런칭 - 거의 바로 불장 진입 - 개발자들이 새로운 언어를 습득하고 좋은 프로덕트를 내기 까지의 시간이 많이 주어지지 않았음. 과연 지금 나오고 있는 프로덕트가 진짜 좋은 프로덕트일지에 대한 고민은 해볼 필요가 있음. 솔라나도 2021~2022 프로덕트들과 지금 프로덕트들은 아예 다름.

- 관건은, "생태계 주도 프로젝트가 얼마나 잘 되느냐"일듯. 미스텐 랩스는 지금까지 약 3개의 유니콘을 배출(수이, 딥북, 월루스)했지만 생태계 프로젝트들 중에서는 아직 이렇다할 프로젝트가 없음. 미스텐 랩스가 출시하는 프로젝트들이 잘 되는 것은 물론 너무 좋은 일이지만, 생태계의, 생태계에 의한, 생태계를 위한 프로젝트가 성공하는 "스토리"가 필요함. 그렇지 않다면 빌더 입장에서 수이 생태계가 매력적이게 느껴질지는 모르겠음.

- 그래도 범-무브 생태계에서 가장 압도적인 것은 수이가 맞음. 생태계 주도로 유니콘 프로젝특가 나온다면 그건 수이에서 나올 가능성이 제일 높다고 보는 중.

- 수이를 좋게 보는 것과 별개로 이 업계는 가격에 따라 센티멘트가 많이 바뀜. 수이가 잘 빌딩해도 트럼프 관세 폭탄에 비트코인 떨구면 수이도 같이(더) 떨굴꺼고 그러면 수이에 대한 센티멘트도 나빠질 것. 이건 수이에 대한 것만이 아니라 크립토 전반에 대한 것. 가격에 의한 "부정적인 관점"과 실제로 그 생태계를 객관적으로 보는 것을 분리해서 바라보는 습관을 가져볼 필요도 있음.
Reposted from:
바나나우유 2.0 avatar
바나나우유 2.0
23.04.202506:43
"수이의 퍼포먼스가 다를 수 밖에 없는 이유" - BY 포필러스 스티브

관련 댓글로 포필러스의 스티브 님께서 디테일한 이유를 알려주셨는데
혼자 보기는 굉장히 아까운 것 같아 요약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미스틴이 다루고 있는 시장규모가 여타 무브언어를 쓰는 플젝과 이제는 많이 벌어졌다. 인프라적 측면도 굉장히 차이가 나는 상황이고. 현재 진행하는 GTM 전략도 수이가 가장 전략적으로 구축하였다.

수장급에서도 눈에 띄는 차이가 있는데,
앱토스는 파운더 모샤이크 한 명에 의존하는 반면
미스틴은 현재 코파운더 5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디테일한 각 역할은 아래와 같다.

에반 - 비즈니스
쌤 - 개발 (Move on Sui, Move registry, Move Prover etc)
코스타스 - 암호학(zkLogin, Stashed, P2P Tunnel, etc)
조지 - 컨센서스(최근에 월루스도 조지가 핵심으로 참여, 미스티세티 V2 참여, Pilotfish Remora참여)
에드니 - 프로덕트(딥북, 월루스 GTM 전략을 비롯한..)

난 수이에 목숨을 건 지 2년이 되었다 - 스티브/FOUR PILLARS
Reposted from:
흔자 avatar
흔자
22.04.202501:57
Sui 및 Mysten Labs 쪽에서 진행하는 주요 기술 개발에 관심 있는 분들을 위해, 관련된 GitHub 레포지토리들을 한곳에 정리해봤습니다.

Sui의 프로토콜, 스마트 계약 언어인 Move, 그리고 최근 주목받고 있는 Nautilus와 Seal 같은 보안/프라이버시 관련 도구들까지 포함되어 있으니, 개발하거나 공부하시는 분들께 참고가 되길 바랍니다!

- Sui Core (Sui 블록체인의 핵심 프로토콜과 노드 소스코드)
https://github.com/MystenLabs/sui

- Nautilus (TEE 기반의 검증 가능한 오프체인 연산 도구)
https://github.com/MystenLabs/nautilus

- Seal (키 관리와 암호화된 데이터 접근 제어를 위한 라이브러리)
https://github.com/MystenLabs/seal

- Sui SDKs (TypeScript, Rust 등 다양한 언어용 SDK)
https://github.com/MystenLabs/sui/tree/main/sdk

- deepbookv3 (onchain orderbook dex, 최신버전)
https://github.com/MystenLabs/deepbookv3

- Walrus
https://github.com/MystenLabs/walrus

- Walrus site (Walrus 사이트 배포)
https://github.com/MystenLabs/walrus-sites

- awesome-walrus (Walrus 생태계 내 개발자 도구와 인프라 프로젝트를 정리한 목록)
https://github.com/MystenLabs/awesome-walrus

- SCION (Testnet deploy)
https://github.com/MystenLabs/scion-sui-deploy

- awesome-move (Move 커뮤니티 의 코드와 콘텐츠를 정리한 목록)
https://github.com/MystenLabs/awesome-move
Shown 1 - 24 of 302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